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AT 공부하기 기타
-
경제 기타
(3)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
이번 시간에는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스크림과 떡볶이가 각각 1000원이라고 합니다. 둘 다 먹고 싶지만 불행하게도 용돈이 1000원밖에 없어 하나만 사먹을 수 있습니다. 만약 아이스크림을 먹기로 선택하면 떡볶이를 먹는 기회를 포기해야 합니다. 반대로 떡볶이를 선택하면 아이스크림을 먹는 기회를 포기해야 합니다. 이처럼 희소한 상황에서 어떤 것 하나를 선택하면 '기회비용'이 발생합니다. 아이스크림을 선택할 때...
-
테샛 공부합시다
"방학 '열공'…테샛 2급 이상 따볼까?"
대학 입시의 문은 올해도 여전히 좁다. 겨울방학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대입의 승패가 갈린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기간이다. 방학을 알차게 보내려면 목표를 명확히 하고 거기에 맞는 스펙을 설계해야 한다. 자격증, 어학, 봉사활동 등이 대상이다. 자격증은 성실함에 대한 인증으로 면접 때 그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요즘 주요 상경계 대학들은 입학 사정 면접때 경제지식을 묻는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있어 방학기간에 치러지는 테샛을 눈여겨볼 필요...
-
경제 기타
(2) '희소성'은 왜 생길까
사람의 욕망은 무한합니다. 무한한 욕망을 이루려면 그에 따른 엄청난 돈과 노력이 필요하죠. 그러나 한없는 욕망을 채우기 위해 쉬지 않고 돈을 벌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제아무리 빌 게이츠나 워런 버핏과 같은 세계 제일의 갑부도 황금알을 낳는 오리처럼 재산을 끝없이 늘릴 수는 없습니다. 결국 각자 원하는 욕망의 크기에 비해 쓸 수 있는 돈과 노력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이런 상황을 경제학에서는 '희소하다'고 말하거나 희소성이 있다고 합니...
-
테샛 공부합시다
'테샛 10大프로그램'…중학생 경제캠프 신설
올바른 경제지식은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힘이 된다. 하지만 '경제 공부는 어렵다'는 인식이 대부분이다. 상경계 대학을 제외하곤 경제를 배울 수 있는 곳도 마땅치 않다. 경제를 배우는 중·고생 비율은 5%에도 못 미친다. 소득 4만달러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경제교육이 절실하다. 그동안 시장경제를 알리는 데 노력해온 한국경제신문은 국민들의 경제지력을 높이기 위해 올해 10대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한국경제신문의 10대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스스로...
-
경제 기타
(1) 경제활동이란 무엇인가
“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경제학자들은 이 말을 약간 바꿔서 “경제를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강조합니다. 풍부한 경제지식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은 사회생활을 하는 데 꼭 필요한 자질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경제를 배울 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특히 중학생들을 위해 쉽게 쓰여진 경제 교재는 거의 없습니다. 이에 주니어 테샛을 운영하고 있는 테샛위원회는 경인교육대학교 한진수 교수와 함께 '주니어 테샛 입문여행...
-
테샛 공부합시다
"명문대 등용문…올해도 테샛으로 대학가자"
2014년 새해가 밝았다. 대입 문은 올해도 여전히 좁다. 이런 때일수록 자신만의 '무기'가 있어야 한다. 한국경제신문이 시행하는 국가공인 경제·경영 이해력 검증시험인 테샛은 자신의 실력을 알릴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다. 테샛은 지난 5년여 동안 10만명이 넘게 응시하면서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의 경제·경영 시험으로 자리잡았다. 이는 대입 성적에서도 잘 나타난다. 내달 경기고를 졸업하는 최준호 군은 서울대 경제학과 입학에 성공했다. 최군은 20...
-
테샛 공부합시다
"명문고 입학은 주니어 테샛 덕이죠"
김준태 군과 이승호 군은 '주니어 테샛' 동무다. 부산 남산중과 양운중에 다니는 김군과 이군은 경제동아리를 통해 한국경제신문이 시행하는 청소년 대상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인 주니어 테샛을 몇년째 준비해왔다. 지난달 치러진 8회 주니어 테샛에서 김군은 경제이론 영역에서 단 한 문제만 놓쳤고 금융과 상황추론 영역은 다 맞혀 총 294점(300점 만점)으로 영예의 대상을 받았다. 이군은 271점을 받아 전체 3등으로 우수상을 수상했다. 김군은 울산의 현...
-
테샛 공부합시다
“우린 테샛 마니아…서울대 합격 비결이죠”
지난달 치러진 21회 테샛 동아리대항전에서 대상을 받은 'Pasha'는 서울대 경영학과 학생들이 모여 만든 경제·경영 동아리다. 리더격인 2학년 이장원 씨와 1학년인 신승훈 안상우 정윤재 정진우 씨가 매주 모여 공부한다. 'Pasha'는 터키어로 '군 사령관' '총독'을 뜻한다. 스터디 장소인 서울 강남역 인근의 음식점 이름이기도 하다. 이씨는 “테샛을 한 번 제패해보자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귀띔했다. 'Pasha'는 팀원 모두가 고등학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