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한경 '경제용어사전' 앱으로 경제 공부

    생글생글 독자님 안녕하세요. 여름 방학이 끝나고 2학기가 시작됩니다. 활기차게 새 학기를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하우스 푸어가 뭐지?' 신문을 읽거나 다른 사람과 대화하다가 생소한 경제용어를 접하면 누군가 바로 설명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럴 때 유용한 한경 '경제용어사전' 애플리케이션(앱 · 응용 프로그램)이 나왔습니다. 한국경제신문은 아이폰용 '경제용어사전' 앱을 개발해 애플 앱스토어에서 판매(4.99달러)하기 시...

  • 경제 기타

    中, 한국 국채 본격 매입··· 원화 가치 상승 부채질

    중국이 일본에 이어 한국 국채도 대거 편입하고 있다. 중국이 최근 1년간 사들인 한국 국채 규모는 37억달러(4조3000억원)를 넘는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한국 경제를 높게 평가한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이지만 원화가치 절상 요인으로 작용,수출 경쟁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7월 말 현재 중국 투자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한국 국채는 4조3539억원(37억2000만달러)어치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

  • 경제 기타

    통일세 걷어야 된다는데··· 그럼 얼마나 내야하지?

    "통일비용 매년 100조원" 큰 부담··· 사회적 합의 쉽지 않을 듯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제65주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경축사를 통해 통일시대에 대비하기 위한 통일세 도입 논의를 제안했다. 언젠가는 오게 될 통일 시대와 관련해 통일 후 일정기간 동안 막대한 재정 투입이 불가피한 만큼 이제부터라도 사전에 대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정부는 국민 여론을 수렴하는 등 통일세 도입을 위한 세부 준비작업에 들어간다는 방침이...

  • 커버스토리

    대기업-중소기업의 相生과 正義문제

    다음 글은 한국경제신문 정규재 논설위원겸경제교육연구소장이 8월17일자 한국경제신문에 쓴 칼럼입니다. 공정한 사회의 기준을 어떻게 세울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정 소장은 시장원리가 가장 공정한 기준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글 전문을 싣습니다. '정의'(正義)라는 일견 낡은 가치를 우리 앞에 다시 드러낸 사람은 존 롤스다. "사람들이 모여서 공동으로 살아갈 사회의 규칙을 정한다고 생각해보자"로 시작되는 그의 정의론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득권에 ...

  • 커버스토리

    공정한 소득 재분배에 대한 3가지 사상

    경제가 성장하면서 소득격차가 벌어지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소득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재분배 정책을 편다. 그렇다면 재분배는 어느수준까지 되는게 좋을까. 이는 경제적 분석만으로는 불가능 하다. 정치 철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소득 재분배에 대한 정치 철학적 시각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공리주의와 점진적 자유주의 그리고 급진적 자유주의가 그것이다. 공리주의(utilitarianism)는 19세기 초반에, 점...

  • 경제 기타

    '제조업 강국' 독일, 남유럽發 위기에도 승승장구

    통독이후 최고의 성장률··· 실업률도 주요국 최저 글로벌 경기회복세 둔화·임시직 급증 등 복병도 유럽 경제의 기관차 독일이 무서운 속도로 달리고 있다. 올해 초 촉발된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로 유럽 전체가 흔들리고,최근에는 중국의 성장 둔화,미국의 더블 딥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독일의 성장은 거침없다. 독일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올 2분기 독일의 전 분기 대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2%로 1987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

  • 과학 기타

    올 여름 무더위는 해수 온도가 떨어지는 '라니냐' 탓?

    '엘리뇨'의 반대 현상··· 아시아 지역 홍수·불볕 더위 시달려 아침저녁으로 공기가 서늘하다. 찜통더위가 조금 물러간 듯싶다. 올해는 예년과 다르게 유달리 더운 날씨가 기승을 부렸다.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7월1일부터 8월8일까지 39일 중 35일이 평년 수준보다 더운 날씨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전국 60개 지점 평균 기온은 25.3도로 평년(24.5도) 대비 0.8도 높았고 8월엔 평균 기온이 27.6도에 육박해 평...

  • 이공계 유망학과 ⑨ - 게임 공학과

    고부가 아이디어 산업으로 성장하는 게임의 개발·연구 인력 양성 '호모 루덴스(Homo Ludens)'라는 말이 있다. 유희(遊戱)하는,다시 말하면 노는 인간이란 뜻이다. 네덜란드의 문화사학자 J.하위징아가 들고나온 개념으로 유희가 인류 문화의 거대한 한 축이라는 것이다. 게임공학과는 IT(정보기술)의 시대에 인간의 이 같은 '노는 본성'에 가장 맞는 학과로 분류될 수 있다. 게임 산업은 게임을 통해 인간의 감성뿐만 아니라 지성도 표현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