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습 길잡이 기타
104. '떨다'와 '털다'
'재털이'가 단어가 되지 못한 이유 옷에 묻은 먼지는 떨어야 할까,털어야 할까. 대추나무에 열린 대추를 따려면 대추나무를 떨어야 하나,털어야 하나. '떨다'와 '털다'는 의미적으로도 비슷할 뿐만 아니라 그 쓰임새 역시 미세한 차이만을 보여 여간해선 구별해 쓰기 힘든 말이다. 그러다 보니 '재떨이'와 '재털이'는 어느 게 바른 말인지 또는 두 가지 다 써도 좋은 것인지 헷갈리기 십상이다. 우선 '떨다'와 '털다'의 사전적 풀이를 보면 각...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35> - Saying is One Thing: Doing is Another!
영작문을 쓸 때 적용할 수 있는 12가지 규칙중의 2번째를 이번 호에 소개하고자 한다. Rule 2 : 미완성 문장 (Sentence Fragment) 과 끝나지 않는 문장 (Run-On Sentence) 의 작성을 피하라. 미완성 문장이란 독립된 절을 가지지 않은 것을 의미하며,끝나지 않는 문장이란 부적절하게 연결된 2개 이상의 독립된 절로 쓰여진 문장을 의미한다. TOEFL Writing 시험을 치를 때의 긴장감으로 미완성으로 혹은 흐...
-
학습 길잡이 기타
⑭ 더글러스 맥아더의 웨스트 포인트 연설 <下>
“Your mission remains fixed,determined,inviolable.It is to win our wars” And 20 years after,on the other side of the globe,again the filth of murky ①foxholes,the ②stench of ghostly trenches,the ③slime of dripping dugouts:those boiling suns of relent...
-
학습 길잡이 기타
<21> 친구가 버린 대나무 말
竹 馬 故 友 대 죽 말 마 옛 고 벗 우 대나무 말을 타던 옛 친구. 어렸을 때부터 사귄 친구. 진(晉)나라 환온(桓溫)은 어려서부터 친구인 은호(殷浩)와 사이가 나빠져 그를 규탄하는 상소를 올린다. 이 일로 결국 은호는 변방으로 귀양을 가게 된다. 환온이 말했다. “나와 은호는 어려서 죽마를 함께 타던 친구다. 내가 죽마를 버리면 은호가 언제나 가지고 갔다. 그러니 그가 내 밑에 있는 것은 당연하다.” 시간이 흘...
-
학습 길잡이 기타
27. 마르틴 부버「나와 너」
인간은 '관계' 속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을 수 있다.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오가면서 여름 무더위가 한창이다. 위세 등등한 여름 하늘을 지배하는 염제(炎帝)를 피해 한적하게 피서를 즐기고 싶다면 책장 사이로 난 오솔길을 총총히 걸어가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활자의 수풀을 구비구비 지나는 여러 갈래의 오솔길 중에서도 특히 정갈한 느낌이 드는 길을 하나 소개하자면 마르틴 부버의 글이 있다. 사람 얼굴에는 그가 타고난 것과 그가 만...
-
학습 길잡이 기타
동국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 논술 A형 문제 풀이(下)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경제적 효율과 사회적 형평은 모든 사회가 추구하는 중요한 가치이다. 그런데 두 가지 중 어떤 한 가치를 우선하게 되면 다른 가치가 위협받는다는 것이 문제이다. 따라서 대립적일 수 있는 두 개의 가치를 조화롭게 추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그동안 경제적 효율과 사회적 형평을 바탕으로 유럽 사회 모델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 중 한 연구는 유럽 사회 모델을 4개의 유형으로 구분...
-
학습 길잡이 기타
공초 오상순의 '담배 180개비'
1920년대 초 동인지 <폐허>를 통해 문단에 허무주의 시를 소개한 공초 오상순은 특히 평생을 무소유의 삶으로 일관해 문인들의 많은 존경을 받았다. 그런 그가 살면서 단 한 가지 욕심(?) 낸 것은 바로 담배였다. 하루에 보통 아홉 갑을 태웠다는 그는 심지어 결혼식 주례를 보면서조차 담뱃불을 끄지 않았다고 한다. 오상순이 하루에 피운 담배 아홉 갑은 낱개로 치면 무려 '180개비'에 해당한다. 그런데 우리말에서 이 '개비'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103. '-로부터'의 남용
'북한으로부터 탈출'보다 '북한에서 탈출'이 좋아 조사 '(으)로부터'는 '에서부터'와 같은 뜻을 가진 말이다. 어떤 행동의 출발점이나 비롯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격조사이다. 예를 들면 '휴전선으로부터 1㎞ 떨어진' '이 일로부터 비롯된…'과 같이 어떤 출발점이나 무엇이 비롯됨을 드러낼 때 제격이다. 시간이나 움직임의 방향 등을 나타내는 격조사 '로'와 시작의 뜻을 담는 보조사 '부터'가 결합한 말이다. 그런데 영어의 전치사 from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