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과학 기타

    <1> RNA는 어떻게 생겼나?

    최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혜성에 탐사선을 충돌시키는 '딥 임팩트' 프로젝트로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혜성에 있을지도 모를 원시 물질을 연구하면 생명 탄생의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구상의 생명은 언제,어디에서,어떻게 시작됐을까'라는 생명 기원의 비밀은 과학자들이 풀고 싶어하는 가장 오래된 수수께끼 중 하나다. 지구의 나이는 45억살이다. 지구의 초기 생명체는 RNA(리보핵산)로부터 만들어졌다는 주장을 많은 과학자들이 펴고 있다. RNA는 원래 DNA(유전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물질로만 알려졌으나 연구 결과 스스로 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시 세포의 생명 유지에 필요한 많은 기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같이 RNA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과 DNA가 생명으로 탄생한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그럼 이런 RNA는 처음에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1953년 미국 시카고대 연구진은 초기 지구를 구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암모니아와 메탄 같은 가스에 전기를 쬐어 아미노산 등 생명체의 핵심 물질을 만드는 데 성공,최초 유기물 합성 모델을 제시했다. 이런 초기 유기물이 어디에서 모여 생명으로 탄생했는지는 여전히 논쟁거리다. 1980년대에 많은 과학자들은 깊은 바다 속 공기 구멍으로부터 나오는 뜨거운 물에서 생명이 시작됐다는 주장을 폈지만 아직 확실한 것은 없다. 과학자들은 요즘 혜성이나 유성이 우주로부터 지구로 유기 화합물을 가져왔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최근 발견된 화성의 물 흔적은 화성 생명체 존재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 과학 기타

    신약 대거 상용화된다 .. 사람 몸의 세포이용 난치병 치료

    성체줄기세포 면역세포 등 사람의 몸 안에 있는 세포를 이용해 난치병을 치료하는 세포치료제 신약이 대거 상용화될 전망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지난 6월 말 신약 개발을 위해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거나 관련 상담이 진행 중인 세포치료제가 14개 업체 16개 품목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들 치료제는 탯줄혈액(제대혈),골수 등에서 뽑아낸 줄기세포를 이용한 성체줄기세포 치료제와 림프구 수지상세포 등 면역세포를 이용한 면역세포 치료제,특정 장기에서 추출한 성체세포를 이용한 체세포 치료제 등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성체줄기세포 치료제는 메디포스트의 탯줄혈액 줄기세포를 이용한 연골재생치료제,FCB-파미셀의 골수 줄기세포를 이용한 허혈성 뇌졸중 치료제 등 2개 품목이 이미 임상승인을 받았으며 안트로젠의 골수줄기세포를 이용한 심부전증 치료제는 상담이 진행 중이다. 면역세포 치료제는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동아제약의 신장암치료제와 근화제약의 대장암치료제 등 2개 품목의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노메디시스의 폐암치료제,메디포스트의 흑색종치료제 등 5개 품목이 상담 중에 있다. 체세포 치료제는 안트로젠의 지방세포를 이용한 흉터치료제가 임상시험 중이며 바이오하트코리아의 심근경색치료제,티젠바이오텍의 구강점막결손치료제 등 6개 품목이 상담절차를 밟고 있다. 한편 이미 제조허가를 받아 판매 중인 세포치료제는 셀론텍의 '콘드론' 및 듀플로젠의'아티셀' 등 연골세포 치료제와 테고사이언스의 화상치료제인 '홀로덤' '칼로덤' 등 4개 품목으로 조사됐다. 임도원 한국경제신문 과학기술부 기자 van7691@hankyung.com

  • 과학 기타

    동성애자 군대에다 동갑내기 연대까지

    세계 역사에는 별난 군대가 많았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동성연애자 300명을 선발,특수부대를 편성했는데 신성대(神聖隊)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군사들은 사랑하는 애인을 보호하기 위해 결사적으로 싸워 패배를 모르는 군대였다. 죄수부대는 중국에서 일찍부터 있었는데 한나라 때에는 강간범과 폭력범,절도범과 가정을 돌보지 않은 죄수 100명을 뽑아 죄를 사면하고 적중에 침투시켜 약탈과 난동을 부리도록 했다. 아프리카의 줄루족은 '동갑연대'라는 군대를 편성했는데 같은 해에 태어난 남자들로만 뽑았다. 줄루족은 여전사(女戰士)연대도 운영했는데,동갑연대 군사들은 40세가 되면 역시 40세가 된 여전사연대 군사에게 장가를 들었다. 1차 세계대전 때 독일은 '대학생군단'을 만들었다. 3만6000명의 대학생을 두 달 동안 훈련시켜 벨기에 전선에 투입해 영국 정규군과 싸우도록 했으나 불과 3주일 만에 전멸했다. 군기 빠진 군대를 '당나라군대'라고 비아냥거리는 이유는 고구려군에 번번이 깨진 오합지졸의 군대였기 때문이다.

