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당연한 것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기
똑같은 것을 봐도 사람마다 느끼는 바가 다르다. 이유는 각자의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관점을 디자인하라>를 펴낸 박용후 피와이에이치 대표이사는 ‘관점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고 단호하게 주장한다. 관점은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할 때 그 사람이 보고 생각하는 태도나 방향 또는 처지’를 뜻한다. 같은 것을 봤는데 결과의 차이가 크다면 올바른 관점을 갖도록 노력하고 탐구해야 할 일이다. 현재...
-
과학과 놀자
해조류·해초류 심는 '바다식목일' 아시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해조류를 즐겨 먹는다. 육수를 낼 때 빼놓지 않고 넣는 다시마, 생일이면 꼭 먹는 미역국,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좋아하는 구운 김, 호호 불면서 먹는 재미가 있는 매생잇국, 톳나물 무침, 파래 초무침, 꼬시래기 무침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돼 밥상에 자주 올라온다. 해조류는 광합성을 하는 생물로 광합성 색소에 따라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구분된다. 특히 파래 매생이는 녹조류, 미역 다시마 톳은 갈조류, 김 꼬시래기는 홍...
-
경제 기타
편의점 속 비밀을 찾아서
주니어 생글생글은 제67호 커버 스토리를 통해 편의점의 인기를 경제적 관점에서 살펴봤습니다. 지면에 편의점 내부 일러스트를 펼쳐놓고 상품 진열에 숨은 마케팅 요소를 분석했습니다. 또 편의점의 시작과 발전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내 꿈은 기업가에선 ‘과자 왕국’을 이룬 이양구 오리온(옛 동양제과) 창업주의 삶을 소개했습니다. 주니어 생글 기자들은 ‘나의 베프’를 소개하는 글과 사진을 보내...
-
경제 기타
탄소배출량 많은 수입제품에 더 높은 관세
수능에서는 종종 환경 관련 비문학 지문이 출제되곤 했습니다. 최근 환경 관련 이슈가 다양하게 나오고 있죠. 그중에서도 ‘탄소국경세(CBAM: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는 올해 발효를 앞두고 있는 만큼 공부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탄소국경세란 탄소국경세는 자국보다 탄소 배출 규제가 약한 국가,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의 수출 품목에 부과하는 관세입니다. 유럽연합(EU)과 미국이 주도적으...
-
교양 기타
가려운 데 말고 엉뚱한 데를 긁는 사람
이 가려움 김우태 코뿔소가 씨잉 바람을 가르며 나무둥치를 들이받는 것은 코끝이 불현듯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벚나무가 송글송글 꽃망울을 매달고 허공을 어루만지는 것은 뿌리가 갑자기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른 아침 동네 할아버지들이 나무둥치에 등을 비벼대는 것도 생이 참을 수 없이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가려워서 잠 못 이루는 사람들 복권을 긁듯 뼛속까지 시원히 긁어보지만, 긁을수록 온 몸 번져 나는 꽃 반점 가려움은 끝내 재울 ...
-
커버스토리
전세·증권·폰지사기…끊이지 않는 이유 뭘까
‘사기 사건’이 잇달아 터져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올랐습니다. 사기는 경제적 이익(돈)을 얻으려고 다른 사람을 속이는 범죄 행위입니다. 아파트나 오피스텔, 빌라(다세대·연립) 등의 전세금을 가로채는 ‘전세사기’가 먼저 불거졌습니다. 서울과 경기 화성, 인천, 부산 등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사기로 자신의 전 재산인 전세금을 떼인 피해자들의 안타까운 사연이 연일 언론에 소개됐습니다. 특히 피해자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특허침해' 공동 소송대리권 달라는 변리사 요구는 타당한가
변호사는 의사와 더불어 국가가 공인하는 대표적인 전문 자격사다. 특허 문제를 전담하는 변리사도 전문성이 있는 정부 인정 자격증 소유자다. 그런데 법원에서의 소송 대리는 변호사가 전담하고 변리사는 행정소송에 한해 제한적으로만 할 수 있다. ‘변호사가 아니면 소송대리인이 될 수 없다’고 민사소송법에 명시돼 있다. 하지만 변리사들이 이에 반대하며 소송대리권 확대를 요구해왔다. 이 문제로 두 전문가 집단 간에는 십수 년간 공방과 ...
-
역사 기타
베르사유 달려간 '아줌마'…루이 16세 끌어내려
1789년 10월 5일, 수천 명의 프랑스 ‘아줌마’들이 파리 남서쪽 베르사유궁전으로 행진을 시작한다. 아줌마라는 단어를 쓴 것은 여성 비하 의도가 아니라 이 집단의 뉘앙스를 살리는 데 이만한 단어가 없어서다. 이들은 파리의 생선 장수였다. 억척스럽고 힘까지 좋은 이 근육질 아줌마들이 생선 다듬는 칼을 들고 20㎞에 달하는 행진을 벌인 것은 왕비가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잖아’라고 조언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