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진학 길잡이 기타

    연세대 인문계열, 영어 제시문과 수학·통계자료까지 출제

    2021학년도 37개 대학이 1만1162명을 모집하는 논술전형은 학교마다 출제과목과 문제유형이 다르다. 난이도 또한 대학마다 차이가 크다.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대학별 맞춤식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정해진 시간 안에 논제를 이해하고 서론, 본론, 결론 등 논리적인 답을 쓰기 위해선 첨삭지도 등 훈련과정도 중요하다. 대학별 논술 출제유형 및 대비법에 대해 알아본다.기출문제·채점가이드 활용하면 큰 도움논술은 학교마다 출제유형이 모두 다르다. 인문계열의 경우 건국대(인문사회Ⅱ), 경희대(사회), 숭실대(경상), 이화여대(인문Ⅱ), 중앙대(경영·경제), 한양대(서울-상경) 등은 인문사회통합 문제를 기본으로 수학을 함께 출제한다. 이화여대(인문Ⅰ), 한국외국어대(서울/글로벌-인문계열)는 인문사회통합형을 골자로 영어제시문이 출제된다.연세대(서울) 인문계열은 영어제시문과 수학 자료 문제가 모두 나온다. 도표 및 통계자료를 분석해야 하는 문제까지 출제돼 논술 난도가 높고 문제가 까다롭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는 선발 방법에서도 짐작할 수 있는데, 연세대(서울)는 ‘논술 100%’의 방법으로 선발하면서 수능 최저학력기준도 적용하지 않는다. 순수하게 논술 성적만으로 선발하는 대학이기 때문에 논술 난도가 높기로 유명하다.자연계열의 경우도 동국대, 서강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등은 수학만 출제하지만 연세대(서울), 성균관대, 중앙대 등은 수학을 기본으로 과학을 추가로 선택해 치러야 한다. 반면, 서울여대는 수학이 나오지 않고 통합과학 논술을 치른다.이처럼 학교마다 다른 출제유형에 대비하려면 목표로 삼은 대학의 출제유형을 파악하고 맞춤식으로 준비하는 것이

  • 진학 길잡이 기타

    연세대 논술 합격 20%는 인문 4.0, 자연 3.7등급 이하

    대학입시에서 논술전형은 내신 성적이 낮은 학생들에겐 놓칠 수 없는 기회다. 논술전형에서 내신을 반영하더라도 등급 간 점수차가 크지 않아 내신이 끼치는 영향력은 미미한 편이다. 논술실력이 당락을 결정짓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신 4~5등급대에서도 주요대에 합격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내신 성적이 낮은 대부분의 학생들에겐 논술전형이 수시에서 주요대에 도전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인 셈이다.수도권 대학에 집중된 논술전형2021학년도 논술전형은 37개 대학에서 1만1162명을 모집한다. 전국 4년제 대학 전체로 봤을 때 선발 인원은 불과 3.2%에 불과하지만, 선발 인원 대부분이 수도권 대학에 집중돼 있다. 주요 10개 대학 중에서는 서울대와 고려대를 제외한 8개 대학에서 모두 실시하고, 서울권 소재 대학으로 넓혀보면 논술전형 모집 규모는 22개 대학 6979명에 달한다. 경기·인천 소재 대학 중엔 인하대 아주대 한양대(에리카) 등 10개 대학에서 2394명을 선발한다. 지방권 대학은 울산대 경북대 부산대 연세대(미래) 한국기술교대 등 5곳에서 1789명을 모집한다.대학별로 보면, 경북대가 772명으로 선발 인원이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중앙대(서울 705명), 부산대(533명), 성균관대(532명), 인하대(529명) 순으로 선발 인원이 많다.선발 방법은 연세대(서울), 연세대(미래), 건국대 등 3개 대학만 논술 100%로 선발하고 나머지 대학은 논술 성적과 학생부(교과 및 출결·봉사) 성적을 합산해 합격생을 가른다. 논술과 학생부를 모두 반영하는 대학 중 서강대 한양대(서울) 아주대 덕성여대가 학생부 반영 비중이 20%로 낮은 편이다. 반면 숭실대 울산대(의예) 경기대 단국대 등은 학생부 비중이 40%로 상대적으로 높