  • 과학 기타

    엠젠, 면역돼지 복제 성공 .. 인체이식 가능한 당뇨병 치료세포 생산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이 사람에게 거부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당뇨병 치료세포를 만들어낼 수 있는 형질전환 면역돼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종장기 개발 전문업체인 엠젠바이오(대표 박광욱)는 사람의 면역 유전자(HLA-G)를 가지고 있어 인체에 이식 가능한 췌도세포(인슐린 분비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면역돼지를 복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돼지는 췌도세포를 떼내 환자에게 이식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면역거부 반응을 현저히 감소시킨 것으로,지난 12일 5마리가 출산돼 그 중 1마리가 생존했다. 엠젠바이오는 미니돼지에서 떼낸 세포에 인간의 HLA-G를 넣어 형질전환시킨 후 체세포 복제과정을 거쳐 돼지를 탄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5마리 가운데 생존한 1마리는 현재 무균 인큐베이터에서 사육되고 있다. 면역거부 반응은 다른 동물 또는 타인의 장기가 이식될 때 나타나는 치명적인 현상으로 그동안 장기나 세포 이식 분야의 최대 난제로 꼽혀왔다. 특히 돼지의 췌도세포를 당뇨병 환자에게 이식할 경우엔 환자의 면역세포인 '킬러 세포'가 이식된 돼지 세포를 죽이는 세포성 면역거부 반응이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개발된 면역돼지에서 추출될 췌장세포는 이러한 킬러 세포의 독성을 60~70%까지 감소시킴으로써 이식 후 사람 몸 속에서도 생존할 수 있게 된다고 엠젠바이오는 설명했다. 이를 위해 주입된 HLA-G는 임신기간 중 태반과 양막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로 태아를 킬러세포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의 김광원 교수는 "사람의 췌도세포를 환자에게 이식하면 좋지만 필요한 췌장을 구하기 어려워 일년에 몇

  • 과학 기타

    인간 우주서 총을 쏘다

    "날아가는 총알을 총으로 맞혔다." 미국 독립기념일인 7월4일 오전 1시52분(한국시간 오후 2시52분). 지구촌 사람들은 1억3400만km 떨어진 광활한 우주에서 펼쳐진 최대의 불꽃 쇼 '딥 임팩트'에 감탄하고 환호했다. 올해 1월22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에서 발사된 우주선 '딥 임팩트'가 긴 여정 끝에 혜성 '템펠1'에 다가가 높이와 지름이 각각 1m이고 무게가 370kg에 달하는 세탁기만한 충돌체(Impactor)를 혜성에 발사한 것.충돌체는 약 24시간 동안 시속 3만7000km의 속도로 80만km를 날아가 혜성과 충돌했다. 충돌체는 충격으로 부서지면서 혜성 표면에 축구장 넓이의 구덩이를 만들어냈다. 혜성 파편들이 튀었고 기대했던 것보다 많은 양의 가스와 먼지를 분출했다. 파편과 가스 등으로 이루어진 섬광과 분출기둥 2개를 약간의 시차를 두고 내뿜었다. 첫 번째 분출은 좁은 기둥 모양으로 혜성을 길게 가로지르는 형태로 일어났고 그 높이는 최소 수천km에 달했다고 NASA 관계자는 밝혔다. 두 번째 기둥은 첫 번째 분출이 있은 다음 수초 후 더욱 밝은 폭발에 이어 발생했고 별 모양으로 퍼져나갔다. ◆표면이 부드러운 빵 같았다 얼음과 먼지 유기물 등으로 이뤄진 혜성 표면은 생각했던 것보다 딱딱하지 않았다. 자세한 결과는 충돌 후 1주일 정도 지난 뒤 선 스펙트럼 분석 등을 통해 나오겠지만 마이클 아렌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는 "혜성이 마치 머핀(밀가루에 설탕 달걀 유지 우유 등을 넣어 만든 빵)처럼 부드럽게 보이는 물체인 것 같다"며 "표면의 밀도가 굉장히 낮다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표면 굴곡이 생각보다 심하며 양파껍질처럼 여러 겹으로 싸여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 과학 기타

