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웅산수지'…이름 표기를 둘러싼 국제 갈등

    미얀마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자 1991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아웅산수지 여사. 그는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2004년 제5회 광주인권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나 당시 가택연금 상태라 방한하지 못했다. 이후 9년 만인 2013년 한국을 방문해 상을 받았다. 하지만 훗날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족 박해에 개입한 책임을 물어 2018년 5·18기념재단에서 광주인권상을 철회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아웅 산 수 치’, 신문마다 표기 달라주목할 것은 그사이 한국 언론에서 써온 그의 이름이다. ‘아웅산 수치’와 ‘~수지’가 뒤섞여 있다. 간혹 ‘~수찌’도 있고, 한때는 ‘~수키’ ‘~수카이’로도 적었다. 그의 이름 표기가 통일되지 않은 것은 지금도 여전하다. 이름 적기는 때로 뜻하지 않은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아웅산수지 여사가 2013년 방한했을 때 그런 일이 있었다.당시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환영식에 참석한 그는 본인 이름을 ‘수치’가 아니라 실제 발음과 비슷한 ‘수지’로 적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국립국어원에선 외래어 표기 규범에 따라 ‘수치’로 결정된 것이기 때문에 바꾸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언론에서도 그의 요구를 반영한 곳이 있는가 하면 무시하고 기존대로 쓰기도 하는 등 들쭉날쭉했다. 그후 다시 10년이 흐른 요즘, 한국 언론에서 ‘아웅산수지’ 여사를 올바로 표기하는 곳은 거의 없는 듯하다. 한국 관점에서 편하게 또는 그저 타성적으로 적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미얀마 인명 체계와 우리말 표기 및 호칭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10년 전 일을 복기해보자. 당시 그는 왜 ‘수치’ 대신 ‘수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0년의 시행착오…베트남人 이름 부르기

    우리말에서 누군가를 부르거나 가리킬 때의 규범은 엄격하다. 경어법이 복잡한 데다 상황에 따라 맞는 관습을 좇아야 한다. “김 씨” 할 때 그가 아랫사람이면 대접해 부르는 말이지만, 윗사람이라면 쓰지 못한다. 이를 벗어나면 예의에 어긋나게 되고, 때론 사회적 갈등을 빚기도 한다. 외국인과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직함을 나타낼 때 주의해야 한다. 우리처럼 성(姓)과 이름(名)이 분명히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 인명 ‘성+중간이름+본이름’ 順우리는 공식적·사무적인 자리에서 누군가를 부를 때 대개 이름이 아니라 성으로 말한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 관습일 뿐이다. 나라마다 성 자체가 없는 곳도 있고, 성이 있어도 우리와 달리 이름을 부르는 곳도 있다. 고유한 그들 문화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자칫 실수할 수도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13년 베트남을 국빈 방문했을 때 한국 언론에서 그런 일이 있었다.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호찌민 시에서 쯔엉떤상 베트남 주석과 정상회담을 했다. 그의 이름은 Truong Tan Sang. 이를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로 적으면 ‘쯔엉떤상’이다. 베트남어를 한글로 옮기기 위한 표기규범은 2004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동남아 3개 언어 외래어 표기법’을 제정·고시하면서 확정됐다. 당시 태국·말레이인도네시아어도 함께 발표됐는데, 그동안 외래어 표기에서 쓰지 않던 된소리(ㄲ, ㄸ, ㅃ) 표기를 인정한 게 특징이다. 관광지로 널리 알려진 태국 ‘푸켓’을 ‘푸껫’으로, 베트남 최대 도시 호치민을 호찌민으로 바꾼 게 이때다.‘쯔엉떤상 주석.’ 하지만 표기와 호칭은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몽골의 '창씨개명'…고유의 성(姓)을 잃다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으로 제정러시아가 무너지고 얼마 뒤 ‘소련’이 등장했다. 세계 최초로 탄생한 사회주의 국가다. 이어 1921년 소련의 원조로 몽골에 세계 두 번째 사회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몽골 공산정부는 곧바로 ‘창씨개명’ 작업에 들어갔다. 조상 계보에 따른 충성심이 국가에 우선해선 안 된다는 명분하에 성씨(姓氏) 사용을 금지한 것이다. 이로 인해 몽골에선 전통적으로 써오던 성(姓)이 사라졌다. 대신에 ‘부친(또는 모친) 이름+본인 이름’ 형식의 새 이름 체계가 자리 잡았다. 나라글자마저 고유의 몽골문자를 잃고 러시아 키릴문자로 대체됐다.성은 없고 이름만 나열해 쓰는 곳 많아지난달 롭상남스라이 어용에르덴 몽골 총리가 4박5일 일정으로 한국을 다녀갔다. 영어권이나 중국, 일본 인명에 익숙한 한국인에게 몽골 사람 이름은 꽤 낯설어 보인다. 언론에서도 표기를 비롯해 크고 작은 혼란이 있었다. 몽골 이름을 접할 기회가 드문 데다 몽골어 표기법이 마련돼 있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했을 것이다.거기다 몽골 인명에는 우리와 달리 성(姓)이 따로 없고 이름만 있다는 점도 표기에 어려움을 더했다. 누군가를 부를 때 통상 ‘성+직함’ 또는 ‘성+씨’를 쓰는 게 우리 언어관습이다. 가령 홍길동 사장을 ‘길동 사장’이라 하기보다 ‘홍 사장’으로 부르고 가리킨다. 의례적·공식적 표기에선 대개 그렇다. 그러다 보니 외래 인명을 접할 때 자연스레 성을 먼저 따지게 된다.하지만 아시아권에서 성과 이름을 구별하는 게 의외로 쉽지 않다. 한국처럼 성과 이름이 명확히 구별되는 나라는 중국, 일본, 베트남 정도를 빼곤 별로 없다. 가령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57회' 납세자의 날, '56주년'이기도 하죠

