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경제지표 호전·주가상승, 미국 경제회복 자신감…미국 Fed 9월 금리인상할까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강력히 시사한 것은 미 경제가 그만큼 견고하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일부에서는 미국 경제가 2008년 월가(뉴욕 맨해튼 금융회사 밀집 지역) 투자은행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으로 촉발된 금융위기 이전으로 회복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로 ‘경제의 거울’이라는 미 증시의 3대 지수(다우지수, 나스닥지수, S&P500지수)는 최근 잇달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Fed의 기...
-
커버스토리
기준금리는? 시중금리가 따라 가는 '중앙은행 정책금리'
기준금리는 각국의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정책금리다. 정책금리란 중앙은행이 시중의 통화량을 늘리거나 또는 축소할 의도를 가지고 정책적으로 결정하는 금리다. 은행 예금금리 등 시중금리의 잣대가 된다. 한국에선 한국은행 안에 설치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매달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국은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이 기준금리다. 쉽게 말하면 한국은행이 자금이 필요한 시중은행에 7일 내에 갚으라고 빌려주는 돈의 이자율(금리)이 기준금리다. 한국...
-
커버스토리
글로벌 자금 미국으로 대이동 가능성…일부 신흥국 외환위기 우려
미국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세계의 중앙은행으로 불리는 Fed의 기준금리 조정은 세계 경제와 금융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미국의 힘이 예전만 못하다지만, 여전히 세계 경제를 이끌어가는 중심 국가이고, 미 달러화는 가장 강력한 기축통화이기 때문이다. 기축통화(vehicle currency)는 국제 간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를 뜻한다.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은 글로벌 유동성(global...
-
커버스토리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의 방어책…한국-일본간에도 재추진 합의
한국과 일본이 통화 스와프 협정 체결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 겸 재무상은 지난달 27일 한·일 재무장관회의 직후 낸 공동 보도문에서 “양국 정부는 통화 스와프 협정의 구체적 상황에 대해 협의를 개시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100억달러 규모의 한·일 통화 스와프 협정을 중단한 지난해 2월 이후 1년6개월 만에 협상을 재개하는 것이다. 통...
-
커버스토리
마이너스 금리 국가의 딜레마…미국 따라 올릴 수도 없고…
주요 국가의 중앙은행들은 양적완화와 제로금리를 넘어 마이너스 금리라는 가보지 않은 길에 들어서 있다. 마이너스 금리의 경제에서는 빚을 내면 오히려 돈을 받는다.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은 이런 나라들의 통화정책의 근본을 뒤흔드는 강한 충격을 몰고올 수밖에 없다. 마이너스 금리는 현재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일본 덴마크 스위스 스웨덴 등이 도입해 시행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연 -0.4%, 스웨덴 -0.5%, 스위스 -0....
-
커버스토리
중앙은행은 '은행의 은행' 역할…물가관리 외에도 경제안정화 정책 수행
중앙은행은 은행의 은행이다. 우리나라의 한국은행, 미국의 중앙은행(Fed), 영국의 영국중앙은행(BOE), 일본의 일본은행(BOJ), 유럽의 유럽중앙은행(ECB) 등이다. 각국 중앙은행은 대부분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공공적 성격을 가진 은행이다. 중앙은행은 △화폐(은행권) 발행을 독점하는 발권은행(issue bank) △은행들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을 때 최종 대부자(lender of last resort)로서 행동하는 은행의 은행(bank o...
-
숫자로 읽는 세상
'아시아의 병자' 필리핀, 연 7% 성장 '경제 우등생' 됐다
필리핀은 50여년 전만 해도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으로 잘살던 국가다. 필리핀 경제가 고꾸라지기 시작한 건 독재와 부정부패를 일삼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이 1965년 집권하면서부터다. 그가 1986년까지 장기 집권하는 동안 필리핀 경제성장률은 동남아시아 주요 5개국(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평균에도 못 미쳤다. ‘아시아의 병자’라고 불린 것도 마르코스가 남긴 불명예다. 그러던 필리핀이 올해 빠르게 ...
-
경제 기타
상위 0.5% 기업, 5% 고소득층이 법인·소득세의 75% 이상 낸다
◆ 세금양극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해온 비과세·감면 조치가 본격 시행되면서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실효세율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야권이 추진하는 법인세율 인상마저 현실화하면 기업의 투자와 성장잠재력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법인세수가 오히려 위축될 위험성까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8월26일 한국경제신문 ☞ 우리나라 정부가 거둬들이는 세금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세금은 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