  • 진학 길잡이 기타

    치과대 11곳 629명·한의대 12곳 726명 선발

    전국에 치과대학은 11곳, 한의과대학은 12개 대학교에 설치돼 있다. 의과대학과 함께 자연계열 최상위권을 형성하는 그룹이다. 한의대는 인문계열 학생에게도 꽤 기회가 열려 있는 편이다. 12개 대학 중 7곳에서 인문계열 학생을 별도로 선발한다. 2021학년도 치대 및 한의대 입시에 대해 알아본다.치대 모집인원 83.0%, 한의대 91.2%가 수능성적 반영치대 및 한의대도 의대와 함께 입시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끼치는 영향력이 대단하다. 전국 11곳의 치대는 2021학년도 정원내로 총 629명을 뽑는데,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 또는 정시 등 수능성적이 평가에 반영되는 비율은 83.0%(522명)에 달한다. 한의대는 수능 영향력이 더 크다. 12개 한의대의 총 모집인원 726명 중 91.2%(662명)가 수능성적을 평가에 반영한다.정시는 물론 수시에서도 수능성적을 요구하는 대학이 상당수다. 치대의 경우 단국대(천안) 부산대 경북대 전북대 전남대 원광대 강릉원주대 조선대 등 8개 대학이, 한의대는 가천대 부산대 동국대(경주) 대구한의대 원광대 동신대 상지대 세명대 등 8곳이 수시 모든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수시 최저학력기준이라고 만만히 볼 수준이 아니다. 서울대 치의예과 지역균형선발(학생부종합)은 국어, 수학, 영어, 탐구(2) 4개 중 3개 각각 2등급을 충족해야 한다. 부산대 치의예과 지역인재전형(학생부교과)은 국, 수(가), 영, 과(2) 4개 중 3개 등급합 4로 그 기준이 상당히 높다. 한의대 중 그나마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가장 낮은 곳 중 하나가 대구한의대인데, 이 대학 또한 면접(자연, 학생부교과)전형에서 국, 수(가), 영, 탐(1) 4개 등급합 8로 만만치 않은 수준을 요구한다. 결과적으로 치대 및 한의대 입

  • 진학 길잡이 기타

    의대 2977명 선발…서울대 40% 반영 등 수능 수학 영향력 커

    고교 졸업 직후 진학할 수 있는 의과대학은 서울대 등 전국에 38곳이 있다. 올해 강원대가 의학전문대학원에서 학부 선발로 전환했으나 건국대와 차의과대는 의학전문대학원을 고수하고 있다. 2021학년도 전국 38개 의대는 정원 내로 총 2977명을 선발한다.전국 의대 38곳 정시 선발 비중 37.9%의대는 자연계열 최상위권 학과로 다른 학과에 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인 정시모집 비중이 높다. 2021학년도 38개 의대의 정시 비중은 평균 37.9%(1128명)에 달한다. 전국 4년제 대학 정시 비중 평균 23.1%보다 높은 수치다. 정시 다음으로 큰 비중은 수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31.0%(924명)다. 학생부교과는 26.2%(781명), 논술전형은 4.8%(144명) 수준이다.정시 지원 가능선은 자연계열 중 최상위권이다. 서울대 의예과의 정시 지원 가능선은 국어, 수학, 탐구 백분위 합계 298점(300점 만점), 연세대 의예과는 297점으로 분석된다. 영어는 1등급을 기본으로 해야 할 정도로 지원층 자체의 성적 수준이 높다. 297~298점은 국수탐 3개 과목에서 2~3문제 정도 틀리는 수준이다. 지방권 의대라고 해도 최소 국수탐 백분위 합 288~289점 수준을 요구하는데, 이는 서울대 자연계열 하위권 학과의 정시 지원선과 비슷한 수준이다.수능 최저 포함하면 전체 모집 중 86.8%에서 수능성적 요구의대 입시의 핵심은 수능성적이다. 의대는 정시뿐 아니라 수시모집에서도 대부분 수능을 최저학력기준으로 요구하고 있어 수능의 영향력이 매우 큰 것이 특징이다. 수시와 정시를 통틀어 의대 입시에서 수능이 당락에 영향을 끼치는 모집인원 비중은 86.8%(2583명)에 달한다.예를 들어 논술전형을 실시하는 10개 대학 중 여덟 곳에서 수능성적을 최저학력기준으로 요구한

