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그리스는 사실상 디폴트...글로벌 리더십 회복 절실"
“그리스는 사실상 디폴트(채무 불이행) 상황이다. 세계 경제는 1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큰 침체기에 빠졌다.” 폴 볼커 전 백악관 경제회복자문위원장은 지난 2일 서울 쉐라톤그랜드워커힐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인재포럼 2011' 개막 총회 기조연설에서 글로벌 경제를 이같이 진단했다. 볼커 전 위원장은 “공포는 상상력을 키우면서 확대되는 경향을 보인다”며 “포르투갈 아일랜드 이탈리아 등의 연쇄 부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회복 시기를 섣불리 ...
-
경제 기타
물에 잠긴 태국... 글로벌 경제 '허우적'
50년 만의 최악의 홍수로 도시 기능이 마비되는 등 태국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태국 수도 방콕을 관통하는 짜오프라야강의 수위가 범람 10㎝ 직전인 약 2.4m에서 상승을 멈췄다. 태국 정부는 중대 고비를 넘겼다고 판단하고 있지만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완전히 물이 빠지는 데는 몇 주 더 걸릴 전망이기 때문이다. 방콕 50개 구 중 돈므앙과 싸이마이 등 북쪽, 서쪽 15개 구는 침수된 상태다. 여기에 방콕시민들이 시내의 물을 빼낸...
-
경제 기타
미술관에서 그림을 전시하지 않는 이유
표면적으로는 비합리적인 행태로 보이는 것들이 그 이면을 들여다 보면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그러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었구나 하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미술관에서 미술품을 전시하지 않고 대부분의 작품을 창고에 보관하는 것 역시 여기에 해당한다. 세계적인 미술관들뿐만 아니라 개인들이 운영하는 갤러리들은 대부분 전시하고 있는 그림보다 더 많은 수의 그림을 일반인들에게 공개하지도 않은 채 창고에 보관하고 있다고 한다. 경제학자 ...
-
경제 기타
메르세데스 벤츠 - BMW
1차 대전 패배가 독일 양대 名車를 탄생시키다 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독일은 만신창이가 됐지만 아이로니컬하게도 이때 두 자동차 회사의 화려한 역사가 시작됐다. 독일을 대표하는 자동차 브랜드이자 세계 최고의 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 중인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얘기다. 최고 품격을 내세우며 고급차 시장을 주도한 메르세데스 벤츠와 성공을 향해 질주하는 럭셔리 스포츠 세단의 입지를 굳힌 BMW. 서로 추구하는 성격은 달랐지만 '세계 최고...
-
경제 기타
(4)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소셜 네트워크로 세상을 바꾼 제'2의 잡스' 애플의 최고경영자(CEO) 스티브 잡스는 생전 “마크 저커버그를 대단히 존경한다”고 말했다. 빌 게이츠나 래리 페이지에 독설을 퍼부울 정도로 까다로운 잡스가 새파란 20대 청년에게 찬사를 보낸 것이다. 잡스의 전기(傳記)를 쓴 월터 아이잭슨은 “잡스는 매우 성마르고 사람들에게 매우 잔인했지만, 저커버그는 기업을 팔려는 것이 아니라 기업을 만들어 가려는 열정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좋아했다”고 소개...
-
TESAT 공부하기 기타
화폐의 출현이 인류의 삶에 끼친 영향은?
문제1 화폐는 사람들이 교환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자생적 질서'의 결과다. 화폐 출현이 인류의 삶에 끼친 영향을 옳게 묶은 것은? 가. 분업 촉진 나. 거래비용 감소로 인한 생산성 증가 다. 교역 증대 라. 전문성 강화를 통한 부의 증가 ① 가, 나 ② 가, 나, 다 ③ 나, 다, 라 ④ 가, 나, 라 ⑤ 가, 나, 다, 라 해설 경제학에서 사용하는 화폐는 일상적으로 쓰이는 돈의 의미와는 다르다. 사람들은 보통 소득(in...
-
경제 기타
연예인 특례입학 괜찮을까요?
연예인 특례입학 괜찮을까요? 찬 “정당한 절차 거쳤다면 문제 없어” 반 “일반 수험생 입학기회 빼앗는 것 대입 수학능력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수시에 이어 2012년 대입 정시 모집을 향한 본격 레이스가 시작된 것이다. 매년 이맘 때쯤 언론에는 유명 연예인들의 대학 합격 소식도 함께 전해진다. 특히 청소년들에게 많은 인기가 있는 아이돌 그룹 소속 연예인들의 대학 입학은 고등학생들에게도 큰 관심거리가 아닐 수 없다. 올해도 여성...
-
학습 길잡이 기타
제12회 생글논술경시대회 인문계 고1,2유형 논제
국가는 시장을 규제해야 하는가? 제12회 생글논술경시대회 인문계 고1,2유형 논제 가 독점이 불가피한 경우조차도 과연 독점을 국가의 손에 두는 것이 독점을 통제하는 최선의 방법인지에 대해서도 의심을 품을 만한 중요한 이유가 있다. 만약 단 하나의 산업만이 문제라면 이렇게 하는 것이 맞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가 많은 서로 다른 독점적 산업들을 다루어야 할 때, 이 산업들을 서로 다른 사적 개인들의 수중에 두는 것이 이들을 국가의 단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