    오는 3월 3일은 제57회 ‘납세자의 날’이다. 이날 배우 김보성 씨를 비롯해 김수현, 송지효, 임원희 씨 등이 아름다운 납세자와 모범납세자로 선정돼 상을 받는다고 한다. 정부는 국세청이 발족(1966년 3월 3일)한 이듬해부터 이날을 ‘조세의 날’로 정해 매년 기념해오고 있다. 2000년부터는 납세자가 주인이라는 의미에서 명칭을 ‘납세자의 날’로 바꿔 기념식을 열고 있다.태어난 지 1년 지나면 비로소 1주년이때 쓰인 ‘회(回)’는 차례나 횟수를 나타내는 말로 ‘번째’와 같은 뜻이다. ‘회/번째’는 시작하는 해를 1회로 해서 따지기 때문에 나이로 치면 ‘세는나이’, 즉 한국식 나이를 셈하는 방식과도 같다. 1967년 제1회 납세자의 날 행사를 치렀으니 2023년 올해가 ‘제57회’다.이를 ‘주년’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주년(週年)’은 1년을 주기로 돌아오는 돌을 세는 단위다. 이때는 셈법이 달라진다. 주년과 돌은 ‘만(滿)’ 개념이라 한 해가 꽉 찬 뒤에야 비로소 1주년(돌)이 된다. 가령 2022년 3월 10일 OO포럼이 발족했다면, 그 이듬해인 2023년 3월 10일이 ‘포럼 출범 1주년’이다. 이를 자칫 출범 2주년이라고 하면 틀린 표현이니 주의해야 한다. ‘주(週)’는 돌아오다, 되풀이하다란 뜻이다. 1년 만에 다시 돌아온 행사이니 다음해가 1주년이다.마찬가지로 납세자의 날은 1967년 처음 생겼으니 2023년인 올해는 ‘제56주년 납세자의 날’이다. 이를 납세자의 날이 생긴 지 ‘만 56년이 됐다’고도 한다. 주년과 돌은 같은 말이라 제56돌이라고 해도 된다. 정리하면, 첫해에 제1회 행사를 치렀다면 그 다음해는 제2회 행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결혼한 지 3년, 햇수론 5년째" 그 셈법은?

    최악의 재난 중 하나로 기록될 튀르키예 대지진에 국제구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일 지진이 일어났으니 20일 현재 만 열나흘(14일)이 됐다. 이를 “지진이 발생한 지 열나흘 만”이라고 해도 되고, “지진 발생 열닷새째”라고 해도 같은 말이다. 모두 시간 경과를 나타내는 우리말 표현이다. 그런 것에는 ‘만’을 비롯해 ‘햇수’ ‘O년째’ ‘O년 차’ ‘O주년’ ‘O돌’ 등이 있다. ‘햇수’와 세는나이, 따지는 방식 같아“만 나이” “서울에 온 지 만 5년이 지났다”에서 ‘만’은 한자어 ‘찰 만(滿)’ 자로, 같은 말이다. 787호에서 살펴본 ‘만 나이’와 ‘돌’ ‘주년’을 복기해 보자. 이때의 ‘만’은 ‘일정하게 정해진 기간이 꽉 참’을 이른다. 가령 2021년 10월 8일 태어난 아이는 2023년인 올해 10월 8일에 ‘만 두 살’이 된다. 그것을 ‘두 돌’이라 해도 되고, 탄생 ‘2주년(週年)’을 써도 같은 뜻이다.“헤어진 지 3년 만에 다시 만났다”에 쓰인 ‘만’도 같은 기간을 나타내긴 하지만, 이는 한자어가 아니라 순우리말이다. 이들 ‘만’은 시기가 꽉 찬 것을 이른다는 게 핵심이다. 가령 어제 주가지수가 폭락했다가 오늘 반등했다면 ‘만 하루’가 된 것이고, ‘하루 만’에 반등한 것이다. 이를 자칫 ‘이틀 만에 반등했다’고 하면 틀린 표현이다.‘햇수로 5년’이란 말은 ‘5년째’란 뜻이다. ‘햇수’란 말 그대로 ‘해의 수’다. 단순히 해의 바뀜을 따지기 때문에, 가령 2019년 무언가를 시작했다면 202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아라사'와 '소련'으로 엿보는 우리말 뒤안길

