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커버스토리

    '윤석열 정부' 출범…정부·국가는 무엇인가?

    우리는 10일 새로운 정부를 가집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윤석열 정부’로 바뀌는 것이죠. 정부가 바뀐다? 이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우리나라 정부는 ‘특별한 일이 없는 한’ 5년마다 바뀝니다. 대통령 임기가 5년이기 때문이죠. 선거를 통해 대통령으로 선출된 자는 정부를 구성합니다. 그래야 국가를 통치할 수 있죠. 궁금증이 또 생깁니다. 정부와 국가는 다른 것인가? 네, 다릅니다...

  • 시네마노믹스

    VR슈트 등 첨단기술이 빠르게 발전할수록…현실과 가상 공간의 경계 더 흐릿해질 것

    가상현실(VR) 기술 발전이 영화 속 이야기만은 아니다. 영국의 VR 기기 전문 기업인 테슬라슈트는 2020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IT·가전 전시회(CES)에서 테슬라슈트 글러브를 선보였다. 장갑을 끼면 가상세계에서 느껴지는 손의 촉각을 현실에서도 느낄 수 있는 제품이다. 테슬라슈트는 ‘레디 플레이어 원’에 등장하는 VR 슈트와 비슷한 상품을 개발했다고 발표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시각 청각 촉각을 ...

  • 주코노미의 주식이야기

    유통되는 주식수가 줄면서 주가가 오르게 되죠…경영권 방어할 때도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돼요

    사상 최악의 횡령 사태를 겪은 오스템임플란트. 이 회사가 지난달 27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을 유지해도 좋다는 판단을 받자마자 한 일이 있습니다. 바로 ‘자사주 매입’입니다. 주주들의 주식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회사는 설명했습니다. 자사주란 무엇이고, 왜 회사가 자사주를 사면 주식의 가치가 올라가는 걸까요? 자사주를 사면 뭐가 좋을까? 자사주는 회사가 회삿돈으로 스스로 발행한 주식을 사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말합니...

  • 경제 기타

    다양한 가족의 모습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 스토리로 다양한 가족의 모습에 대해 다뤘습니다. 1인 가구와 다문화 가족의 증가 등 사회 흐름에 맞춰 달라진 가족 구성을 설명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변화를 살펴봤습니다. 한부모, 다문화, 입양, 조손 가족 등 현실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가족의 모습도 담았습니다. 이 밖에 세계 최초로 날개 없는 선풍기를 선보인 다이슨의 창업자 제임스 ...

  • 숫자로 읽는 세상

    전국 4대 빵집…대전 성심당 年 629억 매출로 1위

    ‘전국 4대 빵집’ 중 한 곳으로 꼽히는 대전 성심당이 지난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인 63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대형 프랜차이즈를 제외하고 단일 베이커리 브랜드 매출이 600억원을 넘은 것은 성심당이 처음이다. 1956년 대전역 앞 찐빵 가게로 시작한 성심당은 66년 동안 대전지역 매장만을 고집하고 있다. 역설적으로 이 점이 소비자의 이목을 끌면서 ‘전국구 베이커리’를 표방한 군산 이성...

  • 커버스토리

    정부는 권력 남용하고 타락하기 쉽기 때문에 권력 나누고 제한해야 개인의 권리 보호되죠

    국가는 혼자서 아무것도 못합니다. 국가는 개별 주권의 총합이긴 하지만 일을 할 수 있는 손발과 머리가 없습니다. 인간과 인간의 조직이 없으면 국방 문제, 질서 문제, 복지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합니다. 어떤 정부인가 정치철학자와 사상가들은 정부를 만들면서 개인의 권리와 정부 권력 간 관계를 고민해야 했습니다. “개인이 우선이냐, 국가가 우선이냐?” 하는 것이었죠.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 같은 그리스 철학자들은 폴리스(p...

  • 커버스토리

    홉스 "야만 상태 벗어나기 위해 국가 만들었다"…로크 "개인의 생명·재산·자유 위해 국가 세웠다"

    우리는 정부를 왜 세울까요? 이 질문에 답하려면 우리는 먼저 ‘국가가 왜 생겨났는지’를 배워야 합니다. 정부는 국가의 일을 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국가를 먼저 알아야 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합니다. 국가의 탄생을 설명하는 생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정치 철학적이고, 다른 하나는 종교 신학적입니다. 홉스·로크·루소 사회계약설은 대표적인 정치 철학적 시각입니다. 인간은 자신의 안전을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적자 커지는 공무원연금…세금으로 메꾸기 언제까지 하나

    공무원의 급여 수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과 상반된 주장이 있다. 민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쪽이나 직업의 안정성까지 감안하고 생애소득을 계산하면 결코 적지 않다는 논쟁이 교차된다. 이런 논쟁 가운데 있는 것이 연금이다. 공무원연금과 군인연금은 정부가 지급을 책임지게 돼 있다. 공무원이 현직 때 꾸준히 낸 부담분과 정부 지급분으로 조성한 연금기금이 고갈돼도 공무원연금법과 군인연금법에 따라 그렇게 된다. 명칭만 연금인 국민연금과 달리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