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네마노믹스
VR 헤드셋만 쓰면 나도 세상도 원하는 대로…실감나는 메타버스, 가상이 일상 된 현실
2045년, 지구는 식량 파동으로 황폐하게 변했고 경제 기반은 무너진 지 오래다. 영화 ‘레디 플레이어 원’의 주인공 웨이드는 2025년 태어난 자기 또래를 ‘사라진 세대’라고 부른다. 암울한 현실에서 벗어나 가상현실(VR) 게임인 ‘오아시스’에 접속해 살아가기 때문이다. VR 헤드셋을 쓴 채 오아시스에 접속하는 순간 누구든 바라던 모습으로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다. 웨이드는 오아...
-
경제 기타
오늘 주인공은 어린이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의 이번 주 커버 스토리 주제는 어린이입니다. 위인들의 성장 과정을 살펴보면서 그들에게도 저마다 꿈을 키운 어린 시절이 있었음을 강조했습니다. 또 어린이날을 만들고 어린이의 권리에 대해 고민한 소파 방정환 선생의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이 밖에 숙박 공유 업체 에어비앤비를 창업한 세 청년, 브라이언 체스키와 조 게비아, 네이선 블레차르지크의 성공 스토리도 실...
-
디지털 이코노미
인건비 뛴 중국서 돌아오고 싶어도 못 오는 이유
많은 기업이 중국을 떠나 자국으로 돌아갔다. 10년 만에 인건비가 두 배로 늘어난 탓이다. 중국의 인건비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64%, 2016년부터 2020년까지는 다시 30% 상승했다. 이는 미국과의 무역분쟁 이전부터 노동집약적 산업의 기업들이 중국을 떠나고 있었다는 의미기도 하다. 의류 제조업체들이 중국 인건비의 7분의 1인 스리랑카나 방글라데시 같은 국가로 이동한 이유다. 여전히 매력적인 중국 하지만 더 많은 기업이 중국을 ...
-
사진으로 보는 세상
부처님오신날 연등불 밝힌 청계천
불기 2566년 부처님오신날(5월 8일)을 앞두고 최근 서울 청계천에 연등이 설치됐다. 시민들이 불을 밝힌 연등 사진을 찍으며 추억을 남기고 있다. 연합뉴스
-
커버스토리
경제를 보는 두 시각: 시장경제 vs 계획경제 시장경제가 희소자원 잘 활용해 번영 추구
《세계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비전의 충돌》을 쓴 미국 경제학자 토머스 소웰은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경제를 ‘비전 충돌’ 사례로 들었습니다. 그는 민간 주도 경제를 시장경제로, 정부 주도 경제를 계획경제로 구분했습니다. 그는 민간이 정부보다, 시장경제가 계획경제보다 나은 이유를 다양한 시각에서 살폈습니다. 시장경제는 ‘무지’를 전제한다 우리는 누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합...
-
숫자로 읽는 세상
주당 54.2달러…트위터 55조에 품는 머스크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글로벌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위터를 440억달러(약 55조원)에 인수한다. 인수 작업이 마무리되면 트위터를 상장폐지하기로 했다. 최근 20년간 상장사에서 비상장사로 바뀐 곳 중 최대 기업이 될 전망이다.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빅테크 규제를 피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25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트위터 이사회는 머스크가 트위터를 주당 54.2달러에 인수하는 방안에 합...
-
키워드 시사경제
경기 회복 느려지는데…소비자물가는 뜀박질
우리나라 1분기 경제성장률이 0.7%에 그쳤다.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충격이 한국 경제를 제대로 강타하기도 전에 0%대로 둔해진 것이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년 만에 4%대로 올라서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 경제가 슬로플레이션(slowflation)에 빠져들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내수·투자 부진한 가운데 불안한 성장 슬로플레이션이란 경기 회복 속도가 느려지는 가운데 물가만 치솟는 현상을 가...
-
경제 기타
금융회사는 뭐하는 곳이지?
초·중생용 경제·논술신문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 주 커버 스토리로 금융회사의 종류와 기능, 금융 상품의 특징에 대해 다뤘습니다. 다양한 금융 상품을 활용해 용돈을 굴릴 방법을 알아봅니다. ‘방탄소년단(BTS)의 아버지’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이 대중음악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K팝의 대부’로 우뚝 선 과정에 대한 이야기도 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