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AT 공부하기 기타
-
TESAT 공부하기 기타
경기가 좋은지 나쁜지 판단하는 방법은?
문제1 통계청은 매달 경기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를 조사해 발표한다. 다음 중 경기 선행-동행-후행지수 조사의 대상이 되는 지표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① 비농가 취업자 수 - 건설수주액 - 생산자제품재고지수 ② 건설수주액 - 도소매판매액지수 - 생산자제품재고지수 ③ 수입액 - 회사채 유통수익률 - 금융기관 유동성 ④ 제조업가동률지수 - 가계소비지출 - 회사채 유통수익률 ⑤ 도소매판매액지수 - 제조업 가동률지수 - 생산자제품...
-
TESAT 공부하기 기타
실업은 왜 발생할까?
문제1 다음 중 실업의 원인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경기 둔화 ② 직업 탐색 ③ 실업 보험 ④ 임금 경직성 ⑤ 인플레이션 해설 일을 할 능력과 의사는 있으나 일자리가 없어서 노는 실업은 크게 △좀 더 나은 직장을 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마찰적 실업과 △노동시장에서 제공되는 일자리의 수가 직장을 찾고 있는 노동자들의 수에 비해 적어서 발생하는 구조적 실업으로 나눌 수 있다. 구조적 실업은 정부가 임금 하한선을 규제하는 최저임금...
-
TESAT 공부하기 기타
레버리지 효과가 뭐지?
문제 1 다음은 레버리지 효과를 설명한 것이다. 만약 갑이 산 아파트 가격이 아래 설명과 달리 10% 하락했다면 갑의 수익률은 얼마일까? (아파트 매매 수수료나 세금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1억원을 보유하고 있던 갑은 연 5% 금리로 1억원을 대출받아 아파트를 2억원에 구입했다. 1년 후 아파트 가격이 10% 상승해 2억2000만원에 매각한 갑은 원금과 이자를 상환하고 1억1500만원을 손에 쥘 수 있었다. 돈을 빌려서 집을 산 덕분에 ...
-
TESAT 공부하기 기타
'합리적 기대가설'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문제1 2011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중 한 사람인 토머스 사전트 교수의 '합리적 기대가설(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정부의 시장개입을 지지하는 가설이다. ② 정부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신뢰가 높을수록 경제정책 효과가 적다. ③ 단기적인 재정·통화정책으로 국내총생산(GDP)이나 실업률을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다. ④ 경제주체들은 활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동원해 미래...
-
TESAT 공부하기 기타
정부가 재정지출 늘리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문제 정부가 재정적자를 확대시키면서 지출을 늘릴 경우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① 물가가 하락한다. ② 민간투자가 감소한다. ③ 자금시장에서 이자율이 상승한다. ④ 정부저축과 국민저축의 감소를 가져온다. ⑤ 자금시장에서 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해설 정부가 쓰는 돈(정부 지출)은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이는 세금에서 나온다. 따라서 정부 지출이 늘어나면 가계나 기업들의 세금 부담이 커지고 소비나 투자 여력은 줄어들게 된다. 특...
-
TESAT 공부하기 기타
"우리는 테샛 친구… '생글생글'로 공부했어요"
“생글생글'을 꾸준히 읽고 공부한 게 큰 도움이 됐어요.” 지난 12일 치러진 14회 테샛에서 고교 부문 1~3위를 휩쓴 주나현 양, 신승훈 군(이상 283점), 김정훈 군(279점)의 얘기다. 이들은 모두 대원외국어고 학생들로 올해 3학년이 된다. 주양과 김군은 작년에 경제동아리에서 함께 공부했던 친구 사이다. 이번이 네 번째 응시라는 주양은 목표였던 S급을 받았다. 주양은 “중·고교생 대상 경제사이트인 S한경의 '경제야 놀자'를 즐겨찾기...
-
TESAT 공부하기 기타
기회비용과 매몰비용의 원리는 서로 모순되나?
문제1 다음은 경제학 교재를 보고 한 학생이 던진 질문이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교재 30쪽에는 의사결정에서 기회비용을 절대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경제원리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42쪽에는 매몰비용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 경제원리라고 쓰여 있습니다. 매몰비용에도 기회비용이 있으므로 두 원리는 서로 모순되지 않나요? ① 이 세상에 예외 없는 법칙은 없다. ② 매몰비용은 비합리적인 사람들의 선택과 관련된 것이다. ③...
-
TESAT 공부하기 기타
1년 후 원-달러 환율은?
문제1 미국의 이자율이 사실상 0%이고 우리나라 이자율은 연 10%라고 하자. 현재 원화의 달러당 환율이 1000원이라면 양국 사이에 자본 이동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1년 후의 환율은? ① 1025원 ② 1050원 ③ 1075원 ④ 1100원 ⑤ 1125원 해설 두 나라 간 화폐의 교환비율인 환율을 결정하는 요소는 물가와 이자율 차이다. 빅맥지수로 잘 알려진 구매력 평가설이 물가에 따른 환율 결정 이론이라고 한다면 이자율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