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사진으로 보는 세상

    소비자물가 4.8% 껑충…13년 만에 최고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8% 뛰었다. 2008년 10월(4.8%) 후 13년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이후 5개월 동안 3%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3월(4.1%) 4%대를 넘어섰고, 지난달에는 거의 5%에 이르렀다. 최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 디지털 이코노미

    SW 엔지니어와 기업이 실리콘밸리로 몰리는 이유

    노동시장은 중매 사이트와 닮았다. 남자 100명과 여자 100명이 모여 있는 사이트가 남녀 10명씩 보유한 사이트보다 짝을 찾기가 쉽다. 물론 후자의 사이트는 두 경우 모두 ‘판매자’ 한 명당 잠재적인 ‘구매자’ 한 명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강조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상형을 찾을 확률은 사람이 많은 사이트가 훨씬 높다. 그녀(그)가 선택할 수 있는 상대방이 더 많이 있기 때문이다. 두꺼운 노동시장의 ...

  • 키워드 시사경제

    한국은 3년, 중국도 13년 뒤엔 노인 인구 20% 넘어

    일본 도쿄에 있는 후추형무소는 지난해 5월부터 징역형을 받은 수감자가 의무적으로 하는 노역을 ‘기능향상작업’으로 일부 대체했다. 말이 노역이지 실질적으론 재활훈련에 가깝다. 사이클 기계에서 페달을 밟거나 보자기 공을 던지는 등 신체·인지능력을 끌어올리는 운동이 대부분이다. 3년 뒤부터 일본의 모든 수감자는 강제노역 대신 이런 재활훈련을 받게 된다. 감옥 안에서조차 고령화가 너무 심각해지고 있어서다. 수감자 네 ...

  • 커버스토리

    경제가 성장하는 길…민간 주도 or 정부 주도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달 21일 취임사에서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 성장’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해 물가를 안정시키는 것을 제1 목표로 삼는 중앙은행인데요. 이곳의 새 수장이 ‘민간 주도 경제 성장론’을 강조했다고 해서 화제가 됐답니다. 이 총재는 “과거와 같이 정부가 산업 정책을 짜고 모두가 밤새워 일한다고 경제 성장을 기대할 순 없다. 민간 주도로 보다 창의적이...

  • 시사 이슈 찬반토론

    2023 최저임금 논의…고물가 반영해 또 많이 올려야 하나

    최저임금 산정 시즌이 됐다. 그동안 급등한 최저임금에 대한 사회적 ‘성찰’이 있는 가운데 2023년도 최저임금을 오는 6월 말까지 결정해야 한다. 결정 방식은 기존 그대로다. 사용자 측과 근로자 측을 대표한 각각 9명, 그리고 정부 주도의 공익위원 9명으로 위원회가 구성돼 있다. 산업계와 경영계 등에서는 그동안 급등한 최저임금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동결 등을 주장하고 있다. 아울러 산업 업종별, 지역별, 연령별 차별화...

  • 숫자로 읽는 세상

    넷플릭스 '최악의 날'…주가 35% 대폭락

    넷플릭스 주가가 지난달 20일 가입자 감소 충격으로 35% 넘게 폭락하는 일이 발생했다. 하루 만에 시가총액 543억달러(약 67조원)가 날아갔다. 월가 투자은행 최소 9곳이 넷플릭스의 성장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이날 나스닥 시장에서 넷플릭스 주가는 전날보다 35.12% 급락한 226.19달러에 마감했다. 가입비 인하와 해외 진출 연기를 발표했던 2004년 10월 15일 이후 18년 만에 하루 최대 낙폭이다...

  • 커버스토리

    "정부, 밤새워 일한다고 경제성장 안된다"…"민간 경제로 창의적·질적인 성장 해야"

    이창용 신임 한국은행 총재가 어제 취임사에서 ‘민간 주도 경제 성장’을 특별히 강조했다. 이 총재는 “디지털 경제 전환, 지정학적 경제 블록화 등으로 한국 경제는 대전환의 갈림길에 섰다”며 “우리 경제가 올바른 선택을 하기 위해 경제정책의 프레임을 과감히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과거와 같이 정부가 산업정책을 짜고 모두가 밤새워 일한다고 경제 성장을 기대할 ...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주주로 권리를 행사하는 보통주와 달리 의결권 없는 우선주는 배당 더 많이 받아요

    경제신문 기사를 읽을 때 종종 OO주라는 별명이 붙은 주식 종목을 발견하곤 합니다. 배당주 가치주 우선주 등 종류도 다양합니다. 이 중 우선주는 특이하게 ‘별명’이 기업 이름 뒤에 붙습니다. ‘삼성전자’라는 종목이 있는데 ‘삼성전자우’라는 종목이 따로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여기서 삼성전자는 보통주, ‘우’라는 글자가 뒤에 붙은 삼성전자우는 우선주라고 말합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