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생글
-
경제·금융 상식 퀴즈
5월 27일자
1.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한강의 기적'을 이끈 주역인 이 사람이 지난 18일 별세했다. 경제학 교수 출신으로 1969년 재무부 장관으로 발탁돼 1974~1978년 경제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1980~1982년 14대 국무총리를 지낸 이 사람은? ①장면 ②남덕우 ③윤보선 ④최규하 2. 다음 중 커피 수요를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①소비자 소득수준 향상 ②대체재인 녹차값 상승 ③보완재인 설탕값 상승 ④커피업...
-
학습 길잡이 기타
<100ㆍ끝> 뿔을 떼어내다
옛글자 현재글자 이어공부하기 고사성어 - 결자해지(結者解之):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해어화(解語花) : 1. 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美人)'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귀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 기생(妓生)을 달리 이르는 말. 이어공부하기 한자어 - 와해(瓦解) : 기와가 깨진다는 뜻으로, 조직이나 계...
-
커버스토리
'아베노믹스'로 다시 불붙은 통화전쟁
경제전선에서 국가 간 총성 없는 통화(환율)전쟁이 벌어지고있다. 환율전쟁의 본질은 통화가치를 자국에 유리하게 만들려는 힘겨루기다. 서로 다른 통화 간의 교환비율인 환율은 기본적으로 통화의 구매력이 결정한다. 1달러로 빵 1000개를 살 수 있고, 1원으로 같은 빵을 1개밖에 못 산다면 동일한 단위(1달러, 1원, 1엔 등)로 비교한 달러의 구매력은 원화의 1000배가 된다. 이 구매력의 차이가 바로 환율이다. 원화가치 평가절상으로 900원을 주...
-
학습 길잡이 기타
<197> 함수의 연속
최준원 S·논술 자연계 논술팀장 vach2357@gmail.com
-
커버스토리
'봇물' 터진 양적완화…경제회복 보약 vs 자산버블 빌미
통화전쟁은 역사 속 영토전쟁만큼이나 격렬하다. 이는 자국의 통화가치를 낮춰 수출 경쟁력을 높이려는 총성 없는 경제전쟁이다. 일본 요시카와 모토마다 가나가와대 교수는 '머니패전'에서 “1990년 일본 버블 붕괴는 달러의 공격에 엔화가 패배한 것”이라며 “2차 세계대전 패배와 맞먹을 만큼의 충격이었다”고 쓸 정도다. 일본은 지금 '잃어버린 20년'에서 탈출하기 위해 아베노믹스를 강하게 밀어붙이고 있고 주요 선진국(G20)의 암묵적 용인 속에 경제가...
-
커버스토리
글로벌 통화전쟁, 엔저의 대공습…'잃어버린 20년' 돌파구 찾을까?
엔고(高)는 오랜 기간 일본경제의 발목을 잡은 복병이었다. 일본경제가 '잃어버린 20년'의 수렁에서 허우적댈 때도 엔화가치는 여전히 강세를 유지했다. 지난해 가을에는 엔화 가치가 사상 최고인 달러당 70엔대 후반을 오르내렸다. 엔고라는 고질병(?)에 메스를 댄 건 아베 신조 총리였다. 그는 취임 뒤 단 5개월 만에 엔화 가치를 20% 이상 끌어 내렸다. 이른바 엔저를 바탕으로 한 강력한 경기부양책인 '아베노믹스'가 실질적 효과를 낸 것이다. 아...
-
커버스토리
글로벌 통화전쟁, 엔 캐리 트레이드· 와타나베 부인이 뭐지?
엔화가치 약세가 가팔라지는 모습이다. 지난 10일 심리적 저항선인 달러당 100엔 선을 4년 만에 돌파(엔화 약세)한 엔·달러 환율은 13일 장중 102엔도 넘어섰다. 여기에 일본 투자자들이 지난달 하순 이후 2주 연속 해외 주식과 채권 투자를 늘리면서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가 본격화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엔 캐리 트레이드는 투자자들이 저금리의 엔화 자금을 빌려 고금리의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
-
경제 기타
대법원 "상여금은 통상임금"…기업들 50조 추가 비용 '비상'
'통상임금 리스크'로 기업에 비상이 걸렸다. 그동안 받은 통상임금에 상여금이 포함되지 않았다며 이를 다시 계산해 수당을 달라는 노동계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이 방미 중 미국 GM 본사의 대니얼 애커슨 회장에게 “합리적인 해법을 찾아보겠다”며 통상임금 문제를 직접 언급하면서 논란은 더욱 거세진 상황이다.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시킬 경우 산업계와 공공기관 등에 약 50조원의 추가 임금 부담이 발생해 국가 전체에 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