  • 진학 길잡이 기타

    2022학년도 약대 14년 만에 학부 선발…수능 영향력 커질듯

    현재 고교 2학년생이 대입을 치르는 2022학년도부터 각 대학 약학대학이 14년 만에 학부 선발로 돌아간다. ‘2+4년제’(대학 2학년 수료 후 약대 편입해 4년 과정 이수)에서 통합 6년제로 변경되는 것이다. 약대는 2008학년도 이전 학부 선발 시절에도 자연계열에서 최상위권 그룹을 형성했다. ‘2+4년제’ 선발체제에서도 꾸준히 인기가 높았던 점을 고려하면 학부 선발로 전환한 뒤 의치한의대, 수의예과와 함께 자연계열 인기학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32개 약대 정시선발 평균 43.6%약학대학을 개설한 전국 37개 대학 가운데 2022학년도에 우선 학부 선발로 전환하는 학교는 32곳이다. 재외국민 및 외국인 전형을 제외하고 총 1574명을 선발한다. 이 가운데 일반전형으로 통용되는 정원 내 인원은 1403명이다. 나머지 171명은 농어촌, 사회통합 등 지원 자격이 제한되는 정원외 전형이다. 강원대 목포대 부산대 숙명여대 충남대 등 5개 학교는 2023학년도 학부 선발로 전환이 유력하다. 2023학년도에 37개 약대 모두가 학부 선발로 전환하면 전국 약대 총 선발 인원은 1700명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2022학년도 32개 대학의 정원 내 선발을 대학별로 살펴보면 이화여대와 중앙대가 120명으로 선발 인원이 가장 많고, 덕성여대(80명) 조선대(75명) 영남대(70명) 순으로 선발 인원이 많다. 서울대는 63명, 연세대는 30명을 뽑는다.전형유형별로 분석해보면, 대학수학능력시험 위주인 정시 선발 비중이 평균 43.6%(612명)로 높은 것이 특징이다. 수시 학생부교과 전형은 28.0%(393명), 학생부종합은 24.5%(344명), 논술전형은 3.8%(54명)에 그친다. 전국 4년제 대학의 평균 정시 선발 비중이 24.3%(대교협 발표 기준)에 그친다는 점을 고려해

  • 진학 길잡이 기타

    서울대 국어·영어교육과 합격선 국·수·탐 합계 294점 될듯

    중·고등학교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사범대 또는 교직 이수 과정이 설치된 전공과정을 졸업해야 한다. 국어교육과 등 ‘교육과’라는 명칭이 학과명에 붙는 사범계열 학과를 졸업하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해당 자격증만으로도 사립학교에 교사로 취업은 가능하다. 하지만 최근엔 사립학교도 대부분 국·공립학교 교사 선발을 위해 치르는 ‘중등교원임용고시’ 합격자를 원하는 추세라 사범계열 학과를 졸업한 뒤 임용고시까지 합격하는 과정이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다.주요 15개대 사범계열 인문·자연 총 1917명 선발사범계열 학과는 국어, 수학, 영어 등 과목별로 전공과정이 구분돼 있다. 사회, 과학 관련 전공도 지리교육, 물리교육 등과 같은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나뉜다. 일부 통합적인 성격의 학과도 있다. 주요 15개 대학 내에서 서울대 사회교육과, 이화여대 과학교육과 등이 그렇다. 이 밖에 주요 대학에 중앙대·이화여대 유아교육과, 이화여대 특수교육과와 같이 특수한 성격의 전공이 있다. 교육이론 등 교육공학에 무게를 둔 교육학과(교육공학과)도 다수 학교에 개설돼 있다. 교육학과는 수학, 영어 등 교과목 관련 전공을 복수전공해 해당 과목 교원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대학 입학 후 적성에 따라 교과목 전공을 정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주요 15개 대학 중 12개 대학에서 이와 같은 사범계열 학과를 모집한다. 서강대 경희대 서울시립대는 문·이과 학생들이 진학하는 사범계열 학과가 없다. 12개 대학에서 2021학년도 예체능을 제외하고 인문·자연계열을 합해 정원내 기준으로 총 1917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대학별로는 이화여대가 370

