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사모M&A펀드가 잇따라 등장한다는데…
올해 하반기 들어 증권시장의 가장 큰 화두(話頭)는 역시 기업 인수·합병(M&A)과 '지배구조개선'이다. 특히 '장하성펀드'로 불리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가 상장사인 대한화섬의 지배구조를 문제삼으면서 증시에서 지배구조 관련주들이 테마를 형성하며 급등하고 있다. 이런 추세에 편승해 잇달아 등장하고 있는 세력들이 있는데,기업 M&A를 표방한 소규모 사모펀드가 바로 그들이다. 최근 한국경제신문 증권면을 보면 사모M&A펀드...
-
학습 길잡이 기타
콩글리시를 위한 변명
"께끼나 하~드." 1970년대 산업이 발전하면서 '아이스크림'이 본격적으로 선뵈기 전까지만 해도 우리에게 낯익은 것은 '아이스케이크'였다. 그것도 실제론 '아이스께끼'라 불렀고 또는 그냥 '하드(hard)'라 하기도 했다. 지금의 위생 기준으로 보면 거의 다 불량식품이라 할 수 있는 이 '아이스께끼'나 '하드'는 소위 말하는 콩글리시다. 콩글리시란 '한국식으로 잘못 발음하거나 비문법적으로 사용하는 영어'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다. '아이...
-
학습 길잡이 기타
글쓰기 첫걸음 …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순서가 흩어진 아래 문장들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곤충이나 새들은 자연의 위협에서 자신과 새끼들을 보호하는 은신처를 정교하게 만들어낸다. ②그 문화유산은 수많은 고고학적 유적지로 전승된다. 인간에게 집은 원초적인 성장의 터전이요,세상을 배워가는 언어다. ③인간도 아득한 옛날 동굴이나 움막을 임시 거처로 사용하기 시작했다가,이후 다양한 주거지들을 창조해왔다. ④동물들에게는 생존과 번식을 위한 보금자리가 필요하다. ⑤어른들의 놀...
-
학습 길잡이 기타
4.'실락원'과 '실낙원' 구별
단어를 나눠보면 길이 보인다 생글이가 종교를 주제로 글을 쓰면서 존 밀턴의 서사시 '失樂園'을 인용하려고 했다. 인류의 역사와 원죄라는 개념을 나타내는 데 적절할 것이라 생각하고 쓰려는데,아 이런 낭패가 있나,갑자기 '실락원'인지 '실낙원'인지가 헷갈리기 시작한 것이다. '이런 데서 시간을 잡아먹으면 안 되는데…',생글이는 잽싸게 '쾌락' '오락' 같은 말을 생각하고는 '실락원'으로 적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는 틀린 표기이고 '실낙원'...
-
교양 기타
(15) 에드워드 윌슨 '인간본성에 대하여(On Human Nature)'
◈ 에드워드 윌슨 (Edward O. Wilson) 1929년 미국 출생.개미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1956년부터 하버드대학 교수로 재임.20여권의 명저를 저술한 과학 저술가로서 『인간 본성에 대하여』와 『개미』로 두 번의 퓰리처상을 수상하였다. '사회생물학의 아버지'로 불리며,생물학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 전반에도 큰 영향을 미친 20세기 대표 지성으로 꼽힌다. 주요 저서로 학문 간 대통합을 시도한 『통섭』을 비롯 『사회생물학ㆍ새로운 ...
-
경제 기타
핵 실험한 북한 친구인가, 적인가
최근 북한의 핵실험으로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눈빛이 좋지 않다. 심지어 북한의 영원한 파트너로 여겨졌던 중국까지도 근신하며 눈치를 살피고 있다. 하지만 북한을 대하는 데 있어서 가장 혼란을 겪고 있는 이들은 바로 대한민국의 청소년이다. 초등학교 시절부터 반공교육을 탈피하여 화해 무드의 햇볕정책 교육을 받아 온 지금의 청소년들이 한 민족,파트너로만 생각했던 북한의 행동에 당황한 것이다. 한지연양(양정여고 3학년)은 "사실 수업시간을 통해 북한...
-
경제 기타
(기자 수첩) 마음 털어놓을 곳 없다
지난해,113명의 청소년이 자살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이 28명,고등학생이 85명이었다. 자살이유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가정불화였고 그 다음이 염세비관이었다. 만약 이들에게 맘을 털어놓고 대화할 수 있거나 조언 혹은 위로의 말 한마디 받을 상대가 있었다면 이들은 이런 극단적인 방법을 택했을까? 자살과 같은 극단적인 행동이 아니라도 청소년에게서 힘든 마음을 읽어낼 수 있는 모습은 많다. '한국청소년상담원' 사이트에 들어가면 공개된 ...
-
진학 길잡이 기타
중앙대 2007학년도 수시 1학기 논술 문제(인문계)
I.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0점) 복지국가는 국가 구성원들의 경제·사회적 안전과 평등의 증진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한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서 평등의 개념을 달리 사용하고 있고, 이에 따라 많은 논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사회복지 정책을 둘러싼 많은 논쟁들은 바로 이러한 평등의 개념에 대한 논란에서 비롯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평등이 어떤 개념에 기초하느냐에 따라 사회복지 정책의 효과가 전혀 다르게 나타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