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35) 통계, 달을 보기전에 손가락을 먼저 보라
⊙ 늦둥이 문제 여성들이 결혼을 늦게 하면서 적령기를 넘겨 출산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산모의 나이가 30세를 넘은 경우 산모와 아이의 건강에 신경이 많이 쓰인다. 일반적으로 산모의 나이가 많으면 기형아 출산 확률이 올라간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다. 얼마 전 조선일보는 '늦둥이가 건강하게 자라줄까? 걱정도 팔자'라는 기사에서 30세가 넘어 아이를 낳은 엄마들의 걱정을 달래주었다. 나이가 들어 가진 아이도 건강하고 똑똑할까를 염려하는 ...
-
학습 길잡이 기타
'주책인 사람'과 '주책없는 사람' ②
"친구를 길에서 우연히 만났어." "친구를 길에서 우연찮게 만났어." "그 사람 말은 엉터리야." "그 사람 말은 엉터리없어." 우리는 뜻하지 않게 누군가를 만났을 때 '우연히 만났다'라고 하는가 하면 어떤 이는 '우연찮게 만났다'라고 하기도 한다. 또 터무니없는 말을 들었을 때 '엉터리'라고 하기도 하고 '엉터리없다'라고 하기도 한다. 같은 상황을 나타내면서도 이런 정반대의 표현이 가능한 것일까. 이들은 전회에서 살핀 '그 사람 주책...
-
7. 새들 치킨게임을 하다 - 空
두 새떼가 마주보고 날아서,곧장 맞부닥뜨려서,부리를,이마를,가슴뼈를,죽지를,부딪친다고 쓴다 맞부딪친 새들끼리 관통해서 새가 새에게 뚫린다고 쓴다 새떼는 새떼끼리 관통한다고 쓴다 이미 뚫고 나갔다고,날아가는 새떼끼리는 서로 돌아본다고 쓴다 새도 새떼도 고스란하다고,구멍 난 새 한 마리 없고,살점 하나,잔뼈 한 조각,날갯짓 한 개,떨어지지 않았다고 쓴다 공중에서는 새의 몸이 빈다고,새떼도 큰 몸이 빈다고,빈 몸들끼리 뚫렸다고,그러므로 空中이...
-
학습 길잡이 기타
권호걸의 통합논술 뽀개기 ②
글은 어떻게 써야 하는가 연세대 예시답안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지난주에 연세대 1차 모의고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해제를 하지 않은 이유는 이미 많은 선생님들이 해제를 해 놓았기 때문에 똑같은 말을 반복할 필요를 느끼지 못해서이다. 이 강좌의 컨셉트는 남이 하지 않는 나만의 논술 이야기를 하자는 것이다. 앞으로도 이미 공론화된 설명은 가급적 하지 않을 생각이다. 연세대는 이번 수시 2-2 문제 중 의·치대의 문제 1번도 ...
-
남녀 vs 연놈
오승현 (힘수학 논술팀장) 남한과 북한이 함께하는 공식 행사에는 보통 두 명의 사회자가 같이 무대에 선다. 한 사람은 남한 사회자이고 다른 한 사람은 북한 사회자이다. 재미있는 것은 두 사람이 행사를 소개할 때 각자 다른 방식으로 한다는 점이다. 남한 사회자가 '남북이 하나된 뜻깊은 자리'라고 소개하면,북한 사회자는 '북남이 하나된 뜻깊은 자리'라고 소개한다. 이런 차이는 자기와 관련된 것을 앞에 두고자 하는 심리 때문에 생겨나는 것이...
-
진학 길잡이 기타
2008학년도 대입 정시모집 특집 - 정시 지원전략 ④
최종 정시 모집인원, 마감전 경쟁률 반드시 확인해야 수시 최저학력기준 미달·중복합격으로 인한 결원 등 정시로 이월 올해 수능 등급제에선 경쟁률이 가장 큰 변수 ⊙ 상명대 상명대는 일반전형에서 모집정원의 50%를 수능으로만 우선선발한다. 우선선발 대상인원은 328명이며 나머지는 일반선발로,학생부성적과 수능으로 모집한다. 사범계도 우선선발을 실시하나 일반선발에선 논술 20%,교직적성 10%를 추가로 반영된다는 점에 유의하자. ⊙ 서울여...
-
학습 길잡이 기타
14. 동물에서 유래된 영어 표현들③
'말의 이빨'과 '믿을만한 근거'는 무슨 상관이 있을까 ⊙ as ~ as 표현들 영어에서 'as A as B'는 'B처럼 A한'의 의미란 것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as ~ as' 표현에는 유독 동물이 들어간 표현들이 많이 등장한다. 몇 가지만 살펴보도록 하자. ① as blind as a bat : 장님이나 다름없는 (눈이 안 좋은) My brother is as blind as a bat without his glasses...
-
시사 경제용어 따라잡기
(51)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문제] 순서가 흩어진 다음 문장을 흐름에 맞게 배열해 보세요. ①라틴어가 소멸하고 정치가ㆍ법률가ㆍ관료와 시인들이 토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증대됨에 따라 이 세속화 경향은 더욱 가속되었다. ②통치자의 종교적 선호에 따라 기독교 세계를 분할함으로써 종교개혁은 국가적 권위와 종교적 권위를 융합하고 국가에 기반을 둔 세속주의를 확대해나갔다. ③그 같은 상황에서 당시의 많은 철학자와 작가들이 국민국가를 문명사회 최고의 자연적인 형태로 생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