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사례로 개념 설명하는 'A처럼(와/과 같은) B'
아도르노는 서로 다른 가치 체계를 하나의 가치 체계로 통일시키려는 속성을 동일성으로, 하나의 가치 체계로의 환원을 거부하는 속성을 비동일성으로 규정하고, 예술은 이러한 환원을 거부하는 비동일성을 지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술은 대중이 원하는 아름다운 상품이 되기를 거부하고, 그 자체로 추하고 불쾌한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중략> 아도르노는 쇤베르크의 음악과 같은 전위 예술이 그 자체로 동일화에 저항하면서도, 저...
-
대학 생글이 통신
수험생도 적절한 운동으로 신체와 멘탈 관리해야
수험생이 되면 체력과 시간 한계상 신체 활동을 적극적으로 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다고 무력감을 이유로 체육 시간에도 늘어져 있거나, 스트레스를 핑계로 밤늦게 군것질하고 바로 자는 등의 행위를 해선 안 됩니다. 감당할 수 있는 선에서 몸을 관리해야 나태한 버릇이 생기지 않습니다. 저는 운동을 좋아하는 편인데도 고등학교 3학년에 접어들어 시간 부족으로 활동량이 줄었습니다. 공부하기에도 아까운 시간을 운동에 할애하기엔 부담이 컸는데, 막상 가만히...
-
임재관의 인문 논술 강의노트
모든 문제는 하나의 주제를 갖고 있다
지난 시간 제시한 경희대 2022학년도 수시 기출문제(생글생글 9월 26일자 16면)를 풀어보겠습니다. [논제I] [다]의 시각에서 [가]와 [나]의 상황에 대해 평가하시오. [701자 이상 ~ 800자 이하: 배점 40점] 답안을 구체적으로 구상하기 전 모든 문제에 ‘주제와 논지’가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주제란 ‘중심이 되는 문제’입니다. 하나의 제시문이 하나의 주제를 갖는 것처럼, 하...
-
대학 생글이 통신
문과적 소양 있는 이과생에 적합한 '제시문 면접'
저는 현재 연세대 전자전기공학부에 재학 중입니다만, 고려대 계열적합형 전형에서 제시문 면접을 통해 산업공학과에도 합격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 경험을 녹여 이공계 제시문 면접에 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제시문 면접이란 제시문 면접은 주어진 시간 동안 제시문과 문제를 읽고 면접관에게 구술로 답변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제가 봤던 고려대 계열적합형 전형 면접에서는 제시문 4개, 시간은 총 30분(풀이 20분, 답변 10분)이 주어졌습니다....
-
대입전략
국어·수학·탐구 백분위 합 기준, 의약학 제외…SKY 인문 292~281점·자연 293~281점 추정
올해 수능까지 한 달가량 남았다. 마무리 학습에 집중할 때다. 문제는 대학마다 수능 반영 방법이 제각각이어서 남은 기간 마무리 학습 과정에서 집중해야 할 포인트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다. 정시에서 목표할 대학 및 지원 전략 관련해 밑그림은 그려둬야 한다. 현재 내 수준에서 어느 대학까지 목표할 수 있는지 판단이 중요하다.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 실채점 기준 주요 21개 대학 정시 지원 가능 점수를 분석해본다. 인문, SKY 평균 287...
-
영어 이야기
말을 타기 좋게 'leg up' 해주는 의미는?
‘Weaker won offers no leg up for Korean exporters’ The steeper-than-expected decline in the won’s value is posing a grave threat to South Korean companies already struggling with rising inflation and higher interest rates. A softe...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옷깃'과 '소매'로 엿보는 우리말 속살
‘청렴결백(淸廉潔白)’은 일상에서도 흔히 쓰는 말이다. ‘토사구팽(死狗烹)’ 역시 중국의 <사기(史記)>에서 전하는 고사성어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말의 정확한 의미는 모른 채 상황에 따라 어림짐작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이런 허점을 파고든 질문이 몇 해 전 삼성 입사시험에 나와 응시생들을 당혹스럽게 한 적이 있었다. “청렴결백과 관련한 색깔은 무엇일까?” &ldqu...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어감을 고려한 의미 이해와 알아내야 할 특수 개념
아도르노는 문화 산업에 의해 양산되는 대중 예술이 이윤 극대화를 위한 상품으로 전락함으로써 예술의 본질을 상실했을 뿐 아니라 현대 사회의 모순과 부조리를 은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도르노가 보는 대중 예술은 창작의 구성에서 표현까지 표준화되어 생산되는 상품에 불과하다. 그는 대중 예술의 규격성으로 인해 개인의 감상 능력 역시 표준화되고, 개인의 개성은 다른 개인의 그것과 다르지 않게 된다고 보았다. 특히 모든 것을 상품의 교환 가치로 환원하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