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26. 후쿠자와 유키치「문명론 개략」

    아시아를 버리고 서구에서 배우자? 정작 그 속내가 어떠한지는 모른다. 하지만 겉으로 보이는 언행으로만 판단한다면,세대가 젊어질수록 요즘 사람들은 '우리'나라에 대한 열망이 희미해져 가는 듯하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는 세계시민으로서 자국에 불필요하게 집착하지 않고 소위 '쿨'해지는 것인지,아니면 진지한 열정이 없어 그냥 '심드렁'해지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타국 이민으로 인하여 초래되는 국력 감소 우려가 진지하게 거론된 시점이 이미 몇 년...

  • 학습 길잡이 기타

    동국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논술 A형 기출문제 풀이

    ※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젊은이들이 쓰는 언어의 종류는 뉴스 언어,광고 언어,정치 언어,대중문화 언어,그리고 학문 언어로 제한되어 있는 것 같다. 뉴스 언어는 상관관계와 균형과 변화 등의 잘 다듬어진 사고의 요소가 결여되어 있다. 광고 언어는 우스꽝스러운 과장과 거짓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언어 타락의 전형이라 하겠다. 정치 언어는 위험 수준에 이른 광고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대중문화 언어는 반항적이고 허무주...

  • 경제 기타

    “느림은 아름답다” … 우리 삶도 느림의 여유를 품어 보자

    '느림의 미학'. 누구나 한번 쯤은 들어보았을 법한 말이다. 느리게 걸으면서 자연을 느끼고 자연을 생각하며,느리게 살며 자신의 인생의 발자국을 되새겨 보는 일은 그야말로 '느림의 미'다. 느림의 미를 추구하는 마니아층이 증가하면서 1986년부터 시작된 슬로 푸드는 물론 슬로 시티도 각광을 받고 있다. 슬로 시티는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인간성 회복과 자연의 시간에 대한 인간의 기다림에 바탕을 두고 있다. 슬로 시티는 1999년 이탈리아 ...

  • 여름방학 'DMZ 현장학습' 다녀올까!

    한국경제신문은 청소년에게 분단현실과 안보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해 여름방학 동안 4회에 걸쳐 DMZ(비무장지대) 안보 · 평화체험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함께하는 본 프로그램은 1박2일로 진행되며,용산 전쟁기념관 발대식,DMZ 철책선 걷기 체험,군부대 방문 병영체험,제1,3땅굴 답사,열쇠전망대 방문,안보간담회 등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중고생 여러분의 많은 참가 바랍니다. ▶ DMZ 안보 · 평화체험 프로그램 내용 ...

  • 학습 길잡이 기타

    공초 오상순의 '담배 아홉 갑'

    한 개비 길이 7㎝×20개비×4갑=560㎝,이것이 하루치 길이요. 560㎝×365일-2044m,이것이 또 1년치 길이요. 2044m×70년=14만3080m,즉 143㎞. "선생님,이건 서울은커녕 추풍령에도 못 미치겠는데요." (구상 편,<시인 공초 오상순>,자유문학사) 1920년 창간된 <폐허>는 이듬해 2호로 단명했지만 <창조> <백조>와 더불어 한국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긴 퇴폐주의 문예 동...

  • 학습 길잡이 기타

    102. 띄어쓰기 공략법 : 단어와 구의 구별②

    단어와 단어가 어울린 말의 단위는 그 결합 정도가 얼마나 단단한지에 따라 합성어가 되기도 하고 구가 되기도 한다. # 청소년의 존재 기반은 다름아닌 학교와 가족이다. # 이는 다름아니라 글로벌 경제위기 여파로 인해 국내 경기가 계속 침체함에 따라…. '다름아니다'도 '다름'과 '아니다'가 단단히 결합해 하나의 단어로 볼 수 있으면 붙여 쓰는 것이고 아직은 결합의 정도가 그리 강하지 않다고 평가되면 당연히 띄어 쓰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21>

    카오스 이론 (Chaos theory) (1)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다산칼럼) 의도한 善,의도하지 않은 惡

    김 영 용 <한국경제연구원장> ☞ 한국경제신문 7월13일자 A38면 1981년 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이 "기간의 정함이 없거나 기간을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로 개정돼 1989년 국회를 통과했다. 서민들의 주거 생활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겠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당시 서민 정당을 표방했던 평화민주당이 주도했다. 그러자 전 · 월세 가격이 치솟았다. 당시 500만원 하던 서울의 반(半)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