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글 학습·진로 기타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간학문적 연구, 이질적인 학문의 만남
공공선택론은 정치학의 영역인 공공 부문의 의사결정에 대해서 경제학적 원리와 방법론을 적용하여 설명하려는 연구이다. 공공선택론은 기존의 정치학과는 다르게 다음 세 가지 가정으로부터 출발한다. 첫 번째 가정은 방법론적 개인주의로, 모든 사회 현상의 분석 단위를 개인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이 가정에서는 집단을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유기체적 주체로 보지 않기 때문에 국가는 의사결정의 주체인 개인들의 집합체라고 본다. 따라서 정치 현상은 개인들의 ...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不恥下問 (불치하문)
▶한자풀이 不 : 아닐 불 恥 : 부끄러울 치 下 : 아래 하 問 : 물을 문 아랫사람에게 묻는 게 부끄럽지 않다 모르면 누구에게도 물어야 한다는 뜻 -<논어(論語)> 자공(子貢)이 스승 공자에게 위(衛)나라 대부인 공문자(孔文子)의 시호(諡號)가 어떻게 해서 ‘문(文)’이 되었는지를 물었다. 공자가 답했다. “공문자는 민첩해서 배우기를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
-
대학 생글이 통신
새벽시간 등 활용해 '순공시간' 극대화하세요
평소 이리저리 시간만 날리고 있는 것 같아 고민하는 학생들이 있을 겁니다. 앉아 있는 시간은 길지만 공부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의구심이 드는 학생도 있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는 ‘순공 시간’, 즉 순수공부 시간은 어떻게 하면 늘릴 수 있을까요? 오늘은 제가 공부 시간을 최대한 늘리기 위해 썼던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첫 번째로, 일찍 일어나는 습관을 길러 아침 시간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늦게 일어나서 씻고 밥...
-
신철수 쌤의 국어 지문 읽기
동일한 등가 비교 연산의 반복, 여럿 중 하나 고르기
서로 다른 경계 상자에서 같은 종류의 객체가 탐지될 수 있다. 이때는 각 경계 상자가 하나의 대상에 중복되어 표시된 것인지, 서로 다른 대상에 표시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이미지 속의 각 대상별로 가장 정확한 경계 상자 하나만 표시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를 ‘비최댓값 억제(NMS, Non-Max Suppression)’라고 한다. NMS는 두 경계 상자의 교집합을 합집합으로 나눈 값인 IoU를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IoU 값...
-
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寸陰是競 (촌음시경)
▶ 한자풀이 寸 : 마디 촌 陰 : 그늘 음 是 : 이 시 競 : 다툴 경 아주 짧은 시간이라도 다투어 귀히 쓰라는 뜻 - 《천자문(千字文)》 <천자문(千字文)>은 4언절구의 한시(漢詩)이자 한문 습자의 대표적 교본이다. 전해오는 최초의 <천자문>은 남북조시대 양무제 때 학자 주흥사(周興嗣)가 쓴 것이다. 조선시대에도 서예가 석봉 한호(韓濩)가 쓴 <천자문> 등이 있다. 이 책에 이런 글귀가 있다....
-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시간표에 맞춰 공부시간 균형을
수능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제 경험상 수능까지 남은 시간은 순식간에 사라집니다. 그런 만큼 수능을 준비하는 데 계획이 중요합니다. 수능에서는 여덟 과목(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탐구영역 2과목, 제2외국어 영역)을 봅니다. 이 많은 과목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까요? 공부 계획을 세우는 저만의 방식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우선 실제 수능 시간표를 이행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조금 의아할 수 있습니다. ‘수능 시간표에 맞춰 공부하...
-
최준원의 수리 논술 강의노트
짝수 반대는 홀수, 그렇다면 남학교 반대말은 여학교?
정답은 여학교가 아니라 ‘적어도 한 명의 여학생이 다니는 학교’이다. 남학교의 반대말을 명제화해 생각하면 ‘우리 학교에 다니는 학생은 모두 남학생이다’라는 명제에 대한 부정이며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 즉 여학생이 적어도 한 명은 존재한다는 뜻이 된다. 이처럼 명제의 조건이나 결론을 부정할 때 ‘임의성’과 ‘존재성’의 관계를 잘 파악해야 올바른 증명을 할 수...
-
대입전략
인문 합격선 288.3~229.5점, 자연계 285.8~238.2점…인문 수학 4등급도 인서울, 수학 포기하지 말아야
통합수능 2년차, 국어와 수학에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가 고착화되면서 이과생 강세는 올해도 반복될 전망이다. 인문계 학과의 정시 합격선은 주저앉은 반면, 이공계 학과는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통합수능 전후 주요 대학의 정시 입시 결과를 분석하고, 남은 기간 학습전략을 소개한다. 대입정보포털 ‘어디가’를 통해 발표된 2022학년도 주요 19개 대학 정시 합격선(국어, 수학, 탐구(2) 백분위 합, 300점 만점, 학과별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