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학습 길잡이 기타
<84> 우레 소리에 함께 놀라듯
附 和 雷 同 붙을 부 화할 화 우레 뇌 같을 동 우레 소리에 함께 놀라듯 자신의 주관이 없이 무작정 남의 의견을 따름. 「논어(論語)」의 [자로(子路)]편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습니다. 공자가 말하기를,'군자는 화합하되 부화뇌동하지 아니하고,소인은 부화뇌동하되 화합하지 않는다. (子曰, 君子, 和而不同, 小人, 同而不和) 군자는 자신의 의견을 적절하게 제시하면서도 다른 사람과 조화를 이루는데,소인은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
경제·금융 상식 퀴즈
11월 15일자
1. 주식시장에서 주도주가 상승장에서 더 오르고 하락장에서 덜 빠지며 상대적 강세를 나타내는 현상은? ①파레토 법칙 ②손수건 법칙 ③일물일가 법칙 ④깨진 유리창 법칙 2. 골드만삭스가 향후 BRICs를 제외하고 향후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칠 나라로 꼽은 '넥스트11'에 들어가지 않는 나라는? ①한국 ②파키스탄 ③인도네시아 ④남아프리카공화국 3. 금본위제를 바탕으로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삼고 고정환율제를 골격으로 하는 제2...
-
스도쿠 여행
스도쿠 여행 (150)
18세기 스위스의 천재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스도쿠(Sudoku)는 가로와 세로 9×9의 상자 안에 1부터 9까지 숫자를 수직 · 수평은 물론 작은 3×3 상자 안에서도 서로 겹치지 않게 써 넣는 퍼즐게임입니다. 어느 한 곳의 숫자가 틀리면 스도쿠는 실패하게 됩니다. 스도쿠는 푸는 재미는 물론 자신도 모르게 논리적 · 수학적 지능을 높이는 효과도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생글생글 독자들의 높은 수준을 감안해 다...
-
서울 G20정상회의 논술대회 수상 축하드립니다!
서울 G20 정상회의 전국 고등학생 논술대회 시상식이 지난 10월27일 한국경제신문 17층 영상회의실에서 열렸다. G20 준비위원회 위원장상을 받은 송하림양(성남외고 2년 · 앞줄 오른쪽 다섯번째)을 비롯한 수상자들이 김희범 G20 준비위원회 단장(오른쪽 첫번째), 최종천 한국경제신문 전무이사(왼쪽 첫번째)와 함께 시상식을 마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허문찬 한국경제신문 기자 sweat@hankyung.com
-
커버스토리
영토 분쟁 거센 동아시아
동아시아에서 영토 분쟁이 거세다. 갈등의 중심엔 일본이 있다. 일본은 중국과는 동중국해의 센카쿠열도(중국이름 댜오위다오)를,러시아와는 쿠릴열도 4개 섬을 놓고 영유권 싸움을 벌이고 있다. 한국에 대해선 여전히 독도가 자기네 영토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중 · 일 양국은 지난달 29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영토분쟁으로 인한 갈등을 다시 노골화했다. 중국은 이날 양국 정상이 회담을 갖기로 합의한 상태에서 ...
-
9회 테셋 15일 마감··· 응시 신청 서두르세요!
생글 가족 여러분 안녕하세요. 지난 7일은 겨울이 시작된다는 입동(立冬)입니다. 입동이 지나면 나뭇잎은 다 떨어지고 풀들은 말라갑니다. 동물들은 동면을 시작하죠. 우리들도 본격적인 겨울 채비를 해야겠죠. 겨울을 잘 나야 따뜻한 봄이 기다리듯이 이럴 때일수록 정신을 가다듬고 공부에 매진해야겠습니다. 오는 21일 치러지는 9회 테샛(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이 15일 접수를 마감합니다. 이번 9회에서는 고사장도 늘려 서울 은평구 증산중학교와 춘...
-
경제 기타
중앙부처 간부 공무원 첫 퇴출
업무능력 부족한 고용노동부 간부 8명 면직키로 업무능력이 부족하고 근무태도가 나쁘다고 판단된 서기관 1명과 사무관 7명 등 고용노동부 간부 8명이 퇴출 결정을 받았다. 고용부는 지난 4월부터 근무태도가 불량한 4급 서기관 4명과 5급 사무관 18명 등 22명을 상대로 5개월간 재교육 및 업무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결정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업무능력과 근무태도가 떨어지는 간부 공무원의 퇴출은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 있었으나 중앙부처에...
-
경제 기타
저효율 경제성장구조 못 벗어나 등
⊙ 저효율 경제성장구조 못 벗어나 한국이 여전히 개발도상국형 '저효율'경제성장 구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3일 '경제시스템의 효율성이 성장잠재력 제고의 원천'보고서에서 1970년대부터 최근까지 한국과 독일 일본 미국 등 4개국의 총요소생산성(TFP)의 성장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TFP란 노동 자본 외에 국내총생산(GDP)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는 기술 개발,경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