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디지털 이코노미

    '디지털 트윈'이 4차 산업혁명의 초연결성 실현해요

    프랑스의 시뮬레이션 업체 다쏘시스템은 사람의 심장을 디지털로 복제했다. ‘리빙하트 프로젝트’를 통해 사람의 심장과 똑같은 디지털 심장을 구현한 것이다. 대동맥궁, 폐동맥 같은 인접 혈관을 모두 재현하고, 외부 자극에 따른 반응까지 그대로 구현했다. 이를 통해 의사들은 수술 전에 환자의 심장을 3차원(3D)으로 구현해 실제 시술 전에 해당 시술이 심장에 미치는 효과를 가상의 환경에서 미리 살펴볼 수 있게 됐다. 디지털 트윈...

  • 교양 기타

    “품격은 사람으로서 마땅히 갖춰야 할 기품이자 위엄…명분은 일의 가치를 지탱해주는 보이지 않는 힘이죠”

    나다운 나의 모습은 무엇인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이 질문보다 더욱 당혹스럽고 중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나는 어떻게 죽을 것인가?” 나는 훌륭한 죽음을 위해 오늘이란 시간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미국 칼럼니스트이자 작가인 데이비드 브룩스는 2015년 펴낸 《인간의 품격(원제:The Road to Character)》에서 개인이 지닌 두 가지 단면을 소개한다. 한 단면은 우리 대부분이 목매는 소위 ‘이력...

  • 교양 기타

    사회주의는 '실현불가능한 좋은 이상' 아닌 '거짓 이론'일 뿐…문명은 혁명이 아닌 진화로 발전한다는 '자생적 질서' 주창

    “사회주의와 자유주의 가운데 무엇을 선택하느냐는 것은 가치의 문제가 아니다. 참과 거짓을 가리는 진위(眞僞)의 문제다. 이상은 좋지만 실현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회주의가 나쁜 것이 아니다. 사회주의는 거짓 이론이며, 칼 포퍼(오스트리아 출신의 철학자)의 말을 빌리자면 ‘거짓으로 밝혀진 사이비 과학이론’일 뿐이다.” 인간 사회에서 오래된 ‘잘못된 믿음’이 있다. ‘정부만이...

  • 역사 기타

    김유신이 '미래의 왕' 김춘추와 누이를 결혼시킨 일화…삼국사기·삼국유사·화랑세기 필사본 내용이 왜 다를까

    1145년에 편찬된 《삼국사기》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신라의 김유신과 김춘추 (후일의 무열왕)가 공차기를 하다가 유신이 춘추의 옷끈을 밟아 떨어뜨렸다. 유신이 가까운 자기 집으로 춘추를 데려가 큰 누이 보희에게 춘추의 옷끈을 꿰매라고 했다. 보희가 무슨 일이 있어 하지 못하고 작은 누이 문희가 대신했는데, 문희의 자태가 아름다웠다. 춘추가 문희를 좋아해 혼인을 청했고 드디어 결혼했다. 아이를 낳으니 곧 후일의 문무왕이다. 삼국사기와...

  • 경제 기타

    세계보건기구, "게임중독은 질병" 규정 논란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에 지나치게 몰입하는 현상을 질병으로 규정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주장과 게임 과(過)몰입은 이미 심각한 사회 문제라는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국내 게임산업의 타격이 우려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WHO, 게임중독을 질병으로 분류 WHO는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72차 WHO 총회에서 ‘게임 이용 장애(gaming disorder)’를 질병으로 분류한 ...

  • 커버스토리

    물러나는 영국 메이 총리, 여전히 험난한 '브렉시트'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가 진통을 겪고 있다. 영국은 2016년 6월 국민투표로 유럽연합(EU) 탈퇴를 결정했다. 유럽 국가 공통 통화인 유로화 대신 자국 파운드화를 쓰는 영국이 정치동맹체 성격이 짙은 EU에서도 탈퇴하기로 한 것이다. 국민투표 이후 만 3년이 지났지만 영국의 EU 탈퇴는 여전히 제자리다. 탈퇴에 따른 부작용과 파장을 최소화하는 협상안을 놓고 영국 내는 물론 영국과 EU 간 이견이 크기 때문이다. 영국과 EU는 지난해 1...

  • 교양 기타

    다양한 목소리 듣는 그리스 비극축제는 민주주의 연습…경청의 핵심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역지사지

    문명은 도시와 문자의 조화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도시는 개인이 혈연과 지연을 넘어서는 타인들과 동거하며 타협하는 장소다. 문자는 상대방 심지어는 자신과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만든 공동의 상징체계다. 그 도시에 거주하는 시민들이 소통의 도구로 사용하기로 한 약속이다. 도시와 문자는 동전의 양면이다. 도시라는 거대한 공간을 하나로 묶는 끈이 문자다. 도시와 문자가 문명을 구성하는 두 가지 조건이라면, 경청은 문명의 유전자(D...

  • 교양 기타

    "소유욕은 자기 보존의 본능에 뿌리를 두고 있다"…역사적 사례를 근거로 평등의 실현 불가능 지적

    “사적 재산 소유권이 없으면 자유도 없고, 자유가 없으면 경제성장이 있을 수 없으며 빈곤해질 수밖에 없다.” “평등이라는 것은 실현 불가능한 가치다. 사람마다 기술, 관심, 근면함이 다르기 때문에 소유를 평등하게 만든다고 하더라도 그 평등은 곧 무너진다.” 리처드 파이프스 전 하버드대 교수는 폴란드에서 태어나 어렸을 때 부모를 따라 미국으로 이민 갔다. 그는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은 왜 잘 살고,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