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 기타

    주기율표 (하)

    주기율표의 주기와 족 구분 주기율표에서 가로 줄 위치에 있는 원소들을 ‘주기’하고 하며, ‘주기’는 전자껍질의 수를 나타낸다. 전자껍질의 수는 원자 반지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전자껍질의 수가 많을수록 원자 반지름은 증가한다. 가장 바깥쪽 전자껍질에 있는 전자는 전자를 잃거나 받으면서 화학결합에 참여하게 되는데 이를 ‘원자가 전자’라고 한다. 원자의 화학적 성질은 &ls...

  • 디지털 이코노미

    데이터는 '디지털경제의 원유'… 기업 경쟁 치열

    데이터 원천 확보를 위한 빅데이터 전략 구글은 지난해 말 아마존의 인공지능 스피커인 ‘에코 쇼’와 셋톱박스인 ‘파이어 TV’에서 구글의 동영상 사이트인 유튜브 지원을 차단했다. 이에 대해 아마존은 지난 3일 아마존의 사이트에서 구글 자회사로서 스마트 홈 기술을 보유한 네스트의 최신 제품을 판매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두 인터넷 공룡의 유치한 싸움이 지속되는 이유는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기 때문...

  • 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33) 로크의 사회계약설(상): 통치론

    저항권의 정당성 입증 로크가 《통치론》에서 제시한 사회계약 원리들 중 백미는 무엇보다 국민의 저항권을 인정한 데 있다. 로크가 《통치론》을 저술한 실질적인 목적은 저항권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데 있었다. 저항권이란 정부가 처음 만들어질 당시의 목적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는다면, 즉 구성원의 생명과 재산, 자유를 보호하지 않는다면 무력을 사용해서라도 저항할 수 있다는 논리다. 당시 전제 군주가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고, 그의 권력에 대한 도전은 ...

  • 교양 기타

    김동인의 감자

    홀아비에 팔려가는 복녀 복녀는 15세에 20년 연상의 홀아비에게 80원에 팔려서 시집을 간다. 남편은 지독히 게으르고 무능하였으며 결국 그들은 평양 칠성문 밖 빈민굴 주민이 된다. 복녀는 거지 행각을 하며 간신히 연명한다. 인근 기자묘 솔밭에 송충이가 들끓자 복녀를 비롯한 빈민굴 주민들이 송충이잡이 인부로 고용된다. 일종의 빈민구제사업이다. 처음에 열심히 송충이를 잡던 복녀는 젊은 여인 몇몇이 놀면서도 더 많은 품삯을 받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패럴림픽은 "함께 열리다"는 뜻이죠

    패럴림픽은 '옆의, 나란히' 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패러(para-)' 와 올림픽이 결합한 말이다. '올림픽과 나란히 열린다' 는 의미를 담고 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장외 주인공을 꼽으라면 한글과 우리말을 들을 만하다. 올림픽 휘장과 메달을 비롯해 대회장 곳곳에 한글 자음 ㅍ과 ㅊ을 형상화한 문양을 새기거나 내걸어 한글의 아름다움을 한껏 알렸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새벽'을 뜻하는 다양한 영어 표현

    새벽은 영어로 dawn 이라고 한답니다. 그런데 하루의 시작이 새벽이므로 이 단어에 '시초, 발단'이란 뜻도 있답니다. 그래서 the dawn of civilization 은 '문명의 발단'이란 뜻입니다. In the wee small hours of the morning In the wee small hours of the morning, 이른 새벽의 깊은 틈 사이로 While the whole wi...

  • 진학 길잡이 기타

    3월 모의고사 결과로 자신에게 맞는 전략 짜야

    지난 8일(목), 고3 올라와서 처음 본 모의고사. 막상 시험볼 때는 몰랐는데, 가채점을 하고 나니 걱정이 참 많다. 궁금한 것도 많다. 과연 어떻게 내 모의고사 결과를 분석하면 좋을까. 과목에 맞게 어떻게 전략을 짜면 좋을까. 학생들 질문이 많았다. ‘나’에 맞는 전략적 교과목 학습법을 소개한다. ‘나’에 맞는 전략적 국어 학습법 최근 국어문제가 어려워지고 있다. 길어지고 있다. 단지 문제풀이에 ...

  • 진학 길잡이 기타

    논술은 글짓기가 아니라 독해력·논리력이 중요해요~

    논술을 가르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이 “논술은 자기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것 아닌가요?”이다. 틀린 말은 아니다. 그렇다고 맞는 말도 아니다. 논술은 자기 생각을 표현하기보다 주어진 자료, 제시문, 논제의 요구에 따른 분석적 글쓰기, 논리적 글쓰기이다. 그러나 어떤 제시문의 관점을 취할 것인지, 문제를 일으키는 여러 가지 요소 중 주목할 만한 요인은 무엇인지, 그에 따라 모색될 수 있는 다양한 대안 가운데 어떤 대안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