  • 진학 길잡이 기타

    '직업선호 최상위' 초등교사 되는 길…교대 등 4184명 선발

    초등학교 교사가 되려면 전국 10개 교육대 또는 3개 일반대 초등교육과를 졸업한 뒤 각 시·도교육청별로 치러지는 임용고시에 합격해야 한다. 올해 전국 교대 및 초등교육과는 정원 내외 기준으로 총 4184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2020학년도 시·도별 임용고시 선발인원은 장애인 전형을 제외하고 3584명으로, 매해 교대 졸업생보다 조금 적은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교대·초등교육과 합격선은 주요 15개 대 수준교사라는 직업의 인기에 힘입어 이들 대학의 합격선은 상당한 수준이다. 이화여대 초등교육과의 정시 지원이 가능한 점수대는 국수탐 백분위 합 289.0점으로 연세대와 고려대 일부 학과의 지원선과 비슷하다. 서울교대는 288.0점으로 성균관대, 서강대의 일부 학과 수준에 해당한다. 공주·대구·춘천 등 지방권 교대의 경우 정시 지원선은 274.0점으로 동국대와 홍익대에 지원해볼 만한 점수다. 결과적으로 전국 어디든 교대 또는 초등교육과에 지원하려면 최소 주요 15개 대학에 지원할 수 있는 정도의 실력은 갖춰야 한다는 말이다.교대와 초등교육과는 지역 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 지역 학생을 뽑는 지역인재 전형을 유지하고 있다. 교대 중엔 서울교대와 경인교대를 제외한 8개 대학과 제주대 초등교육과에서 지역인재 전형을 운영한다. 해당 지역 학생들만 응시할 수 있기 때문에 경쟁률 및 합격선이 다른 전형에 비해 소폭 낮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적이다.수시이월 고려하면 절반 이상 정시 선발교대 및 초등교육과 입시에서 핵심은 정시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국 10개 교대 및 3개 초등교육과의 최초 정시 선발비중은 40.9%(1712명)로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전국 4년

  • 진학 길잡이 기타

    경찰대·사관학교 5~6월 원서접수…상위권 10개大 수준

    5~6월 경찰대 원서접수를 시작으로 경찰대 및 사관학교 입시가 시작한다. 경찰대 및 사관학교는 매해 경쟁률이 수십 대 1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가 높은 특수대다. 1차 시험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비슷한 형태로 출제돼 수능을 미리 경험하고 싶은 대입 수험생들이 일부러 시험에 응시하는 사례도 많다.경찰대 고졸 선발 절반 축소…경쟁률 치솟을 듯올해 경찰대는 고졸 신입학 선발인원이 기존 100명에서 50명으로 줄고, 남녀 분리선발에서 남녀 통합선발로 바뀐다. 이는 경찰대 개혁안에 따른 조치로, 2021학년도 고졸 신입학 선발 규모를 50명으로 축소한 이후 2023학년도부터 나머지 50명은 현직 경찰관 및 일반 대학생 대상 편입학으로 선발할 예정이다.경찰대는 그동안 선발방법 변화에 따라 경쟁률이 크게 요동쳤다. 2018학년도에는 사관학교와 1차 시험 일정이 겹치면서 경쟁률이 전년 113.6 대 1에서 68.5 대 1로 크게 떨어졌었다. 경찰대와 사관학교 사이 중복지원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올해는 모집인원 축소로 경쟁률이 크게 치솟을 가능성이 크다. 2020학년도 경찰대 경쟁률은 47.5 대 1을 기록했다. 사관학교 중 육군사관학교와 공군사관학교는 최근 3년간 경쟁률이 상승했다. 육군사관학교는 2018학년도 32.8 대 1에서 2020학년도 44.4 대 1, 공군사관학교는 같은 기간 38.6 대 1에서 48.7 대 1로 올랐다.1차 시험 합격선, 주요 대학 지원 가능 수준경찰대 및 사관학교의 선발방법은 큰 틀에서는 비슷하다. 1차 필기시험과 2차 면접 및 체력검정, 학생부 및 수능 성적을 합해 최종 합격자를 선발한다. 1차 시험을 통과해야 2차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므로 1차 필기시험 합격이 관건이다. 1차 시험은 국어, 수학, 영어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