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려움김우태 시인은 1989년 등단한 이후 28년 만에 첫 시집을 펴낼 정도로 우직한 사람입니다. 그는 “대학 졸업반 때 처음 응모한 신춘문예에 덜컥 당선된 뒤 오히려 백지가 두려워졌다”며 “막연히 꿈꾸던 시인이 됐지만, 자신을 드러내는 게 겁이 나서 시를 쓰지 못하고 한동안 ‘사막’을 헤매고 다녔다”고 말합니다.
김우태
코뿔소가 씨잉 바람을 가르며 나무둥치를 들이받는 것은
코끝이 불현듯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벚나무가 송글송글 꽃망울을 매달고 허공을 어루만지는 것은
뿌리가 갑자기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른 아침 동네 할아버지들이 나무둥치에 등을 비벼대는 것도
생이 참을 수 없이 가려워졌기 때문이다.
가려워서 잠 못 이루는 사람들
복권을 긁듯 뼛속까지 시원히 긁어보지만,
긁을수록 온 몸 번져 나는 꽃 반점
가려움은 끝내 재울 수 없다.
하느님도 가려우신지
봄밤 대책 없이 툭툭 불거지는 저 별들 어찌할꼬!
* 김우태 : 1964년 경남 남해 출생. 부산대 국문과 졸업. 1989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 시집 <비 갠 아침> 등. 오월문학상 수상.
‘시가 내리지 않는 백지는 절벽보다 캄캄하다./새가 깃들지 않는 숲이 사막보다 적막하듯이//모래시계가 열두 번,/사막의 밤을 뒤집을 동안/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떨고 섰는 낙타야!/잔뜩 짐을 진 너의 잔등은/허물어진 사원의 종루(鐘樓)처럼 힘겹게 솟아 있구나.’(‘백지 앞에서’ 부분)
다시 시를 쓰게 된 것은 결혼하고 자식을 셋이나 낳은 뒤부터였지요. 그는 “세월이 흐르면서 인간이 완전할 때 시를 쓰는 게 아니라 모자란 상태에서 좀 더 완전에 가까워지기 위해, 팽팽하게 긴장된 삶의 줄을 놓치지 않으려고 애쓸 때 쓰게 된다는 것을 어렴풋이나마 알게 됐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그의 시에는 오래 기다린 사람만이 갖는 깊이와 삶의 줄을 놓치지 않으려는 사람의 긴장감이 동시에 묻어납니다. ‘이 가려움’이라는 시도 그렇습니다.
그는 코뿔소의 코끝과 벚나무의 뿌리를 통해 ‘참을 수 없는 생의 가려움’을 이야기하면서 ‘가려워서 잠 못 이루는 사람들’과 ‘긁을수록 온 몸 번져 나는 꽃 반점’을 함께 어루만집니다. ‘하느님도 가려우신지/봄밤 대책 없이 툭툭 불거지는 저 별들을 어찌할꼬!’라는 대목에서는 시적 상상의 나래를 하늘까지 펼칩니다.
그는 실제로 봄마다 가려움을 앓습니다. 무슨 알레르기인지, 봄만 되면 유독 가려움을 많이 타서 자다가도 무심결에 긁어대다 보니 가슴에 선명한 오선지 자국이 남을 정도라고 합니다.
가려움은 딸꾹질만큼이나 감추기 어렵지요. 그는 가끔 이렇게 말합니다. “누가 거짓말하면 딸꾹질한다고 했던가. 참을 수 없다는 점에서 딸꾹질도 일종의 가려움이다. 뭔가 몸에서 빠져나가거나 몸으로 들어오려 할 때 나는 몹시 가려움을 느낀다.”
그의 말을 빌리면 모든 생명 있는 것은 다 가렵습니다. 생명의 꾸밈없는 신호인 이 가려움을 참을 방도가 있을까요. 이 시에 나오듯이 가려움은 코뿔소처럼, 꽃망울처럼 힘이 셉니다. 가려움은 봄밤의 별처럼, 팝콘처럼 일시에 툭툭 터져서 속수무책으로 밀려오지요. “어찌 막을 수 있으랴! 딸꾹질과 우스꽝스러움의 형제인 이 가려움을 누가 잠재울 수 있단 말인가.”
가려운 사람은 마려운 사람 사정을 잘 압니다. 눈빛만 봐도 통하지요. 이렇게 가려움은 세상 모든 살아 있는 것과 친밀하게 연결됩니다. 봄밤, 가려움에 쩔쩔매는 뭇 생명들은 눈물 나게 정겹기도 하지요.
요즘도 밤마다 ‘가슴에 오선지’를 그리느라 잠을 설친다는 그가 모처럼 환하게 웃으며 한마디 합니다. “피가 나도록 긁어본 사람은 알까. 어찌하여 너무 기쁘면 눈물이 나고, 너무 슬프면 웃음이 나오는지. 가려운 데를 긁어주겠다며 허구한 날 엉뚱한 데를 긁어 욕먹는 정치인들에게는 정말이지 간지럼빵 한방 날려주고 싶다.”√ 음미해보세요 김우태 시인의 시에는 오래 기다린 사람만이 갖는 깊이와 삶의 줄을 놓치지 않으려는 사람의 긴장감이 동시에 묻어납니다. ‘이 가려움’이라는 시도 그렇습니다. 그는 코뿔소의 코끝과 벚나무의 뿌리를 통해 ‘참을 수 없는 생의 가려움’을 이야기하면서 ‘가려워서 잠 못 이루는 사람들’과 ‘긁을수록 온 몸 번져 나는 꽃 반점’을 함께 어루만집니다. ‘하느님도 가려우신지/봄밤 대책 없이 툭툭 불거지는 저 별들을 어찌할꼬!’라는 대목에서는 시적 상상의 나래를 하늘까지 펼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