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생글 지상 입시 설명회 ② - 수시는 논술,정시는 수능

    "논술 준비 잘하면 '역전'도 가능하다" 수능시험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수험생의 우선순위는 두말할 필요 없이 수능이겠지만,모든 입시전문가들은 수시지원은 필수라고 수험생에게 권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수능에만 올 인(All-in)하는 것은 올바른 입시 전략이 아니다. 올해 수시모집 비율은 지난해보다 상승해 58%를 선발한다. 게다가 수능에서는 N수생(재수는 기본이 되었나 보다)이 현역에 비해 강세지만,수시는 고3이 N수생보다 합격률이 두...

  • 학습 길잡이 기타

    34. 최윤「푸른 기차」

    반복되는 일상속 정체성을 잃은 현대인의 삶 ⊙ 일상을 전복하다 알베르 카뮈의 소설 「이방인」은 다소 충격적인 장면으로 시작된다. 어머니의 죽음을 맞이한 주인공 뫼르소가 자기 어머니가 언제 돌아가셨는지 정확히 기억해내지 못하는 장면이 가장 먼저 제시되기 때문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주인공 뫼르소는 어머니의 시신이 안치된 방에서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얼굴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거절하며 그곳의 문지기와 함께 시시콜콜한 대화를 나누기도 하는 등...

  • 학습 길잡이 기타

    Essay <26> - Nuts and Bolts!

    콩글리시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았을 것이다. 쉽게 말하면,영어 대화를 하거나 영어 작문에 있어서 학생들이 만드는 문제점인 우리말에 대한 생각에 영어 단어를 직접 대입하여 말하거나 영작문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He entered into Harvard University" 라는 문장에서 불필요한 'into'가 쓰인 점이다. 'enter'라는 단어에는 'into'가 함축적으로 포함된 의미를 가진 단어이다. 올바른 문장은 "He ent...

  • 학습 길잡이 기타

    ⑤ 토머스 제퍼슨 대통령 취임 연설 <2>

    “I ready to retire from it whenever you become sensible how much better choices” Let us,then,with courage and confidence,pursue our own federal and republican principles,our attachment to union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Kindly separated by nat...

  • 학습 길잡이 기타

    ⑫ 눈동자를 그리면 용이 되어 날아가요!

    畵 龍 點 睛 그림 화 용 룡 점 점 눈동자 정 용을 그릴 때 마지막에 눈을 그려 완성함.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해 일을 끝냄.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양(梁)나라에 장승요라는 화가가 있었다. 안락사(安樂寺)의 주지스님이 그에게 불당의 벽에 용을 그려달라고 부탁했다. 장승요가 벽에 네 마리 용을 그렸는데 눈동자를 그리지 않았다. 사람들이 이유를 묻자 장승요가 말했다. "눈동자에 점을 찍으면 용이 되어 날아가기 때문입니...

  • 경제·금융 상식 퀴즈

    6월 1일자

    1. '지능형 전력망'으로 전력망에 정보기술을 접목해 디지털화함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고 전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은? ① 인텔리전스 그리드 ② 스마트 일렉트릭 ③ 인텔리전스 일렉트릭 ④ 스마트 그리드 2. 인간의 형태를 모습으로 한 로봇으로 형태뿐 아니라 인간과 같은 인식 · 운동기능을 구현하는 지능형 로봇은? ① 로보티즈 ② 휴머노이드 ③ 안드로이드 ④ 인텔리노이드 3. '푸른 산','즉흥 ...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00)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소 ...

  • 커버스토리

    툭하면 약속 깨는 북한…경제협력 가능한가?

    "우리식대로 살아 나가자." 가끔 TV 화면에 등장하는 북한 지역 곳곳에서 이 같은 구호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1980년대 말 생겨난 이 구호는 북한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가 몰락한 후 북한은 불가피하게 자립의 길로 내몰렸다. 1990년대 이후 본격화한 세계화의 큰 물결이 흐르고 있으나 북한은 폐쇄적인 통제국가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DJ 정부와 노무현 정부 10년 동안 '햇볕정책'을 통해 북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