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밖에서 싸게 살 수 있는 물건은 집에서 만들지 말라" - 무역이 필요한 이유

    나무로 자동차를 만들 수 있을까요? 과학이 훨씬 더 발달하게 될 먼 미래에는 모르겠지만 현재 과학으로는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런데 경제학자들은 이것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경제에서는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요? ‘폐쇄경제’ 국내 생산품으로 자급자족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와 무역을 하지 않고 있다면 지금 우리 앞에 놓여있는 밥상이 어떻게 달라질지 생각해 볼까요? 우리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농수산물만 먹고 살아야 하므로 밀...

  • 테샛 공부합시다

    24회 테샛시험 영광의 얼굴들

    "테샛은 꿈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입니다" 고교 공동1등(287점)-용인외고 노혜원·안양외고 오수인 고교 부분 대상 영예를 차지한 노혜원 양(용인외고 1)의 응시 소감이다. 오수인 군(안양외고 2)과 노양은 287점으로 고교생 공동 1등을 차지했다. 노양은 “막연하게 경제학과 진학을 꿈꿨지만 열정을 갖고 있지는 않았어요. 테샛을 공부하면서 경제학의 논리성, 현실과의 상호작용에 푹 빠졌습니다”...

  • 경제 기타

    (29) 놀라운 '한강의 기적'

    세계 9위의 무역 강국! 올림픽과 월드컵이라는 세계적인 대회를 성공적으로 치렀으며 과거 원조를 받다가 이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서 저개발 국가에 원조를 해주고 있는 국가! 한국 경제가 1960년부터 40년 만에 이룩한 눈부신 성과입니다. 그래서 외국 사람들은 이를 ‘한강의 기적’이라고 부릅니다. 한국 경제가 어떻게 성장해 왔기에 외국인들이 한강의 기적이라 부르고 있을까요? 1960년대 수출비중 0.1% ...

  • 테샛 공부합시다

    24회 테샛, 동아리전 대상에 연합 동아리 'PLAN-A'

    제24회 테샛 동아리대항전에서 연합 동아리인 ‘PLAN-A’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대학 부문에선 고려대 경제동아리인 ‘wifi’가 1등을 차지했으며, 주니어 테샛에선 연합 동아리인 ‘펭귄은 경제를 사랑해’가 우승을 안았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는 지난 16일 치러진 24회 테샛의 개인 및 동아리대항전 수상자 명단을 지난 27일 발표했다. 참가 학생 중 상위 5명의 평균 ...

  • 경제 기타

    경제 정책이 경기에 영향 미치는 원리

    요점정리 1. 재정 정책: 정부가 예산으로 지출 계획을 세우고 조세 수입을 결정하는 정책 (1) 정부 지출 증가(조세수입 감소)→기업생산과 고용 증가→국민총생산 증가(물가 상승) (2) 정부 지출 감소(조세수입 증가)→기업생산과 고용 감소→국민총생산 감소(물가 안정) 2. 통화정책: 한국은행이 통화량과 이자율을 조절하는 정책 (1) 통화량 증가(이자율 감소)→기업 생산과 고용 증가→...

  • 경제 기타

    한경 경제캠프·테샛 성황리 마무리…감사합니다^^

    생글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2학기가 시작됐군요. 이번 학기에도 여러분이 원하시는 대로 모든 일이 잘 이뤄지길 바랍니다. 먼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생글생글은 여름방학 동안 고교생 경제캠프와 중학생 경제캠프를 열었습니다. 2박3일 일정으로 진행된 고교생을 위한 테샛경제 리더스캠프는 뜨거운 참가 열기로 잘 마쳤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온 고교생들은 캠프에서 미시, 거시, 경영, 시사경제에 대해 두루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졌습니다. 상경계 ...

  • 테샛 공부합시다

    '국가대표 경제시험' 테샛, 금융知力도 키웠다

    지난 16일 시행된 24회 테샛 응시자들의 성적을 가채점한 결과 응시생들의 평균 성적이 197점(300점 만점. 100점 만점 기준으론 65.8점)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신문 테샛위원회가 난이도 기준으로 삼은 180점(100점 만점 기준 60점)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다. 이번에 참고점수로 처음 제공된 금융점수는 평균 67점으로 총점과 성적 분포가 비슷했지만 일부 학생들은 총점에 비해 금융점수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테...

  • 경제 기타

    국내총생산이 쓰이는 다양한 용도

    우리나라 국경 안에 있는 기업들이 만들어낸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모두 더한 것이 국내총생산입니다. 기업들이 최종 생산물을 생산하는 이유는 누군가가 그것들을 구입하기 때문입니다. 경제에서 누가 최종 생산물을 살까요? 기업이 생산한 최종 생산물은 어떻게 쓰일까요? 소비와 투자, 정부 지출 의류회사가 생산한 옷은 소비자(가계)들이 구입합니다. 전자제품 회사가 만들어낸 노트북도 소비자들이 구입합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