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기타
기업 이윤은 장기적으로 0이 되죠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은 단기에서는 0 이상의 이윤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장기에서는 지속될 수 없다. 단기에서는 고정비용이 있기 때문에 시장가격이 생산에 들어가는 평균가변비용보다 높기만 하면 손실을 봐도 생산을 지속한다. 하지만 완전경쟁시장은 기업의 진입과 퇴출이 자유롭기 때문에 고정생산요소가 없어지는 장기에서는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에서 평균비용이 가격보다 높은 기업은 시장에서 사라질 것이다. 반대로 이윤을 극대화하는 생산량에서 시장가격이 생산에 드는 평균비용보다 높으면 기업들이 시장에 추가로 진입하게 된다. 시장의 장기조정장기조정은 완전경쟁시장에서 기업의 진입과 퇴출을 통해 시장가격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다. 장기에서도 손실이 지속되면 기업은 시장에서 사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시장에서 기업이 퇴출당하면 상품시장에서 공급자가 줄어들게 돼 상품 가격이 오르는 장기조정이 나타난다. 이런 조정으로 시장에 남아 있는 기업들의 이윤은 0이 될 것이다. 반대로 장기에서 기업이 0 이상의 이윤을 얻는 현상이 지속되면 시장에 다른 기업들이 추가로 진입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기업의 진입으로 시장 공급자가 증가하므로 상품 가격이 하락하게 된다. 이 같은 장기조정으로 이 시장에서 생산하는 기업들의 이윤이 0이 되면서 더 이상 기업의 신규 진입은 없어져 더 이상의 조정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기업의 장기이윤완전경쟁시장에서 생산하는 모든 기업의 이윤은 앞서 설명한 장기조정을 통해 0이 된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이윤이 0이라면 생산하지 않는 것과 같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비용의 개념은
-
경제 기타
기업은 무슨 일을 할까
주니어 생글생글은 이번주 커버스토리 주제는 ‘기업의 역할’입니다. 달콤아이스크림이라는 가상의 회사를 배경으로 기업이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살펴보고 우리 사회에서 기업이 하는 역할을 알아봤습니다. 기업은 경제의 바탕입니다. 기업에 대해 알면 경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 열아홉 살에 단돈 100달러를 들고 차린 배달 업체를 세계 최대 물류회사 UPS로 키워낸 제임스 케이시 창업자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
디지털 이코노미
기술 발전이 가계부채를 늘린다고?
과학 경영의 아버지 테일러는 인건비 절감으로 싼 제품을 생산하는 방식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깨달았다. 1920년대 산업혁명으로 효율성이 극도로 높아지면서 필요한 노동자가 크게 줄었고, 이는 더 적은 노동인구와 더 많은 실업자를 양산하는 결과로 이어졌다.1920년대 중반 미국 산업은 잉여 인력을 해고하고, 남은 직원에게는 엄격하게 보상을 책정했다. 이렇게 절약한 인건비 덕분에 제품 가격을 날로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소득이 줄자 노동자들은 소비할 여력이 없어졌고, 가게마다 재고가 쌓이기 시작했다. 문제를 빠르게 파악한 주인공은 헨리 포드였다. 그는 미국 기업들이 급여를 관대하게 책정하고, 심지어 노동시간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야만 차를 구입할 수 있는 소비자 층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하루 8시간을 일하는 방식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시도였다. 다른 기업들은 포드를 이해할 수 없었다. 이후 정치권의 개입으로 8시간 노동제는 받아들였지만, 임금 인상만큼은 끝까지 고수했다. 소비를 되살린 요인은 임금이 아니었다. 광고였다. 인기 잡지들이 아메리칸드림을 실현하며 살아가는 새로운 남녀상을 지면에 도배하기 시작했다. 불만스러운 소비자를 양산한 것이다. 더 좋고, 더 새로운 것을 스스로 추구하도록 만들었다. 사라지는 일자리산업혁명으로 인한 자동화의 물결은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모두에게 영향을 미쳤다. 물론 전에 없던 고임금 일자리가 새로 생겨나기도 했다. 이런 속도는 1943년 매사추세츠공대(MIT)의 수학자 노버트 위너가 사이버네틱스 이론을 발표하면서 더욱 빨라진다. 그는 기계가 생각하고 학습하고 피드백을 통해 행동방식을 조정하는 기
