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AT 공부하기 기타
-
경제 기타
(15) 탄력성과 비탄력성
“탄력이 좋은데.” 바닥이나 벽에 공을 던졌을 때 잘 튀어 오르면 우리가 하는 말입니다. 공마다 탄력성은 제각각입니다. 테니스공이 골프공이나 탁구공에 비해 탄력성이 좋습니다. 또 우리는 어린이의 피부를 보고 탄력이 좋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경제학에서도 탄력성이란 말을 씁니다. 경제학에서의 탄력성이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어떤 경우에 탄력적이라고 말하고 있을까요? 가격변화에 ‘수요량 반응’ 학교 앞 분...
-
테샛 공부합시다
국내 최고 경제·경영 동아리 가린다
테샛(TESAT) 동아리대항전은 국내 최고 권위를 가진 경제·경영 동아리 경시대회다. 시험마다 수많은 동아리가 출사표를 던진다. 대학은 물론 고등학교 동아리도 대거 참가한다. 동아리 활동을 통해 갈고닦은 실력을 점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취업 면접이나 대학 입시에도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어서다. 지난 2월 치러진 22회 테샛에서 대학 부문 최우수상을 받은 연세대 경제동아리 ‘복어’ 회원인 정수진 씨는 &ldqu...
-
경제 기타
(14) 가격, 의사결정 방향 알려주는 '신호등'
신호등이 없다면 길거리는 엄청난 혼란에 빠질 것이며 직진하려는 차와 좌회전하려는 차가 서로 뒤엉키거나 교통사고가 날 것입니다. 운전자와 보행자는 신호등의 지시에 따라 행동함으로써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습니다. 경제에도 수요자와 공급자를 안내해주는 신호등이 있습니다. 바로 가격입니다. 가격이 신호등 역할을 한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요? 가격상승, 수요가 많다는 의미 김밥을 맛있게 만드는 일이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정도로 자신이 있고 ...
-
테샛 공부합시다
"한경 NIE 경진대회에 참여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 신문스크랩·경제신문 만들기 ·우수지도안 등 3가지 부문 개인·동아리 총상금 820만원 …9월말 접수 마감합니다 한국경제신문사가 신문을 활용한 경제교육 활성화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 후원으로 '한경 생글 NIE 경진대회'를 연다. 이번 대회는 초·중·고·대학생들이 신문과 친숙해져 올바른 경제지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것으로 △경제신문·시사경제 스크랩 △경제신문 만들기 △NIE 경제과목 우수 지도안 등 세 ...
-
경제 기타
(13) 수요곡선과 공급곡선의 이동
지난 시간, 수요와 공급에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요인들 가운데 하나라도 변하면 수요나 공급이 증가하거나 감소한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럼 수요가 증가하면 수요 곡선이 어떻게 변화할까요? 공급이 증가하면 공급 곡선이 어떻게 될까요? 수요증가 '오른쪽' 이동 표 1 은 학생들이 가격에 따라 하루에 떡볶이를 얼마나 먹을 것인지 조사한 것입니다. 수요가 증가하기 전에는 떡볶이 가격이 1100원일 때 90그릇을 먹었지만 수요가 증가해 이제는...
-
테샛 공부합시다
"삼성SSAT 상식, 테샛형 경제문제 많았다"
“상식시험 50문항 중 무려 10문항이 테샛과 거의 비슷한 경제문제였어요. 단순암기력이 아닌 종합사고력을 묻는 출제 유형과 5지선다 유형이 테샛과 동일했어요. 당락을 가를 만한 문항 수였어요.” 지난 13일 전국적으로 치러진 삼성SSAT(직무적성시험) 상식시험에서 한국경제신문이 주관하는 국가공인 경제이해력검증시험 테샛과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대거 출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선 “테샛 준비가 곧 SSAT 준비의 한 방...
-
경제 기타
(12) 수요와 공급을 변화시키는 요인들
지난 시간에 이어 수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배워볼까요. 보완재의 가격도 수요를 움직이는 요인이 됩니다. 사람들은 피자를 먹을 때 콜라를 함께 먹습니다. 이럴 경우 콜라를 피자의 보완재라고 부릅니다. C라는 물건을 소비할 때 함께 소비하여 만족을 얻는 물건 D가 보완재인 것입니다. 야구 글러브의 보완재가 무엇일까요? 야구공입니다. 만약 야구공이 없으면 야구 글러브는 별 소용이 없으며 두 가지를 함께 소비해야 만족이 높아집니다. 비슷한 사례의 ...
-
테샛 공부합시다
'화제집중' 테샛 특강, 대학·고교서 인기 몰이
“최근 터키의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무려 두 배 이상 올린 이유가 뭔가요?” “지난해 한국 경제가 별로 좋지 않았는데 1인당 국민소득은 2만6000달러로 늘어난 까닭은 뭘까요?” 지난 1일 부산 동의대에서 열린 테샛(TESAT) 특강 모습이다. 이 학교 투자동아리 DIP 회원 40여명은 강사인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의 질문에 진지한 표정으로 답한다. 테샛 특강 열기가 대학가와 일선 고교를 달구고 있다. 테샛이 국가공인 1호 경제·경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