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무령왕릉이 알려준 백제의 미

    퀴즈 하나 내보겠습니다.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의 수많은 왕릉 중 유일하게 묻힌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왕릉은 무엇일까요. 계단식 피라미드형으로 유명한 고구려 장군총? 이것은 장수왕의 무덤인지 아닌지 논쟁이 여전합니다. 그렇다면 금관 출토로 잘 알려진 신라 황남대총? 이것도 내물왕인지 아닌지 추측만 존재합니다. 정답은 바로 공주에서 발견된 백제 무령왕릉입니다. 어떻게 무령왕의 무덤인지 정확하게 아느냐고요. 우선 무령왕릉의 발견은 우연...

  • 경제 기타

    블로거가 아닌 '유튜버(Youtuber)' 가 신대세 등

    블로거가 아닌 ‘유튜버(Youtuber)’ 가 新대세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통해 일상 팁이나 IT, 요리 등의 다양한 분야 정보를 공유한다. 하루에 수천 명이 방문하는 일명 ‘파워블로그’가 생겨났고 우리 일상생활 속 깊숙이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정보공유가 아닌 상업이 목적이 된 광고로 블로그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고 관련규제가 강화됐다. 블로그의 영향력이 크게 감소하는 이유다. 최근 들어 ...

  • 경제 기타

    '빛나는 추억'을 만나다 등

    ‘빛나는 추억’을 만나다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현대자동차 ‘브릴리언트 메모리스(Brilliant memories)’ 전시회가 진행 중이다. 최근에는 프로젝트형 광고가 주목받고 있는데 이 캠페인 역시 같은 맥락이다. 오래된 자동차를 추억할 수 있게 예술품으로 바꾸는 캠페인이다. 이번 캠페인에 참여한 양수인 작가를 만날 수 있었다. 체험적 작품을 중요시하는 그는 관람뿐 아니라 체험할 수 있는 작품...

  • 경제 기타

    또 다시 불붙은 '통화전쟁'

    ◆중국 지준율 전격 인하…‘통화전쟁’ 재연 중국 인민은 행이 현행 20%인 은행의 지급준비율(지준율)을 5일부터 0.5%포인트 인하하기로 했다고 4일 발표했다. 인민은행이 지준율을 낮춘 것은 2012년 5월 이후 33개월 만에 처음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번 지준율 인하로 약 5000억위안의 유동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 2월 5일 한국경제신문 ☞ 중국이 거의 3년 만에 지급준비율(지준율) 인하 카...

  • 커버스토리

    늘어도 줄어도…지구촌 화두 '인구의 딜레마'

    토머스 맬서스(1766~1834)는 《인구론》(1798년)에서 인류의 재앙을 경고했다. 생존에 필수인 식량 증가엔 한계가 있지만 인구는 빠르게 늘어나니 인류의 기근이 불가피하다는 논리였다. 그는 산술급수(식량), 기하급수(인구)란 용어까지 써가며 재앙의 필연성을 강조했다. 그의 예언은 빗나갔다. 하기야 ‘우울한 전망’이 어긋나는 건 인류에 축복이다. 21세기 지구촌엔 식량이 넉넉하다. 다만 분배의 지혜가 부족할 뿐이다. 인...

  • 경제 기타

    특목고·자사고 입시설명회 25~26일 개최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겨울방학이 끝나고 학년을 바꿔야 하는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중·고교 진학이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를 맞아 한국경제신문과 교육업체인 플로우교육이 ‘2016 특목고·자사고 입학담당관 초청 입시설명회’를 엽니다. 이번 설명회는 급변하는 입시환경 속에서 정확한 정보와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특목고와 자사고에서 근무하고 있...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2월 28일 동국대서 만나요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는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2월28일 서울 동국대(경영대학 L101)에서 열린다. 기업인, 최고경영자(CEO), 경제·경영학자 등을 꿈꾸는 고교생을 위한 고교 경제 캠프는 참가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같은 학교에서 여러 명이 참가하는 등 성황을 이루고 있다. 올 들어 처음 열리는 2월 고교생 경제 캠프는 올해 입학하는 SKY대학 새내기 대학생들이 멘토로 대거 나서는 점이 특징이다. 박종호...

  • 경제 기타

    세계의 국립중앙도서관, '시대의 기억' 후손에 전달

    대한민국의 모든 책이 영구 소장되는 곳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이 개관 70주년을 맞았다. 1945년 조선총독부 도서관이란 불명예를 벗고 국립도서관으로 다시 문을 연 지 70년 세월이 지났다. 납본제도(도서관법)에 의해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모든 책은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된다. 도서관법 제20조에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국내에서 발간되는 모든 서적을 수집해 국가의 지식 문화유산으로 영구보존토록 규정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