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과학 기타
소음 공해 정말 싫어!!… 듣고 싶은 소리만 골라 들을까
전자기기·의료분야 등 소음 줄이고 지우는 기술 발전 대형 건물 공사현장 근처에 가보면 조망권 침해에 대한 항의성 플래카드와 더불어 빠지지 않는 것이 소음에 대한 항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들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르면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차량 및 각종 생활소음은 거주자들의 스트레스 정도를 한껏 올릴 정도라는 것이 익히 알려져 있다. 실제로 소음으로 인한 피해 정도는 심각한 환경오염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현재 지구 온난화, 수질 오염...
-
④ 서울시립대학교 - 교과 성적 중점…잠재력·마니아적 소질 주목
서울시립대학교는 지난해부터 입학사정관제 사업을 시작했다. 공립대학으로서 공교육 활성화를 적극 선도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올해 들어서는 처음으로 '농어촌특별전형'을 실시했다. 이 전형에서는 수능 및 학교생활기록부 성적을 바탕으로 자기추천서, 담임교사 추천서에 학업 성과나 활동을 중심으로 자신의 자질과 능력을 보여준 30개과에서 41명을 선발했다. 이 전형은 서류평가시 필요에 따라 관계자에게 사실을 확인하였고,면접고사에서는 논리적 사고력 및...
-
경제 기타
로스쿨 출신만 변호사시험 칠 수 있게 해야하나요?
찬 “시험 대신 교육으로 전문성 갖춘 법조인 길러내야” 반 “로스쿨 졸업생만 시험자격 줘 법조직 세습화 우려” 여당인 한나라당이 2013년까지 예비시험 도입을 유보하고 기존의 변호사시험법을 채택키로 결정하면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수료자와 같은 지위를 부여하는 '예비시험제도' 도입문제가 논란을 빚고 있다. 예비시험제도를 도입하지 않음으로써 로스쿨 출신들만 변호사시험을 치를 수 있도록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게 과연 타당하냐는 것이다. 변호...
-
TESAT 공부하기 기타
'잉여'를 아시나요?…경제학원론 지식도 필요
▶ 문제 4명의 생산자와 4명의 소비자가 있는 경제를 생각해보자. 4명의 생산자는 각기 최대 1개의 물건을 생산하고 그 생산비용은 아래와 같으며,4명의 소비자는 각기 최대 1개의 물건을 구매하고 최대한으로 지불할 용의가 있는 금액은 아래와 같다. 시장경제에서 이뤄지는 모든 거래는 원칙적으로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만족을 주게 돼 있다. 소비자나 생산자가 만족하지 않는다면 거래가 이뤄지지 않을 것이다. 물론 이 가치는 거래된 가격보다...
-
경제 기타
⑨ 가격 탄력성 - 책가방은 가격 탄력적일까 ? 비탄력적 일까?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쌀이나 소금,공공요금 등과 같이 가격이 올라도 수요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줄어드는 재화가 있는가 하면,자동차나 대형 냉장고 등과 같이 가격이 오르면 수요량이 상대적으로 많이 줄어들게 되는 재화가 있습니다. 이처럼 재화의 가격변화에 대한 수요량 변화의 민감한 정도를 우리는 가격 탄력성이라고 합니다. 즉 가격 탄력성은 어떤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며,민감한 정도에 따...
-
학습 길잡이 기타
16. 카프라「현대물리학과 동양사상」
“동양사상이 서양과학의 패러다임 이끈다” '하나를 알면 열을 안다'는 말이 있다. 흔히 총명한 사람을 묘사할 때 자주 쓰이는 말이지만,굳이 사람이 아니라도 세상만물 삼라현상 그 무엇이 되었건 간에 하나의 부분에서 전체를 감지할 수 있다는 말이다. 어떤 사람의 사소한 한 마디 말에서 그 사람의 도량 내지는 깜냥을 알 수 있었던 일,혹은 어떠한 현상의 일부를 체득함으로써 전체의 '결'을 느꼈던 경험은 누구나 한번쯤 있었을 것이다. 전체의 구...
-
학습 길잡이 기타
2009학년도 서울대 수시논술 풀이
종교는 국가의 안정과 통합에 기여하는가? [논제] 제시문 (가)에 제시된 두 가지 입장을 근거로 하여 제시문 (나)의 각 사례에 나타난 국가와 종교의 관계를 분석하고,제시문 (나)의 각 사례에서 정부가 취한 정책에 대해 그러한 정책이 채택된 근거를 유추하고 그 정책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하여 국가와 종교의 관계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논하라. 가 [1] 근대적 국가에서 개인은 우선적으로 시민으로 간주되며,그 이...
-
경제 기타
버려진 고양이, 거리의 악동 됐어요… 뾰족한 대책 없을까?
생명이 약동하는 봄이 본격적으로 왔다. 고양이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그 때문인지 주택가를 활보하는 고양이가 겨울보다 부쩍 많아졌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길고양이들이 주민들에게 여러 불편을 준다는 점에 있다. 먹을 것이 부족해 음식물을 찾아 쓰레기 봉투를 뒤지며 주변을 난장판으로 만드는 것은 이제 익숙한 광경이 되었다. 비단 주변 미관상의 문제뿐만 아니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주기적으로 오는 발정기에 따라 암고양이들은 새벽까지 줄기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