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모은 재산을 지키는 노하우 '보험'
암에 걸리면 수천만원이 필요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1억원이 넘어가기도 합니다. 엄청난 부자가 아니라면 이 정도의 돈을 갖고 있기 쉽지 않습니다. 저축해 놓은 돈을 한꺼번에 다 써버리거나 저축해 놓은 돈이 없어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돈을 불리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돈을 지키려는 데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돈을 지킨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 금고에 넣어둔다는 뜻일까요? 공격뿐 아니라 수비...
-
경제 기타
하늘과 인간을 연결해 주는 솟대 신앙
우리는 언제부터 ‘대한(大韓)사람’이었을까요? 그것은 1897년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을 선포하면서부터입니다. 고종 황제는 ‘한(韓)’이라는 이름이 바로 우리 고유한 나라 이름이며, 옛 마한, 진한, 변한 등의 삼한을 아우른 것이라 ‘큰 한’ 즉 ‘대한(大韓)’이라고 정했습니다. 아, 그렇다면 대한(大韓)이란 옛 삼한에서 유래한 것이군요...
-
경제 기타
논란의 우버택시, 허용해야 할까요
찬성 "새로운 서비스 경쟁 막는다면 발전 없다" 금지 논란에 휘말린 우버택시는 미국 우버 테크놀로지스(Uber Technologies) 기업이 제공하는 스마트폰 호출 콜택시다. 우버택시는 2010년 6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처음 도입된 이래 현재 세계 40여개국 170여개 도시 곳곳에서 활발히 서비스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3년 8월 도입돼 시행 중이다. 우버택시는 간편한 서비스다. 앱을 다운받고 간단한 회원 가입절...
-
경제 기타
'채찍 유인의 역효과'를 아시나요 등
‘채찍 유인의 역효과’를 아시나요 가정 혹은 사회에서 목적을 이루기 위해 회유와 협박을 사용하는 것을 ‘당근과 채찍’이라고 표현한다. 흔히 당근은 행동을 유도할 때 쓰이고 채찍은 행동을 자제시킬 때 쓰인다고 생각한다. 이 중 채찍에 관련된 흥미로운 연구가 있다. 우리나라도 그렇듯이 모든 나라의 어린이집은 아이들을 데리러 오는 시간이 늦는 학부모들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경제 기타
'뜨거운 감자' 연말정산…편법 증세가 조세저항 불렀다
◆연말정산과 세액공제 정부가 연말정산 논란과 관련, 올해 세제를 개편하기로 했다. 상반기 중 간이세율표를 조정해 이를 적용하고 세법 개정 과정에서 자녀 수, 노후 대비 등을 감안해 공제항목 및 공제수준을 조정하는 것을 검토하겠다는 것이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일 기자회견을 열고 “실제 연말정산 결과를 바탕으로 소득계층 간 세부담 증감 및 형평성 등을 고려해 세 부담이 적정화되도록 할 것”이라며 이같이 ...
-
커버스토리
막오른 IoT 시대…인간과 기술 어떻게 공존할까
우주의 기원은 시각이 엇갈린다. 과학은 ‘빅뱅’으로 우주 탄생을 설명하고, 종교는 ‘창조’로 신의 위대함을 찬송한다. 빅뱅과 창조, 아직 완벽한 승자는 없다. 21세기 과학의 시대에도 창조론을 믿는 미국인이 더 많다. 빅뱅이든 창조든, 우주는 그 모습을 갖춘 이후 ‘진화’를 거듭해 왔다. 만물의 형상도, 기술의 모습도 진화하고 또 진화했다. 진화는 현재도 진행형이다. 인류의 역사는...
-
경제 기타
고조선은 살아있다…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인돌'
지난 2000년, 유네스코(UNESCO)는 우리나라 고창·화순·강화 지역의 돌덩어리 2만여기를 인류 전체가 보호해야 할 ‘세계유산 제977호’로 지정합니다. 분명 단순한 돌덩어리들은 아니었던 모양입니다. 9년 뒤에야 조선의 ‘종묘’가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니까요. 그렇다면 이 돌덩어리들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바로 고인돌입니다. ‘턱을 괴다’라는 표현처럼, ...
-
경제 기타
꿩도 먹고 알도 먹을 수는 없다!
금융 투자를 할 때 안전성 수익성 유동성이 모두 뛰어난 금융상품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안전한 금융 상품은 수익성이 낮습니다. 또 수익성이 높은 금융상품은 안전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면서 투자하려면 그 대신에 원금 손실이 발생할 위험을 무릅써야 합니다. 만약 원금에 손실이 나길 원하지 않는 투자자라면 낮은 수익률에 만족해야 합니다. 이것이 세상의 이치입니다. 결국 투자자가 안전성과 수익성 가운데 어느 것을 우선할 것인지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