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학습 길잡이 기타

    62. 공자「논어」

    이름을 바로잡아야 세상의 혼란을 잠재울수 있다 ⊙ 여전한 공자의 시대 고등학교 도덕이나 윤리교과서가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의 윤리를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학생들이 분명 많지 않을 것이다. 교과서를 단지 시험범위가 들어 있는 종이책이라고 생각했다면,이런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란 더더욱 어려울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제 그 사실을 알았다면,이제 그런 시도를 비판할지도 모르는 일이다. '집단행동'이나 '집단생...

  • 학습 길잡이 기타

    서강대 2010 수시2 (인문/사회과학계/커뮤니케이션 학부) 논술문제 풀이 <上>

    인간은 윤리적인 삶을 살수 없다? 가 분석치료가 '그림자'를 의식화하는 한,일종의 분열과 대극긴장을 조성하게 된다. 긴장을 느끼는 쪽에서 통합을 통하여 타협을 꾀한다. 이 타협의 중개는 상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대극 사이의 대립은 사람들이 그것을 심각하게 여기거나 그것을 인해 심각한 사람으로 여겨질 때 참을 수 없는 한계에 이르게 된다. 논리학의 '배중원리'*가 입증되며,사람들은 아무런 해답도 알지 못한다. …중략… 과학적 인식은 ...

  • 경제 기타

    스마트 폰 등장 따라 더 커지는 정보력 격차… '스마트 갭' 걱정돼요!

    '디지털 디바이드(Digital divide)'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도 우리 세대 고등학생들에겐 다소 생소한 단어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드'는 1990년대 중반 컴퓨터와 같은 디지털 기기의 발달과 새로운 정보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의 차이에서 오는 사회 · 경제적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들어 이와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모바일 인터넷 시장이 커지면서 휴대폰을 어떻게 적절히 활용하느냐에 따라 정보...

  • 경제 기타

    트위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도래를 알리다

    최근 인터넷 상에서 최근 가장 큰 이슈를 꼽으라면 트위터(twitter, www.twitter.com )를 이야기할 수 있다. 트위터란 '지저귀다'라는 뜻으로,재잘거리듯이 하고 싶은 말을 그때그때 140자 이내의 문자로 글을 올릴 수 있는 공간이다. 트위터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기존의 블로그 형식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서 미니홈피에서 보던 친구 맺기와 유사한 팔로어 기능,그리고 휴대용 기기만 있으면 글을 신속히 올릴 수 있어 메신저와 비...

  • 한경·인송문화재단,고교생 50명에 장학금

    한국경제신문과 인송문화재단(이사장 양귀애 대한전선 명예회장)은 제5기 한경 · 인송 장학생 50명을 선발해 장학금을 전달했다. 한경 · 인송 장학생은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학업에 대한 열의가 높고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뽑아 지원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한경 · 인송 장학생 선정위원회는 지난달 전국 고등학교가 추천한 학생 가운데 제5기 장학생을 선발했다. 지난해까지는 장학생 한 명에게 연 100만원(학기당 50만원)을 지급했지...

  • 생글논술 경시대회 이번엔 어떤 논제 나올까?

    최근의 시사 이슈와 관련된 주제 출제빈도 높아 지난 대회 기출문제 생글 홈페이지서 볼수 있어 제9회 생글논술경시대회 접수가 시작되었다. 생글생글이 중 ·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각하기와 글쓰기 실력을 평가하기 위해 봄 · 가을 1년에 두 번 시행하는 생글논술경시대회는 지난 8회 대회까지 총 4만여명이 참여한 전국 최대 규모의 논술 대회이다. 1,2,3학년 유형의 문제가 모두 출제되는 봄 대회에는 약 9000여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1,2학년 ...

  • 학습 길잡이 기타

    ⑨ 답과 각 파트가 유기적 구조를 가져야

    ⊙ 구조짜기 그렇다면 이제 평가하기 문제의 구조를 짜보도록 하지요. 구조를 짜기 전에 잠시 언급해 둘 것이 하나 있습니다. 최근에는 결론을 앞에 두는 방식의 두괄식이 큰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셀 수 없이 많은 답안지를 봐야 하는 채점자의 심정을 고려하여(?) "나는 답을 맞혔다"는 것을 재빨리 드러내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대학에서 제시해놓은 많은 예시답안의 형태가 그렇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어디다 쓰는 것이 정답...

  • 학습 길잡이 기타

    김희연의 자연계 논술 노트 <56>

    최단강하와 스넬의 법칙 (下) 〔2010 고려대학교 수시 자연계 논술고사문제 中〕 S논술 자연계 논술 팀장 ximpson@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