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50>- Walk a Mile in My Shoes!
▶ 일반적 실수 3 : 주어가 복수형으로 보여질 때의 주어-동사 일치의 실수 문장 내에서 때때로 복수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아닌 주어가 존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Neither ambient techno nor trance were (was) a part of mainstream listening habits in the United States 10 years ago. 위의 문장에서 두 개의 주어가 존재하지만,이 두 개의 단수 주어...
-
학습 길잡이 기타
<29> 아들라이 스티븐슨 美재향군인협회 총회 연설 (下)
The road we travel is long,but at the end lies the grail of peace. And I should tell your-my fellow Legionnaires-as I would tell all other organized groups,that I intend to resist pressures from veterans,too,if I think their demands are excessive or...
-
학습 길잡이 기타
<36> 창과 방패
矛 盾 창 모 방패 순 창과 방패. 말이나 행동의 앞뒤가 맞지 않음. 초(楚)나라에 창과 방패를 파는 상인이 있었는데 자신의 물건을 자랑하며 말했다. "이 창은 너무도 예리해 세상에 뚫지 못할 방패가 없으며,이 방패는 세상 어떤 창이나 칼로도 뚫을 수 없습니다." 이 말을 듣고 있던 어떤 사람이 물었다. "그렇다면 자네의 창으로 자네의 방패를 찌르면 어떻게 되는가?" 상인은 아무런 대답도 하지 못했다. 고대부터 창은 상대방을...
-
학습 길잡이 기타
42. 세르반테스「돈 키호테」
무모할지라도 행동하는 인간이 역사를 이끌어간다? 당신은 어느 유형에 속하는가? 햄릿 형,아니면 돈 키호테 형? 러시아의 문호 투르게네프(Turgenev)는 인간을 둘로 구분하여 '햄릿'과 '돈 키호테'라는 극명하게 대비되는 두 인간상을 제시하였다. 물론,세상에 얼마나 하고 많은 무수한 인간 유형이 있겠냐만은 이를테면 단순명쾌하게 나누어 그렇다는 이야기이다. '사느냐 죽느냐 그것이 문제로다'를 고민하는 우유부단한 햄릿과,현실 감각은 없지...
-
학습 길잡이 기타
부산대학교 2010학년도 논술 예시문제 풀이
민족은 상상의 공동체인가? <문제 1> 아래 글에는 단일민족신화가 빚어낸 갖가지 개념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 글을 참고하여 우리 사회 내부에 존재하는 단일민족신화의 허구성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서술하시오. (600자 ±100자) 최근에는 옛날부터 일본에 유포되어 있는 '단일민족 신화'에 관해서 공부하고 있다. 꽤 재미있는 공부다. DNA니 하는 말이 없었던 시대의 학자와 정치가들이 오리지널리티에 넘치는 거짓말을 제멋대로 지껄여...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7>
생글경시대회 자연계 문제 및 해설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몸 이름 바로알기 ⑨ '쓸개 빠진 사람'이 줏대가 없는 까닭
"나는 쓸개 없는 개그맨입니다." 지난 9월 인천시 송도파크호텔에서 열린 한 자선모임에 참석한 개그맨 이아무개 씨가 인사말을 했다. 며칠 전 급성 담낭염으로 수술받은 자신을 우리말 속담에 빗대 재미있게 표현한 것이다. 담낭염은 담석이나 종양 등이 원인이 돼 담낭(膽囊)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인데,심해지면 맹장처럼 떼어내기도 한다. 한자어 '담낭'에 해당하는 우리 고유어가 '쓸개주머니'이다. 쓸개는 간에서 분비되는 쓸개즙을 일시적으로 저...
-
학습 길잡이 기타
118. '윗'과 '웃'
남에서는 '위(上)',북에서는 '우' '웃통'은 윗옷(上衣)을 뜻하기도 하고 허리 위의 부분,즉 상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이를 '위통'이라 하지 않는 이유는 이때 쓰인 '통'이 '위통/아래통' 식으로 대비되는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말에 '아래통'이란 말이 있긴 하지만 이는 '웃통'과는 관계없는,전혀 다른 말이다. '아래통'은 "바지의 아래통이 너무 넓다"처럼 쓰이는데,이는 '아랫부분의 둘레를 나타내는 말'이다. '웃돈'도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