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판정 기준이 긍정문일 때 판단 실수 줄여

    특허청구범위는 특허 심사를 위한 발명을 널리 알려진 선행 발명과 비교하여 특허의 성립 요건인 신규성과 진보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이 요건들을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과 선행 발명을 비교하여 심사할 때, 신규성은 선행 발명과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고, 진보성은 선행 발명으로부터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신규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발명의 구성 요소가 선행 발명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어 완전히 일치하는 물리적...

  • 이력(履歷)은 내 신발(履)이 걸어온 역사

    구두를 위한 삼단논법 윤성학 갈빗집에서 식사를 하고 나오다가 신발 담당과 시비가 붙었다 내 신발을 못 찾길래 내가 내 신발을 찾았고 내가 내 신발을 신으려는데 그가 내 신발이 내 신발이 아니라고 한 것이다 내가 나임을 증명하는 것보다 누군가 내가 나 아님을 증명하는 것이 더 참에 가까운 명제였다니 그러므로 나는 쉽게 말하지 못한다 이 구두의 이 주름이 왜 나인지 말하지 못한다 한쪽 무릎을 꿇고 앉아 꽃잎 속에 고인 햇빛...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국어, 영역별 시간 안배해 반복 연습하세요

    6월 모의고사를 앞두고 제 경험을 바탕으로 시험장에서 국어 점수를 유의미하게 올릴 수 있었던 방법과 시간 관리 전략 등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영역별 제한 시간 정하기 국어는 수능 과목 중 시간 압박이 가장 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목표는 연습을 통해 수능 당일 시간이 남을 정도로 빠르게 풀어내는 것이겠지만, 공부를 아무리 많이 했다고 해도 수능이 어렵게 나오면 제 실력을 발휘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래서 80분의 과목 제한 시간을 잘 분...

  • 자원의 공평한 배분도 효율적 사용만큼 중요

    어떤 상품을 생산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경제 문제는 자원의 희소성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라고 이 글을 연재하며 여러 번 강조한 바 있다. 희소한 자원을 이용해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자원을 어떻게 배분하는 게 가장 잘 이용하는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에는 효율성과 공평성이 있다. 그러나 자본주의에서 시장을 통한 자원 배분은 주로 효율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배웠던 상품시장과 생산요소시장에서도 시장이 얼마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

  • 대입전략

    모평 후 정시 목표대학, 수시 지원 밑그림 그려야…통합수능 2년차 입시 결과 분석 … 주요변수 체크

    6월 1일 올해 첫 모의평가가 치러진다. 수능을 출제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주관하는 시험으로, 수능의 난이도 및 문제 유형과 가장 비슷한 시험이다. 올해 수능의 시험 난이도 및 출제 패턴을 엿볼 좋은 기회다. 동시에 대입 전략의 큰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중요한 분기점이기도 하다. 6월 모의평가 후 입시전략을 조언한다. 6~7월 사이 ‘어디가’ 발표, 통합 수능 2년 차 입시 결과 분석 중요 6월 모의평가는 올해 대입에...

  •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훌훌 털고 싶으나 점점 견고해지는 가족의 끈

    입양은 ‘양자로 들어감 또는 양자를 들임’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 입양의 역사는 1950년대 6·25전쟁과 함께 시작돼 지금까지 25만여 명(해외 17만여 명, 국내 8만여 명)이 국내외 새 가정에서 삶을 시작했다. 2006년까지만 해도 해외 입양이 많았으나 2007년을 기점으로 국내 입양이 많아졌다. 그런데도 우리나라는 콜롬비아, 우크라이나에 이어 세계 3위의 ‘아동수출국’이다. 세계 ...

  • 시사 이슈 찬반토론

    친환경 에너지…'RE100' 대신 'CF100', 타당한 전략인가

    RE100(Renewable Electricity 100%)은 2022년 대통령선거 때 후보자 간 토론으로 화제가 된 에너지 전략이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자는 캠페인이다. 2014년 영국에서 시작해 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글로벌 캠페인이지만 많은 나라에서 정책에 반영해왔다. 한국도 여기에 가세했다. 하지만 한국처럼 재생에너지의 성장력과 잠재력이 떨어지는 나라에서는 비현실적이...

  • 강홍민 기자의 직업의 세계

    "그림 못 그려도 동심 있으면 할 수 있어요"

    최근 동화를 포함한 그림책 산업은 지식재산권(IP) 산업이 발달하며 캐릭터, 공연, 게임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그로 인해 16컷에 동심(童心)을 담아내는 동화작가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혐오스러운 곤충 ‘거미’를 사랑스러운 ‘딩동거미’로 탈바꿈해 어린이들에게 사랑받은 신성희 동화작가를 만나 직업의 세계를 들여다봤다. ▷그동안 어떤 동화책들을 냈나요. “제가 창작한 책이 몇 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