    "혜성 왜 검을까" 의문심에서 출발

    우주 공간에서 사상 초유의 혜성충돌 실험에 성공한 딥 임펙트 프로젝트는 27년 전 "핼리 혜성의 표면은 왜 숯덩이처럼 검은가"라는 두 과학자의 의문에서부터 탄생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웹사이트는 혜성탐사계획의 아이디어를 처음 낸 과학자 중 한 사람인 앨런 델러미어 리버풀대학 교수의 글을 통해 딥 임펙트 프로젝트가 어떤 과정을 통해 실현됐는지 소개했다. 1978년 미국 투산에 있는 국립광학천문대에서 일했던 앨런 델러미어와 마이크 벨튼은 당시 핼리 혜성을 연구하고 있었다. 두 과학자는 핼리 혜성이 석탄보다 더 검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두 사람은 혜성의 검은 층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해 점점 더 관심을 갖게 됐다. 더러운 눈덩이 모형을 비롯해 혜성에 대한 여러 이론을 조사했다. 마침내 두 사람은 1996년 인공 충돌체를 이용해 파에톤 혜성의 표면을 탐사하는 제안을 NASA에 내기로 결심했다. 이들은 엄청난 무게의 인공 충돌체가 초속 38km의 속도로 혜성에 충돌하는 실험을 제안했다. 그러나 파에톤이 혜성인지 여부에 대한 의문,충돌 실험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회의에 부딪혀 연구비를 따내지 못했다. 이런 좌절감 속에서도 이 아이디어는 점점 발전했고 1998년 혜성 템펠1과 충돌하는 실험을 다시 제안했다. 이번에는 충돌체를 유도하는 정교한 시스템을 추가해 충돌 실험의 성사 가능성을 높였다. NASA는 마침내 혜성의 수수께끼를 푸는 이 거대한 실험에 동의했다.

  • 과학 기타

    딥 임팩트 '쇼' ‥ 7월4일… NASA 혜성충돌 실험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독립기념일인 7월4일 우주탐사선 '딥 임팩트'에서 충돌체(임팩터)를 발사해 지구로부터 1억3000만km 떨어진 혜성 '템펠1'과 충돌시키는 우주 실험을 한다. 충돌체는 와인통만한 크기에 144㎏의 구리로 된 단단한 물체로 뉴욕 맨해튼의 절반 크기(면적 28㎢)인 템펠1혜성 표면에 충돌하게 된다. 충돌로 인해 생기는 구덩이를 통해 혜성 내부구조와 물질을 파악하는 것이 이번 실험의 목표다. 충돌위력은 TNT 5t과 맞먹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생기는 구덩이는 최소 집 한 채 크기에서 미식축구 경기장 정도로 예상되며,깊이는 건물 2~14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자들은 원시 중심핵과 태양계 탄생의 우주론적 실마리를 밝힐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충돌로 인해 혜성이 평소보다 40배 정도 강한 빛을 발생시킬 것이며,일부 지역에서는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과학 기타

    국제 대형 공동연구에 국내과학계 잇단 참여 ‥ 외국서 기술수준 인정

    선진국 주도로 진행돼온 국제 대형공동연구(빅 사이언스) 프로젝트에 국내 과학기술계가 적극 참여하고 있다. 거대 과학기술 프로그램에 핵심 멤버로 동참하는가 하면 기획 단계에서부터 주도적으로 사업을 이끌고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다.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한국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갈릴레오,제4세대 원자로,갈색구름 국제공동관측 등 대형 공동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연구개발(R&D) 소요비용을 절감하면서 연구인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 등으로 인해 한국 과학기술이 빛을 보고 있는 것. 일본과 프랑스의 치열한 경합 끝에 프랑스로 낙점된 ITER 프로젝트는 선진국에서 한국 참여를 희망한 대표적인 분야다. '인공 태양'을 만들기 위한 ITER는 10년간에 걸쳐 60억달러가량 투자될 매머드급 프로젝트다. 한국은 이미 1997년부터 초전도체형 핵융합 기술연구를 수행한 것을 계기로 외국에서 기술 수준을 인정받고 있다. EU가 미국의 위성항법장치에 맞서기 위해 추진 중인 갈릴레오 프로젝트에도 한국이 뛰어들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30개 위성과 지상기지들이 연결돼 최첨단 위성 항법 및 위치 추적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으로 2008년까지 총 41억5000만달러가 투입되는 프로그램이다. 2030년께 상용화를 목표로 추진되는 제4세대 원자력시스템개발(Gen IV) 프로젝트는 한국이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는 대형 국제 공동 프로그램이다. 핵 폐기물 발생량을 줄이고 원자력 안전 장치를 획기적으로 구축한 원자로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한국은 지난해 제주도에서 다국 간 협력협정 초안을 주도하는 등 사실상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배양 성공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