-
경제 기타
해외 투자시 환율변동 위험 해소 방법이죠
한국 정부도 환율 안정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정부는 한국은행과 국민연금 간 외환스와프 추진, 조선사 선물환 매도 지원 등에 이어 국민연금을 비롯한 12개 공적 투자자에게 환헤지 비율 조정을 요청하기로 했다. 12개 공적 투자자가 보유한 해외자산 규모는 4000억달러 안팎으로 파악되는데, 정부는 각 투자자에게 환헤지 비율을 지금보다 10%포인트가량 높여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되면 400억달러가 시장에 풀린다. 국내 외환시장의 하루 거래량이 70억달러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큰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2022년 11월 14일자 한국경제신문 기사 -정부가 환율 시장 안정을 위해 국민연금 같은 연기금들에 환헤지 비율을 높여달라고 주문했다는 내용의 기사입니다. 환헤지가 무엇이길래 환율 시장 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요?환헤지는 해외 자산에 투자할 때 수익률이 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미국 주식에 투자할 때는 달러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 수익률이 주가 등락과 달러 가치의 영향을 동시에 받습니다. 여기서 환율의 영향을 피하고 싶을 때 기관투자가들은 선물을 이용해 환헤지를 합니다.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한 기관투자가가 지금 시점에 달러당 1300원을 주고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미국 주식에 투자합니다. 1년 뒤 미국 주식을 팔 예정인데, 그때는 달러를 다시 원화로 바꿔야겠죠. 수익률이 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으려면 1년 뒤에도 1달러를 1300원에 바꿀 수 있어야 할 겁니다. 그래서 이 기관투자가는 은행과 계약을 합니다.은행에 1년 뒤에 1달러를 1300원으로 바꿔달라고 하는 거죠. 만약 1년 뒤 1달러의 가치가 1300원
-
숫자로 읽는 세상
세계 인구 80억명 돌파…"15년 후 90억명"
전 세계 인구가 15일 80억 명을 돌파했다. 빈국의 출산율이 여전히 높아 15년 뒤에는 90억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다.유엔은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15일 세계 인구가 8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는 인류 발전의 이정표”라고 밝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기대수명을 늘리고 산모와 아동 사망률을 극적으로 떨어뜨린 보건 분야의 발전에 경탄한다”고 말했다.세계 인구는 1975년 40억 명에서 47년 만에 두 배로 뛰었다. 1975년 40억 명이던 인구는 1987년 50억 명, 1999년 60억 명, 2011년 70억 명을 넘어섰다.지난 7월 11일 유엔이 ‘세계 인구의 날’을 맞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증가율은 1960년대 초 정점을 찍은 뒤 급격히 둔화해 2020년에 1% 미만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유엔은 기대수명과 가임연령 인구 증가로 세계 인구가 2030년 약 85억 명, 2050년 97억 명으로 늘어나다가 2080년 약 104억 명으로 정점을 찍고 2100년까지 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세계 인구가 70억 명에서 80억 명으로 늘어나는 데는 약 11년이 걸렸다. 앞으로 10억 명 더 늘어 90억 명이 되는 시점은 15년 뒤인 2037년으로 예측됐다. 유엔은 “세계 인구의 전반적인 성장률이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분석했다.2020년 5183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한국 인구는 올해 5162만 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한국통계청은 세계 인구가 100억 명을 넘어서는 2058년엔 한국 인구가 4360만 명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관측했다.지역별로는 올해 기준으로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인구가 23억 명으로 세계 인구의 29%를 차지한다. 국가별로는 중국과 인도 인구가 각각 14억 명
-
사진으로 보는 세상
