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59>- Wake Up and Smell the Coffee!

    자신의 영작을 구성할 때 명사 문장을 많이 쓰면 글의 흐름 자체가 딱딱해지고 내용이 추상적이 되기 쉽다. 학생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명사 구문을 많이 쓰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글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전달하고 능동적이며 전체적인 내용의 흐름도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표현하고자 한다면 동사 구문을 사용한 글을 작성하도록 하자. 에세이의 주된 의도는 설득력 있는 문장을 작성함으로써 내용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명사 구문보다는 평소...

  • 학습 길잡이 기타

    <45> 맹자 어머니가 세 번 이사한 가르침

    孟 母 三 遷 之 敎 맏 맹 어미 모 석 삼 옮길 천 어조사 지 가르칠 교 맹자 어머니가 세 번 이사한 가르침. 교육에 있어서 환경이 중요함. 맹자의 어머니는 공동묘지 근처에 집을 얻어 살았는데,맹자가 장사지내고 곡하며 노는 모습을 보고 시장 옆으로 이사를 갔다. 그런데 이번에는 맹자가 흥정하고 장사하며 놀자 다시 서당 옆으로 집을 옮겼다. 그랬더니 맹자가 학동들의 모습을 보고 책을 읽는 시늉을 했다고 한다. 여러...

  • 학습 길잡이 기타

    AOT (5)

    문제 다음 정보에 기초해서 설명할 수 있는 사실로서 가장 부적절한 것은? 우리가 식사를 하면 위는 소화활동을 위해 위액을 분비하고 음식을 장으로 보내는 연동운동을 한다. 평상시 이 연동운동은 우리가 배고픔을 느꼈을 때 '혈당치가 내려갔다'는 신호가 뇌에 전해져 일어난다. 그러나 이 연동운동은 공복 시뿐만 아니라 단 것이나 좋아하는 것을 눈앞에 두었을 때에도 일어난다. 이것은 시각정보가 뇌에 전해짐으로써 연동운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51. 토마스 쿤「과학혁명의 구조」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질 때 과학의 혁명이 일어난다 조선후기 문장가 유한준이 '석농화원(石農畵苑)' 발문에 쓴 글은 무척 유명해서 이곳저곳에서 자주 인용되곤 한다. '안목(眼目)'이란 제목을 단 발문의 마지막 부분을 대략 옮기자면,'아는 만큼 사랑하게 되고,사랑하는 만큼 볼 수 있으니,그러한 사람은 남과 다르다(知則爲眞愛 愛則爲眞看 看則畜之而非徒畜也)'이다. 유한준의 글이 대중적 유명세를 얻게 된 데는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 답...

  • 학습 길잡이 기타

    경기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 논술 문제풀이

    [문항 1] 다음에 제시된 글과 사진을 보고 [가],[나],[다]가 포착하고 있는 시간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750±50자) 가 청산도 절로절로 녹수도 절로절로 산 절로 수 절로 산수 간에 나도 절로 이 중에 절로 자란 몸이 늙기도 절로절로 -고등학교 문학- 나 우렁탸게 토하난 긔딕(汽笛) 소리에 남대문을 등디고 떠나 나가서 빨리 부난 바람의 형세 갓흐니 날개 가딘 새라도 못 따르겟네 늙은이와 뎔믄...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호림의 S몰입수학 <6>

    고교생이 꼭 알아야 할 수능형 문제 6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58>- Get Your Ducks in a Row!

    영어는 기본적으로 반복을 피하는 언어이다. 영작문을 할 때도 한 번 사용한 단어는 되도록이면 반복해 쓰지 않아야 한다. 이전 호를 살펴 보면,영작문을 쓸 때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동의어나 유사어를 사용하라는 것을 중요시 하였다. 하지만,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무턱대고 동의어나 유사어를 쓸 경우 앞뒤의 문맥이 어색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어를 사용할 때 단순히 단어의 평면적 의미만을 생각하지 말고 각각의 뉘앙스를 구분해야 하는 것이다....

  • 학습 길잡이 기타

    <44>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과 같다

    過 猶 不 及 지나칠 과 같을 유 아니 불 미칠 급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음. 논어(論語) '선진편(先進篇)'에 나오는 말이다. 자공(子貢:공자의 제자)이 공자에게 물었다. "사(師:공자의 제자,자장의 이름)와 상(商:공자의 제자,자하의 이름) 중에 누가 더 낫습니까?" 공자가 대답했다. "사는 지나치고 상은 미치지 못한다." "그럼 사가 낫다는 말씀입니까?"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