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세종대학교 2010학년도 모의논술 문제풀이(下)
세대는 본질적 개념인가, 나누기위해 만들어진 수단인가 <문제1> 제시문 (가)와 (나)에서 논자가 제시한 '세대'의 개념을 통해 제시문 (다)에서 제안한 접근방법이 한국사회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하시오. (띄어쓰기 포함,500± 100자) 가 우리 사회에서 세대에 대한 관심은 부침을 거듭했다. 숱한 세대 용어가 화려하게 등장했다 사라졌다. 세대란 '명멸하는 이름'일 뿐이며,일시적인 유행에 지나지 않은 것이었을까. 보수적 ...
-
경제 기타
“기초과학 강국 만들어 노벨상에 도전하자”
청소년들에게 전하는 김빛내리 교수의 메시지 지난달 25일,상산고 대강당에서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의 특강이 있었다. 김빛내리 교수는 현재 서울대 생명과학부 부교수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위원으로,한국에서 노벨상을 받을 확률이 가장 높은 과학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학생들의 박수를 받으며 강단에 선 김빛내리 교수는 자신이 생명공학의 길을 걷게 된 계기를 소개하며 '마이크로 RNA의 세계'라는 주제로 강의를 시작했다. "...
-
경제 기타
광주 지하철을 타면 '호남의 문화'를 만날수 있어요!
2004년 4월 개통 이후 5년간 광주 시민들의 발이 되어 온 광주지하철은 단순한 대중 교통수단이 아니다. '문화 지하철'이라는 별명이 보여주듯,문화적 볼거리를 톡톡히 제공하고 있다. 광주지하철 농성역에서는 호남지역 향토 · 역사 · 문화 등을 엿볼 수 있는 '호남학 100대 문화원형 콘텐츠관'이 있고,송정리역에는 국창 임방울 선생과 시인 용아 박용철 선생 생가가 있어 국창 선생의 삶을 살펴볼 수 있다. 또 판소리 체험공간,지역대표 문인들...
-
경제 기타
고전을 읽지 않는 청소년들… “책 편식은 이제 그만”
'공중그네','시간을 달리는 소녀','스페인,너는 자유다'… 10대 청소년이라면 한번쯤 제목을 들어봤을 이 책들은 지난 몇 개월간 전국 다수의 도서관에서 '대출순위 탑10'의 명성을 유지하고 있는 소설과 에세이다. 이 신작들은 다양한 소재와,감성을 자극하는 구성으로 청소년들의 마음을 사로잡으며 큰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고전은 신작소설의 선풍적인 인기에 설 자리를 잃고 있다. 신작만을 찾는 청소년의 편독은 어제오늘 이야기가 ...
-
생글 논술대회 어떻게 준비할까? …시사 이슈를 인문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공부를!
기출문제 생글 홈페이지에 제8회 생글논술경시대회가 한 달이 채 남지 않았다. 생글생글이 중 ·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각하기와 글쓰기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봄 가을 1년에 두 번 시행하는 생글논술경시대회는 지난 7회 대회까지 총 3만5000여명이 참여한 전국 최대 규모의 논술 대회이다. 1,2,3학년 유형의 문제가 모두 출제되는 봄 대회에는 약 9000여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1,2학년 유형이 출제되는 가을 대회에는 4000여명이 참가하고 있다...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31>
사다리꼴을 이용한 구분구적 〔2008학년도 연세대학교 수시 논술 〕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
-
학습 길잡이 기타
삼천갑자 동방삭이 객사한 사연
염라대왕은 저승사자에게 18만년이나 장수를 누려온 동방삭을 잡아오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저승사자는 동방삭을 잡으려고 용인 땅에 왔으나 그의 형체를 알지 못해 잡을 도리가 없자 한 가지 꾀를 냅니다. 동방삭이 호기심이 많다는 얘기를 들은 저승사자는 이 세상에서 아무도 하지 않는 일을 하고 있으면 그 모습을 보기 위해 제 발로 찾아 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음 날부터 저승사자는 숯내에서 검은 숯을 빨래를 하듯 빨기 시작합니다. 오랜 시간이...
-
학습 길잡이 기타
112. 군더더기 : '~에 있어(서)'의 남용
문장의 생명은 '간결함'이다 "우리나라는 대만 중국과 더불어 반도체 자동차 전자제품 등 고부가가치 제조업을 기반으로 경제를 운용하는 나라로 분류된다. 제조업에 있어서는 상당한 경쟁력을 갖췄다고 하지만 세계 1위인 제품은 의외로 적다." "특히 요즘처럼 새로운 금융상품이 출현하거나 금융제도가 급변하는 시대에 있어서는 이에 맞는 통화지표를 개발하는 과제가 중앙은행의 가장 큰 역할 중의 하나다." 글을 쓸 때 습관적으로 '~에 있어(서)'란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