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 기타
교원 촌지수수 신고보상금제 도입 바람직한가요
찬 “일반인 신고 받아서라도 촌지 뿌리 뽑아야” 반 “악의적 신고 남발로 교권은 땅에 떨어질것” 서울시교육청이 교원의 촌지 수수 등 비리를 신고하는 사람에게 최고 3000만원까지 보상금을 주는 조례를 입법예고한 것을 놓고 말들이 무성하다. 사회 여러 분야의 비리를 신고하는 이른바 '파파라치' 제도를 교육계에 도입하는 문제로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서울시교육청 쪽에서는 "교사들 촌지문제뿐만 아니라 교육관련 공무원들의 납품비리 등 ...
-
TESAT 공부하기 기타
경제위기 맞은 각국 '보호무역의 유혹'
▶ 문제 오바마 정부의 경기 부양법에 포함된 '바이 아메리칸' 조항에 대해 다른 국가들은 우려감을 표명한 바 있다. 이와 관련된 아래 [보기]의 내용 중 잘못된 것은? [보기] 가. '바이 아메리칸' 조항은 미국 산업과 일자리를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제기된 것으로 경제국수주의라고 할 수 있다. 나. '바이 아메리칸' 조항과 같은 유형의 경제정책은 자유 무역주의에 역행하는 것으로 무역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 다. 국제무역시장에서 이 ...
-
경제 기타
(20) 중소기업의 위상은? - 경제의 허리,중소기업을 키워가야
흔히 기업 하면 밝고 깨끗한 사무실에서 넥타이를 매고 컴퓨터 앞에서 열심히 일하는 대기업을 떠올린다. 그러나 동네의 약국,노래방,채소 가게,금은방 등도 엄연한 기업이다. 미용실,문방구,의사 변호사들도 마찬가지다. 음식점에 가보면 혼자서 꾸려가는 조그마한 가게도 있고 수십 명이 넘는 종업원을 고용하는 곳도 있다. 정도의 차이만 있고 경영의 주체가 누구인가의 차이만 있을 뿐 기업이다. 과연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제적 위상은 어떤가? 표에...
-
학습 길잡이 기타
25. 하워드 라인골드「참여군중」
“정보화 사회의 똑똑한 군중은 변화를 주도하는 핵심세력” "미래는 이미 우리에게 당도해 있다. 다만 우리가 그 사실을 잘 모르고 있을 뿐이다." 우리가 확연히 눈치채지 못할 뿐 미래는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고 있다는 앞의 경구대로 현재의 사회는 지난 수천 년의 과거와 질적으로 다르다. 그 차이를 느끼고 싶다면 당신의 일상을 해부해 보면 된다. 요새 도토리 선물이라는 말에 참나무 숲을 떠올리는 사람은 별로 없다. 만에 하나 있다 ...
-
학습 길잡이 기타
2010학년도 연세대학교 논술 예시문제 (下)
[문제 2] 경제위기 상황에서는 기업들의 거액 기부가 증가하지 않는 대신 개인들의 소액 기부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한국에서 구세군 자선냄비의 모금액이 경제위기 상황인 2008년에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고 한다. 사회적인 현상에 대해서 특정한 제시문의 입장을 통해 의견을 제시하는 문제이다. 먼저 '이타심'이라는 논술의 핵심을 통해 문제의 예시를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 생각해보자. 사회적인 현상을 바라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점은...
-
경제 기타
아름다운 마음이 모여 있는 '아름다운 가게'를 아세요?
아름다운 가게는 불필요하게 버려지거나 낭비되는 물건을 재활용하고 재사용하는 되살림 정신과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돼 있음을 뜻하는 그물코 정신,그리고 자원봉사와 기증으로 대표되는 참여및 나눔의 정신이 모여 환경보호와 나눔을 실천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누구에게나 쓰지 않는 물건이나 헌 물건이 있게 마련이다. 내게는 비록 필요없는 작은 물건이더라도 누군가에게는 절실히 필요한 물건이 될 수 있는 그 물건을 아름다운 가게는 직접...
-
경제 기타
케이블방송 프로그램 지나치게 선정적 인건 아닌지…
IPTV의 보급, 그리고 연예산업이 정보화 시대의 흐름을 타고 무한 확장됨에 따라 케이블 방송국이 우후죽순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정확히 그 수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수많은 케이블 방송국들은 시청자에게 다양한 채널을 볼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만족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좋게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이면에는 케이블 방송국들이 자체 여과 없이 무분별하게 자극적인 소재를 담은 방송들을 내보내고 있어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지난 ...
-
경제 기타
영파라치,진정한 저작권의 수호자인가
대한민국을 IT(정보기술) 강국이 아니라 IT망국이라 불리는 곳이 있다. 바로 '파일공유(웹하드,P2P) 음란물, 저작권 단속관련 네티즌 대책토론(http://cafe.naver.com/userjosa)' 이다. 이곳에서는 2006년 2월부터 시행된 일명 '영파라치 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이 제도는 영화포털 사이트인 '시네티즌(www.cinetizen.com)'이 영파라치 회원 모집과 신고 접수,합의 혹은 고소 절차의 진행 과정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