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약탈과 관련된 영어 표현들

    ‘약탈하다’는 plunder 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하지만 spoil 이 명사로 ‘약탈’의 뜻이 있기 때문에, 동사로 ‘약탈하다’의 뜻도 있답니다. pillage 란 단어 역시 ‘약탈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답니다. The self-righteousness of British museums stops them from returning masterpie...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술, 성공전략 5단계

    스티브 잡스는 “창의력이란 사물과 사물의 연결에서 나온다(Creativity is just connecting things)”고 말한 바 있다. 이때 사물이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보, 기술, 경험이다. 연결을 통해 새로운 다양성이 배가 된다는 의미다. 이처럼 연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창의력을 키우는 지름길이다. 여러 가지 교과 내용을 배워서 지식을 많이 쌓는 것보다 사회에 대한 관찰, 문제점 인식, 이를 해결하기 위...

  • 테샛 공부합시다

    자소서 마감전 '7월 테샛시험' 쳐보자

    테샛 특별정기시험이 오는 7월 처음 치러진다. 테샛관리위원회는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이 9월 초 자기소개서와 학교생활기록부를 마감하기에 앞서 테샛에 한 번 더 도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42회 테샛(TESAT) 정기시험을 7월8일(토) 시행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테샛관리위원회 관계자는 그동안 5월 정기시험과 8월 정기시험 사이에 징검다리형 정기시험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이 제기돼 이번에 처음으로 7월 정기시험제를 도입하기로 ...

  • 경제 기타

    시대에 역행하는 간호사 임신 순번제

    전국보건의료산업노조 실태조사 결과 5년내 임신 유경험자 여성조합원 1800여명 중 임신순번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은 17.4%로 5명중 1명꼴로 나타났다. 현재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224개국 중에서 220위, OECD 가입국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대를 역행하는 산아제한정책인 간호사 임신 순번제는 의료계에서는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임신 순번제란 말 그대로 임신을 할 때에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

  • 경제 기타

    새로운 경제트렌드로 주목받는 '1코노미'

    1인 단위 경제의 증가는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소비, 문화 경제 트렌드를 만들어 내는 데 일조하고 있다. 현재 한국 사회 네 가구 중 한 가구는 1인 가구이다. 2015년 기준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인 가구의 비중은 전체의 약 27.7%(총 520만 가구)에 달한다. 2035년에 그 비중은 34.4%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것이 바로 최근 업종 불문 ‘1인’과 'Economy&#...

  • 경제 기타

    마음의 힐링 공간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마음이 지치고 힘들 때 하루쯤은 부산 보수동 책방 골목을 방문하여 옛 향기에 취해 책을 읽으며 마음의 힐링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보수동 책방 골목, 이곳은 광복 직후 일본인들이 버리고 간 책들을 난전을 벌여서 팔던 것이 기원이 되었다. 그 장소가 개인의 소유가 되자 책 장수들이 하나둘씩 자리를 잡고 생겨나면서 현재의 보수동 책방 골목이 되었다. 부산에 살지 않는 많은 사람은 보수동 책방 골목에 대해 잘 알지 못할 것이다. 보수동 책방골목은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441)

    문제에 표시된 ⓐ~ⓘ에 들어갈 숫자를 생글생글i 홈페이지( sgsg.hankyung.com )에 올려주세요. 정답을 올려준 분들 중 추첨해 상품을 드립니다.

  • 커버스토리

    외고·국제고·자사고 폐지?…교육자유화 '역행' 우려도

    외국어고, 국제고, 자율형 사립고를 일반고교로 전환해야 하는지를 놓고 교육계가 찬반 논란에 휩싸였다. 문재인 대통령과 일부 교육감은 ‘고교 정상화’라는 명분을 내걸고 폐지를 강하게 주장한다. 반면 교육 수요의 다양성과 능력별 수월성 교육을 중시하는 측은 ‘고교 교육의 획일화’라며 반대한다. 외고와 국제고, 자사고가 당초 설립 취지에서 벗어나 대학 입학용 교육에만 치중한다는 지적이 없지 않았다. 문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