#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복지 천국' 외치는 정치권… 누구 세금으로 ?
'납세는 愛國'…내는 만큼 존경받아야 복지천국은 누구나 꿈꾸는 이상향이다. 하지만 원하는 것은 무엇이나 공짜로 주어지는 세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니, 그런 세상이 반드시 천국일지도 의문이다. 공짜는 항상 '달콤한 유혹'이다. '복지=세금'이라는 공식은 초등학생도 아는 상식이다. 세금을 고민하지 않고 복지만을 외쳐대는 정치인은 유권자를 현혹하는 궤변가일 뿐이다. 부자에게서만 세금을 더 거둬 복지비용을 충당하겠다는 생각 역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
-
경제 기타
'미얀마의 민주화'…수치 여사가 그 빗장을 열다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민주화와 경제발전에 대한 열망은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아웅산 수치 여사가 이끄는 민주주의국민동맹(NLD)이 지난 1일 치러진 보궐선거에서 승리한 것이 사실상 확정된 후, 한 현지 한국 기업이 전한 분위기다. 그는 “민주화 세력이 선거에서 이기면서 서방과의 화해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외국 기업의 직접 투자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른 현지주재원도 “미얀마 국민들은 테인 세인 대통령과 수치 ...
-
경제 기타
(57) 금융 분야에 수학이 도입된 사연은?
오늘날 금융 산업에서는 물리학이나 전기공학 못지않게 수학적 방법론이 널리 쓰인다. 각종 경제·금융 데이터를 통계학을 이용해 가공하고, 여기에 근거해서 어디에 투자할지 결정한다. 또 정교한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해 새로운 금융 상품을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분야의 응용학문을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이라고 부른다. '퀀트(quant)'라 불리는 금융공학 전문가는 업계에서 가장 비싼 연봉을 받는 직종 가운데 하나다. 일자리 ...
-
경제 기타
자전거 수리상vs버선가게 주인…타이어 상식을 깨다
미쉐린-브리지스톤 2005년 9월 자동차 경주 포뮬러원(F1)에서 예상치 못했던 이변이 일어났다. 세계 최고의 레이서 미하엘 슈마허를 제치고 페르난도 알론소라는 스물네 살 청년이 챔피언에 오른 것. 승패는 타이어에서 갈렸다는 분석이 쏟아졌다. 브리지스톤 타이어를 장착한 슈마허의 페라리팀은 6년째 1위를 고수하다 3위로 밀려났고 미쉐린 타이어를 장착한 알론소의 르노팀과 맥라렌 메르세데스팀이 모두 1, 2위를 휩쓸었기 때문이다. 당시 전적으로 미...
-
경제 기타
처방전 없는 사후 피임약 판매 괜찮을까요.
찬 "원치않는 임신 막을 수 있는 유일한 선택" 반 "오·남용 우려 크고 생명경시 풍조 조장" 현재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만 약국에서 살 수 있는 사후(응급)피임약을 처방전 없이 그냥 약국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한창이다. 이 문제가 공론화된 것은 정부가 사후피임약을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부터다. 보건복지부는 사후피임약을 일반약으로 전환하면 원치 않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98> 기본문제유형 ③ - 설명하기 유형 (Ⅲ)
기본문제유형 ③ - 설명하기 유형 (Ⅲ) ▨질문: “좀 더 쉽게 결론 뒷부분 쓰는 법을 가르쳐주세요!” 기본적으로 결론과 그 뒷부분의 관계는 <확장>의 관계입니다. 즉 결론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그 뒷부분을 꾸미는 것이지요. 이것을 펼쳐보면 이렇게 되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있다고 해봅시다. 문제는 <제시문 (가)를 바탕으로, (나)의 상황을 설명하시오>입니다. 1문단과 2문단의 비율은 대략 2 대 3이 됩니다...
-
경제 기타
한미 FTA,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나? 등
한미 FTA,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나? 지난 3월15일,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정식 발효됐다. 하지만 한ㆍ미 FTA에 대해 정확하게 아는 사람은 의외로 드물다. 그저 풍문으로 듣거나 왜곡된 내용을 근거로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도 주변에 많다. FTA(Free Trade Agreement)는 회원국 간 상품, 서비스, 투자, 지식재산권 등에 대한 관세 및 비관세 장벽을 완화함으로써 상호간 교역 증진을 도모하는 양자간 특혜무역협정을 의...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150>
반응 속도 [ 2011학년도 인하대학교 수시 2차 논술 문제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