50년 만에 다시 달나라로…아르테미스 발사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무인 달 탐사 로켓 ‘아르테미스Ⅰ’이 지난 16일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에서 거대한 화염을 내뿜으며 우주로 날아올랐다. 우주선은 21일 달에 약 100㎞까지 접근해 달의 남극과 북극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궤도를 6일간 돌고 지구로 돌아온다. NASA는 이번 발사로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중단한 유인 달 탐사를 50여 년 만에 다시 시작했다. 연합뉴스
-
키워드 시사경제
"전 떠납니다, 이자 1원이라도 더 주는 곳으로"
“바로 전날 창구에서 연 6.5% 금리 예금에 가입한 고객이 다음날 해지했어요. 알고 보니 우리보다 규모가 큰 저축은행이 금리를 올리자 그쪽으로 갈아탔더라고요.”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들이 예금 금리를 평균 연 5%대 중반까지 높였지만 자금을 유치하기가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내건 예·적금 상품을 찾아 수시로 옮겨 다니는 소비자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이들을 유목민(nomad)에 빗대 이른바 ‘금리 노마드족’이라 부른다. 똑똑해진 예·적금 가입자들 … 비대면으로 쉽게 ‘환승’금융회사는 크게 1금융권과 2금융권으로 나눌 수 있다. 1금융권은 은행이고 2금융권은 저축은행, 보험사, 증권사, 카드사 등 은행을 뺀 나머지 업체다.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규모가 작고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지만 예금금리와 대출금리 모두 높다는 특성이 있다. 이름이 ‘OO은행’이면 1금융권, ‘OO저축은행’이면 2금융권이다.지난달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단숨에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두 번 연속 단행한 이후 저축은행들은 최고 6%대 중반에 이르는 특판 예·적금을 쏟아냈다. 10년 전에나 볼 수 있던 고금리에 매력을 느낀 소비자들은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특판을 시작한 저축은행마다 수천억 원의 자금이 몰려들어 하루이틀 만에 마감하는 일이 수두룩했다.하지만 이렇게 돈을 끌어모아도 경쟁사가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하면 순식간에 빠져나가는 사례가 잦아지면서 저축은행들은 자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예금이 다른 업권에서 유입되는 게 아니라 저축은행 안에서 돌고 도는 현상이
-
숫자로 읽는 세상
엔저에 수입물가 치솟아…日, 4분기 만에 '역성장'
세계 3위 경제대국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이 4분기 만에 마이너스 성장했다. 엔화 약세로 인한 수입 물가 상승이 경제 성장을 짓눌렀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내수 위축도 원인으로 꼽힌다.일본 내각부는 지난 3분기 물가 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GDP가 전 분기보다 연율 기준으로 1.2% 감소했다고 15일 발표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1.2%)를 크게 밑도는 성적이다. GDP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지난해 3분기(-2.5%) 후 처음이다.일본 경제는 지난 2분기까지만 해도 4.6%에 달하는 고성장을 기록했다. 하지만 엔화 약세로 원자재 등 수입 비용이 불어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 3분기 수출이 직전 분기보다 1.9% 늘어난 반면 수입은 5.2% 급증했다. S&P 글로벌마켓인텔리전스의 다구치 하루미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엔화 가치가 빠르게 하락하면 일본 기업들은 비용 증가로 타격을 받는다”며 “글로벌 경기가 둔화하고 있기 때문에 수출품에 비용을 쉽게 전가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코로나19 재확산으로 소비 심리가 얼어붙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8월 일본에선 하루 신규 확진자가 20만 명대를 기록했다. 시민들이 외출을 자제하면서 소비가 둔화했다. 지난 2분기 1.3%를 기록한 민간 소비는 3분기 0.3%로 감소했다.허세민 한국경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