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특목고·자사고 입시설명회 25~26일 개최

    생글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겨울방학이 끝나고 학년을 바꿔야 하는 시즌이 돌아왔습니다. 중·고교 진학이 코앞에 다가왔습니다. 이런 중차대한 시기를 맞아 한국경제신문과 교육업체인 플로우교육이 ‘2016 특목고·자사고 입학담당관 초청 입시설명회’를 엽니다. 이번 설명회는 급변하는 입시환경 속에서 정확한 정보와 전략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가장 큰 특징은 특목고와 자사고에서 근무하고 있...

  • 경제 기타

    한경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2월 28일 동국대서 만나요

    한국경제신문이 주최하는 ‘고교 경제 리더스 캠프’가 2월28일 서울 동국대(경영대학 L101)에서 열린다. 기업인, 최고경영자(CEO), 경제·경영학자 등을 꿈꾸는 고교생을 위한 고교 경제 캠프는 참가자들의 만족도가 높아 같은 학교에서 여러 명이 참가하는 등 성황을 이루고 있다. 올 들어 처음 열리는 2월 고교생 경제 캠프는 올해 입학하는 SKY대학 새내기 대학생들이 멘토로 대거 나서는 점이 특징이다. 박종호...

  • 경제 기타

    세계의 국립중앙도서관, '시대의 기억' 후손에 전달

    대한민국의 모든 책이 영구 소장되는 곳인 국립중앙도서관(國立中央圖書館)이 개관 70주년을 맞았다. 1945년 조선총독부 도서관이란 불명예를 벗고 국립도서관으로 다시 문을 연 지 70년 세월이 지났다. 납본제도(도서관법)에 의해 대한민국에서 발행되는 모든 책은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된다. 도서관법 제20조에는 국립중앙도서관이 국내에서 발간되는 모든 서적을 수집해 국가의 지식 문화유산으로 영구보존토록 규정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대한민국을 대표하...

  • 커버스토리

    72억 지구촌 인구…대륙별 분포는

    인구는 일정한 지역(국가) 내에 있는 주민 전부를 포괄하는 의미다. 인구는 국민·인종·민족과 다른 개념이다. 시대와 나라에 따라 구성·제도·형태 등이 끊임없이 변화한다. 인구 증감이나 이동 또는 인구 구조에 의해 변화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인구 증감은 출생과 사망의 차에 의한 자연증감과 전입·전출의 차에 의한 사회증감의 합으로 나타난다. 작년 1월1일 독일세계인구재단(DSW)은 ...

  • 커버스토리

    '저출산' 늪에 빠진 한국…약해지는 '성장 동력'

    인구는 사람 숫자 이상을 의미한다. 인구(사람)는 생산 투자 소비, 즉 경제 3대 주체의 핵심이다. 사람은 생산자이면서 소비자, 투자자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대표적 저출산국가다. 인구 증가 속도가 너무 느리고, 몇 년 후부터는 오히려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인구가 줄어든다는 건 소비자가 감소하고 생산자 역시 줄어든다는 뜻이다. 경제의 역동성이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저출산의 늪’에 빠진 대한민국의 미래가 불안한 ...

  • 커버스토리

    '인구폭발=종말'을 깨는 두 권의 책

    ‘인구폭발=인류멸망’이라는 비관적 등식에 대해 의문을 가진다면 두 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 고교에서 읽기 어렵다면 대학에 가선 반드시 읽기를 바란다. 첫 번째 책은 ‘회의적 환경주의자’다. 저자는 한때 그린피스라는 공격적인 환경단체에서 일하다 자기가 알았던 환경문제가 과장됐다는 점을 깨달은 비요른 롬보르다. 최근 그는 미국 월스트리트 신문에 기고를 했다. 기후재앙이 과장됐고, 이로 인해 정책이 잘못 세...

  • 커버스토리

    '인구 폭발=인류 종말'…멜서스의 인구론은 틀렸다

    인구폭발, 인구절벽(급감)은 공통적으로 종말론 냄새를 풍긴다.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도, 급감해도 인류가 위기를 맞는다는 걱정이다. 하지만 이것은 ‘적응-변이-진화 DNA’를 가진 인간의 본질을 무시한 허무맹랑 그 자체다. 현재의 인구는 토머스 맬서스(1766~1834)가 ‘인구론’(1789)에서 경고했던 적정 인구 수에 비하면 지구를 수차례 멸망시키고도 남을 규모다. 현재 인류는 어떤 상태인가. 역...

  • 경제 기타

    도요타 '임금 대수술'…청년층 더 주고 장년층 덜 준다

    일본 최대 자동차회사인 도요타가 26년 만에 생산직 임금체계 개편에 나선다. 청년층 근로자의 임금 인상과 정기 승급에 따른 임금 인상분 축소 및 성과급 확대, 60세 이상 정년 후 재고용되는 베테랑 직원의 처우 개선 등이 골자다.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맞게 우수한 청년과 고령층 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다. 도요타의 이 같은 움직임이 일본 대기업 생산 현장의 경직적인 임금체계를 개선하는 계기가 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