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커버스토리
투기의 역사‥연금술서 닷컴까지, 튤립에서 주식까지
욕망이 빚어낸 악의 꽃 문명 발전시키는 촉매 되기도 인류 역사에서 시장이 등장하면서 투기도 생겨났다. 어쩌면 투기가 없는 시장은 따분해서 생기가 없다고도 할 수 있다. 인간은 스스로 합리적이라고 믿지만 행동은 합리성과 거리가 멀 때가 더 많다. 이기심을 넘어선 탐욕과 집단 착각에 빠지는 미몽(헛된 꿈)이 합쳐질 때 투기는 활짝 꽃을 피운다. 중세의 연금술에서부터 현대의 닷컴열풍까지, 투기는 곧바로 버블(거품)을 낳았다. 거품이 터진...
-
커버스토리
부동산에서 미술품까지 전세계가 투기열풍
넘치는 돈이 거품 만들어 전 세계가 투기 열풍에 빠져 들고 있다. 주식은 물론 부동산 원자재 미술품, 기업, 그리고 정크본드(신용도가 낮은 채권)에 이르기까지 돈이 되는 것이면 대상과 장소를 가리지 않는 사재기가 지구촌을 흔들고 있다. 이에 따라 거의 모든 자산 가격이 동반 급등세를 보이고 있으며 버블(거품) 붕괴에 대한 우려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다. ◆돈되는 것이면 뭐든지 사들인다 투기 대상 중 최근 급등세가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단...
-
경제 기타
미국 자동차업계 또 구조조정 회오리
사모펀드 서버러스 美3위 크라이슬러 인수…포드도 경영악화로 지분매각설 세계 자동차 업계에 일대 지각 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미국의 사모펀드인 서버러스캐피털이 최근 미국 3위 자동차업체인 크라이슬러를 매입한 데 이어, 2위인 포드도 지분 매각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서버러스가 크라이슬러를 모회사인 다임러크라이슬러로부터 매입한 금액은 74억1000만달러. 이는 1998년 다임러가 크라이슬러를 인수할 당시 지불했던 360억달러에...
-
경제 기타
(35) 김정만 LS산전 부회장
"노래 한곡 불러도 '몸을 던져' 불러라" #장면 하나. 19살 꿈 많던 학창 시절, 의사가 되고 싶었다. 하지만 사정은 여의치 않았다. 아버지가 운영하시던 무역회사가 무너졌고 대학 진학은 수포로 돌아갔다. 집에 돈이 없어 아버지의 머리를 직접 깎아드려야 할 정도였다. 도무지 앞길이 보이지 않았다. 3년이라는 시간을 원망하며 보내다 친척의 도움으로 겨우 학비를 마련했다. 부산대 경영학과에 입학했지만 적응이 쉽지 않았다. #장면 둘...
-
경제 기타
병역특례 요원 배정 중단해도 되나요?
☞한국경제신문 5월2일자 A10면 내년부터 정보기술(IT) 벤처기업에는 산업기능요원이 배정되지 않는다. 병무청은 1일 검찰의 병역특례업체 비리 의혹 수사와 관련,"2008년부터 IT업체에 보충역 요원의 지원을 중단하는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보통신부 문화관광부 등 관련 부처와 IT업계의 반발이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최근 검찰이 일부 산업기능요원 및 병역특례 업체들의 비리 정황을 포착했고 이에 대한 비난 여론이 들...
-
경제 기타
美증시 나타내는 대표지수 '다우지수'
미국 증시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기사에는 어김없이 '다우지수'가 등장한다. 다우지수는 우리나라 증시의 '코스피'(KOSPI·옛 종합주가지수)와 비슷한 것으로 미국 증시를 대표하는 지수다. 다우지수는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의 줄임말이다. 뉴욕증권시장에 상장된 우량기업 주식 30개 종목의 주가를 평균해 산출하는 주가지수로, 세계 자본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이기도 하다. 세계 최고의 경제신문 중 하나인 '월스트리트저널'을 발행하는 다우존스(Dow...
-
경제 기타
경제퀴즈 풀고 중국가자! 고수들 다 모여라
'경제문제 풀고 중국 가자!' 평소 쌓은 경제지식을 인터넷 상에서 겨뤄보는 경제퀴즈 대회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린다. 입상자에게 푸짐한 상금과 함께 중국 문화 탐방의 특전이 주어져, 평소 경제 수업과 생글생글을 통해 꾸준히 경제공부를 한 고교생들이라면 한번 도전해볼 만하다. 한국경제신문사는 인터넷 포털사이트인 드림위즈와 공동으로 '제1회 경제퀴즈 배틀'을 오는 6월1일부터 한 달간 개최한다. 이 행사는 CJ, 도원디테크, LG텔레콤이 협찬한다...
-
경제 기타
진정한 여권신장
올해 행정고시 합격자 중 여성의 비중이 40%를 넘어서면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행정고시뿐만 아니라 사법고시와 다른 공무원 임용시험 등에서도 여풍(女風)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런 현상을 두고 여러 언론에서는 여권이 신장되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현실 속에서는 아직도 많은 여성들이 여러 문제에 부닥치고 있다. 문제는 비정규직으로 고용된 여성이 많은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노동자의 70%가 비정규직이다. 이는 준비가 덜된 여성들을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