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커버스토리
개성에 열정을 입혀라… 시련도 극복하면 경쟁력!
싸이를 월드 스타로 부상시킨 요인은 개성과 열정이다. 잘나가는 연예인의 전형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외모와 스타일이지만 싸이는 자기 고유의 장점을 부각시켜 글로벌 스타가 됐다. 21세기엔 개성이 바로 실력임을 입증한 것이다. 그는 성적으로 줄을 세우면 한 줄이 되지만 재능으로 줄을 세우면 수많은 줄이 된다는 것을 보여줬다. 열정은 그가 보여준 또 하나의 성공 키워드다. 군대 두 번 가기 등 인생에 곡절이 많았지만 그는 그런 아픔을 열정으로 극복...
-
경제 기타
'엔저' 공식 용인한 G20…속력내는 아베노믹스
주요 20개국(G20)이 일본의 엔저(低) 유도정책을 사실상 용인했다. 지난 18~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서다. G20는 19일 발표한 공동선언(코뮈니케)을 통해 “일본의 통화정책은 디플레이션을 타개하고 내수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명시했다. 양적완화는 '국내용'일 뿐 엔저를 통해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목적이 아니라는 일본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일본의'내수부양'논리...
-
경제 기타
<105> 축구선수가 야구선수보다 가난한 이유는…
축구는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고 야구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리는 스포츠다.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만 야구를 즐기지만 철저한 기업식 팀 경영으로 야구는 다른 어느 스포츠보다 높은 수익을 창출해낸다. 축구에서의 최고 연봉이 20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반면, 미국 메이저리그의 최고급 선수의 연봉이 300억원대인 점만 보더라도 야구가 벌어들이는 수익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이 간다. 이러한 수익 차이의 요인으로 특히 TV ...
-
경제 기타
오스트리아학파 선구자…유럽시장 개방에 영향
(19) 자유무역의 선구자 프레데릭 바스티아 “1840년대 어느 날 프랑스 양초제조협회가 의회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애절한 청원서를 제출했다. '우리 양초제조업자들은 값싸고 질 좋은 조명기구를 만드는 외국 업자와 불공정 경쟁을 해 막대한 손실을 보고 있습니다. 그 업자는 다름 아닌 태양입니다. 프랑스 경제를 위해서는 양초산업을 살려야 합니다. 창문, 채광창, 덧문 등 햇빛이 통하는 모든 통로와 틈을 폐쇄할 것을 명하는 법률을 제정하기를 간...
-
경제 기타
대체휴일제 부활 옳을까요
찬 "생산 유발 · 내수진작 효과 가져온다" 반 "공휴일도 많은 데 기업 부담만 가중" 대체휴일제가 24년 만에 부활될 모양이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가 법안심사소위에서 공휴일이 일요일과 겹치면 평일 하루를 휴일로 삼는 대체휴일제 도입을 위한 '공휴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처리했다. 대체휴일제는 박근혜정부가 국정 과제로 추진 중인 데다 여야 모두 찬성하고 있어 국회 통과가 어렵지 않을 전망이라고 한다. 근로자 대부분이 대체휴일제 도입에 ...
-
TESAT 공부하기 기타
'대구 경제캠프' 인기 짱…전국 82개교 우수 고교생 몰려
5월17일 대구상의서 개최…대전 동산고 등 대거 석가탄신일인 다음달 17일(금) 대구 상공회의소 10층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제3회 한경 테샛 경제 리더스 캠프'에도 지난 1, 2회에 이어 전국에서 내로라하는 고교생 120명이 참여한다. 참가 접수를 시작한 지 10일 만에 모집정원 120명을 훌쩍 뛰어넘는 160여명이 신청, 조기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테샛캠프'가 국내 최고의 경제 캠프로 자리잡아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방 도시...
-
경제 기타
노동시장 유연안전성 갖춰야 한국 경제 재도약
노조의 사회적 책임 진주의료원 노사가 진주의료원 폐업을 한 달 동안 유예하고 고공 농성을 철회하기로 22일 합의했다. 노사는 앞으로 한 달의 유예기간 동안 진주의료원 폐업 문제를 놓고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4월22일 연합뉴스 ☞경남 진주에 있는 진주의료원의 문을 닫을지를 놓고 사회적 갈등이 거세다. 진주의료원은 경상남도가 세금으로 운영하는 공공병원이다. 진주의료원의 폐업 문제가 이슈로 떠오른 건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지난 2월26일 “적...
-
학습 길잡이 기타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박희성의 맛깔난 잉글리시
최문섭의 신나는 수학여행 - 숫자 4의 예찬 숫자 4~!! 여러분은 이 수를 보면 어떤 생각이 먼저 드는가? 재수없다? 불길하다? 뭐~, 난 그런 거 없다? 사실 여러 의견들이 있겠지만 우리나라의 사회적 통념상 4는 재수없고 불길한 수라는 의견이 강할 것이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순전히 '四(넉 사)'가 '死(죽을 사)'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나타난 것이다. 즉, 서양의 13과 같이 그 수에 대해서만 유독 나쁜 일이 겹쳐 일어난 경험에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