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대학 생글이 통신

    가고 싶은 대학·학과 정보, 적극 챙겨보세요

    거리마다 불빛이 반짝이고 설레는 분위기가 가득한 연말입니다. 새해는 잘 준비하고 있나요? 똑같이 흘러가는 하루하루지만 연말연시는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기 좋은 시점입니다. 새해 목표 어떻게 설정하면 좋을까요? 우선 본인이 진정으로 바라고 원하는 목표를 세워보세요. 간절하지 않은 목표라면 꾸준히 노력하기는 힘듭니다. 이번 겨울방학 동안 나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보고, 진로에 대해서도 고민해보기 바랍니다. 목표를 세웠다면 그것에 관해 구체적으로 ...

  • 숫자로 읽는 세상

    '금융허브' 런던의 몰락…기업들 영국증시 탈출

    영국 증시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 올해 런던 증시에서 빠져나간 기업은 2009년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내년 1월 취임해 ‘아메리카 퍼스트(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시행하면 런던 대탈출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5일(현지 시간)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에 따르면 올해 런던 증시에서 상장폐지되거나 해외 거래소에 이전 상장한 기업은 총 88...

  • 대입전략

    서울 소재 대학, 추가합격 포함 실질 경쟁률 '2.6 대 1', 올해 추가합격 크게 늘듯…종합판단 후 지원해야

    2024학년도 서울 소재 28개 대학을 조사한 결과 정시 평균 경쟁률은 5.54 대 1이었다. 최종 정시 추가 합격자까지 고려하면 실질 경쟁률은 2.60 대 1로 크게 낮아졌다. 28개 대학 인문계 모집 인원은 1만862명으로 5만9224명이 지원해 정시 평균 경쟁률은 5.45 대 1이었다. 이후 정시 추가 합격자가 1만1500명이 나와 최종 합격자는 2만2362명으로 늘어났다. 지원자 5만9224명 대비 실질 경쟁률은 2.65 대 1이다. ...

  • 테샛 공부합시다

    정치가 발목잡는 한국의 반도체산업

    ○화이트칼라 이그젬션(White Collar Exemption)= 미국에서 관리직, 행정직 또는 전문직 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 컴퓨터 근로자 및 외근 영업 근로자에 대해 최저임금 및 초과근로수당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제도다. 한국은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에 한해 주 52시간 근무제 예외를 허용하는 화이트칼라 이그젬션과 반도체 투자 세액공제율 상향 등이 담긴 반도체 특별법이 발의됐지만, 국회에서 연내 통과가 불투명하다. 미국&m...

  •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맛보기

    법인세

    [문제] 법인세율 인상에 따른 영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국내 기업의 투자 의욕을 떨어뜨린다. ② 세율 인상은 해외투자자의 국내 투자 감소 요인이 된다. ③ 해외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리쇼어링이 활발해질 수 있다. ④ 세율 인상으로 경기가 침체하면 정부의 세금 수입이 감소한다. ⑤ 기업의 투자 감소로 고용이 줄어들어 실업과 소비 위축이 발생한다. [해설] 법인세는 회사의 이익에 부과하는 세금이다. 개인이 소득세를 내는 것처럼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877)

  • 대학 생글이 통신

    예비 대학생에게 필요한 용기와 책임감

    제가 다니는 대학 커뮤니티에 예비 25학번 학생들이 올린 글이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또 한 해가 가고 새로운 해가 오나 봅니다. 예비 대학 신입생들의 질문은 다양합니다. 1학년 1학기에 연애를 하는 것이 좋은지, 어떤 동아리에 가입해야 하는지, 새내기 단체 채팅방은 언제 생기는지 등의 질문에서 기대와 설렘이 느껴집니다. 1년 전 비슷한 기대와 설렘을 안고 있던 저를 떠올리며 새로운 시작을 앞둔 여러분에게 도움이 될 만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 생글기자

    노키즈·노시니어 존 갈등, 완화하려면…

    분위기 좋은 식당이나 스터디 카페에 가면 간혹 “노 키즈 존” “노 시니어 존”이라고 적힌 안내문을 보게 된다. 특정 연령대 손님의 방문을 제한한다는 의미다. 노 키즈 존, 노 시니어 존은 불합리한 차별일까, 영업의 자유일까. 노 키즈 존은 조용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노 시니어 존도 주로 젊은 세대에 맞는 분위기를 연출할 목적으로 고령층을 배제한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