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이후'와 '후'는 의미가 달라요

    말을 할 때 정교한 구별이 필요하다. 속담에 ' 아 해 다르고 어 해 다르다 '는 말은 괜히 생긴 게 아니다. 우리말의 발전, 나아가 논리적·합리적 사고의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임하게 됐다. 언론들은 지난 3월3일자에서 이 소식을 전했다. 한은 역사에서 총재가 연임한 경우가 드물어 이 뉴스는 더욱 화제가 됐다. 김유택 전 총재(1951년 12월18일~1956년 12월12일)와 김성환 전...

  • 진학 길잡이 기타

    3월 모의고사 결과를 토대로 대입전략 짜보세요

    2018년 3월8일(목), 금년도 첫 모의고사가 시행됐다. 서울특별시 교육청 주관으로 국·수·영·사·과를 범위로 했다. 3월 모의고사는 고2에서 고3으로 들어서는 첫 입시 관련 시험이다. 이는 대학입시를 목전에 두고 있는 수험생의 신분을 깨닫게 한다는 점, 실질적 입시 전략을 짜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고2까지 자신의 강점으로 인식되었던 과목에 대한 인식이 바뀌는 시험이기도 하다. ...

  • 진학 길잡이 기타

    도표·그림·그래프 등 자료해석 능력이 논술 당락 결정하죠

    ‘통합(교과)논술’의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형식의 자료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도표나 그림, 그래프와 같은 시각화 자료뿐만 아니라 소설, 희곡, 시와 같은 문학작품도 제시문으로 등장한다. 대학별고사라는 특성상 대학마다 배치하는 자료의 형식과 종류가 다르지만 ‘다양한 자료를 해석,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은 반드시 출제되고 있다. 인문사회, 경제경영 등 계열별로 평가요소를 구분하는 학교의 경우에도...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 TESAT 맛보기

    문제 다음 지문의 빈 칸에 들어갈 말을 순서대로 고르면? ( 가)- (나)- (다) ① 서비스수지 상품수지 경상이전수지 ② 서비스수지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③ 소득수지 경상이전수지 서비스수지 ④ 소득수지 서비스수지 경상이전수지 ⑤ 경상이전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해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소득수지, 서비스수지, 경상이전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소득수지란 단기체류 근로자의 급료 및 임금, 해외 투자에 따른 배당금 및 이자 지급에 따...

  • 학습 길잡이 기타

    Bear에 담긴 다양한 의미들

    우리가 '곰'이라고 알고 있는 bear 은 참 많은 뜻이 있답니다. 우선 stand, tolerate, endure, put up with 등과 함께 '참다, 견디다'의 뜻으로 쓰일 수 있답니다. I was born to love you I was born to love you 나 그대를 사랑하기 위해 태어났어요. With every single beat of my heart 내 심장 박동 하나하나까...

  • 테샛 공부합시다

    가계·기업·정부가 3대 경제주체이죠… 각각 소비·생산·분배 활동을 이끌어요

    세상에 한 사람만 있다면 그 사람은 자기가 먹을 것, 입을 것, 잘 곳을 모두 마련해야 한다. 필요한 것을 맞바꿀 대상이 없기 때문이다. 이 사람의 삶은 고달프고 궁핍할 것이다. 커피 한 잔인들 지금처럼 쉽게 마실 수 있겠는가?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에서는 모든 것을 혼자서 만들 필요가 없다. 현대 경제활동에서는 소비, 생산, 분배활동이 거의 자동으로 이뤄진다. 경제활동을 이끄는 주체들이 각자 제 역할을 하면 된다. 우리는 이를 경제주체라...

  • 생글기자

    식사·YOLO·쌍곡형 할인의 공통점은?

    가지각색 반찬들이 차려진 밥상 앞에 앉으면 무엇부터 먹어야 할지 고민하게 되기 마련이다. 맛있는 반찬부터 많이 먹고 본격적인 식사를 시작하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 맛있는 음식은 아껴두었다가 나중에 한꺼번에 먹는 사람들도 있다. 경제학을 ‘선택의 학문’으로 정의 내린다면, 이런 단순한 선택도 우리 일상 속 경제 활동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음 두 가지 상황을 경제학적으로 분석해보자. A양과 B군은 급식실에서 똑같은 ...

  • 생글기자

    복잡한 단어들, Quizlet으로 외우자!

    어휘력은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이다. 국어 영어 과학 어느 과목이나 암기해야 할 단어들이 있으며 그 수도 매우 많다. 이런 단어들을 잘 외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눈으로만 외우는 것은 가장 나쁜 방법이다. 입으로 발음하며 외우는 것은 보통의 방법이다. 손으로 쓰며 외우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보통 이 세 방법 중에 한 방법을 사용하여 단어를 외우는 학생들이 많다. 그런데 한 가지 방법이 더 있다고 하면 어떤가? 이 방법은 심지어 효율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