    1896년 2월 11일 새벽, 동트기 직전의 어둠을 타고 경복궁에서 가마 하나가 빠져나와 인근 러시아공사관으로 향했다. 가마에는 고종과 왕세자가 타고 있었다. 열강의 각축 속에 조선의 운명이 풍전등화와 같던 구한말, 한 나라의 국왕이 외국 공관에 몸을 의탁해 정사를 돌봐야 했던 치욕의 역사가 있었다. 이른바 ‘아관파천’이다. 127년 전 이맘때 일어난 사건이다.외래어표기법 없던 시절 쓰던 음역어고종실록은 그것을 ‘上與王太子移駐御于大貞洞 俄國公使館’이라고 전하고 있다. ‘임금과 왕태자가 대정동(지금의 중구 정동) 아국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다’는 뜻이다. 여기 나오는 ‘아국공사관(俄國公使館)’이 지금의 러시아공관이다.당시에는 러시아를 한자로 음역해 ‘아라사(俄羅斯)’라고 쓰고 읽었다. 줄여서 ‘아국’이라고도 했다. 아라사에서 머리글자를 따고 뒤에 ‘나라 국(國)’ 자를 붙여 만들었다. 외래어 표기규범이 없던 시절 외국 인명·지명을 적던 방식이다. 이를 음역어라고 한다. 일본에선 러시아를 ‘露西亞’로 쓰고 [ロシア(로시아)]로 읽었다. 이 한자를 다시 우리 한자음으로 읽은 게 ‘로서아’다. 한국은 개화기 때 중국과 일본의 표기를 다 들여와 아라사, 로서아를 혼용했다.우리 역사에서는 좀 더 이른 시기에 ‘나선(羅禪)’이라고도 했다. 효종실록에 전하는 얘기다. <청나라 사신이 서울에 들어왔다. … 임금이 말하길, “나선은 어떤 나라이오?” 하니, 사신이 아뢰기를, “영고탑(청나라 때 만주지방의 지명) 옆에 별종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나선입니다.”> 조선 효종 때인 1654년 2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만 나이' 등장…칠순잔치는 언제 하나요?

    “흔히 칠순(七旬)이라고 하는 70세 생일도 이름이 다섯 가지나 된다. 고희(古稀), 희연(稀宴), 희연(稀筵), 희경(稀慶) 등이 그것이다. 또한 이 70세가 세는나이냐, 아니면 만나이냐를 혼동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조선일보 1991년 2월 5일자)우리 문화에서 ‘나이’는 사적으로나 공적으로나 꽤 민감한 소재다. 자칫 시비라도 붙으면 “민증 까!”로 발전하기도 한다. 올 6월부터 민법의 ‘만 나이’를 일상생활에서도 적용한다고 해서 화제다. 알고 보면 30여 년 전부터 언론에서 다룰 만큼 우리 사회에 잠복해 있던, 쉽지 않은 문제였다. 국어사전 나이 풀이는 ‘세는나이’ 기준‘만 나이’에 비해 ‘세는나이’는 관습에 의한, 실생활에서 쓰는 나이 셈법이다. 가령 2021년 10월 태어난 아기라면, 태어나자마자 한 살을 먹고 해가 바뀌면 무조건 한 살을 더 먹으니 2023년 1월 현재 이미 세 살이다. 이에 비해 만 나이로는 2022년 10월 생일이 돼야 비로소 한 살, 2023년 10월이 되면 두 살이다. 생일 전 올해 1월 현재는 어떻게 표현하게 될까? 정확히 말하면 1년 3개월이다. 이런 경우 만 나이로는 한 살이라고 한다. 만으로 꽉 차지 않으면 나머지 개월은 잘라내고 햇수로만 치는 것이다. 그러니 세는나이로는 세 살, 만 나이로는 한 살이 되는 셈이다.‘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단순히 태어난 연도를 빼는 것이다. 언론에서 쓰는 나이 표시도 연 나이다. 관공서와 일반 기업 등 공적 부문에서 쓰이는 만 나이는 출생일을 따져야 하기 때문에 다소 번거로움이 있다. 세는나이에서 생일이 지났으면 한 살을 빼고, 지나지 않았으면 두 살을 뺀다. 이에 비해 연 나이는 출생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중국에는 '설'이 없다…'춘제'가 있을 뿐

    설 연휴 동안 온라인 공간 한편에선 우리말 공방이 벌어졌다. 토박이말 ‘설’이 본의 아니게 오해를 샀고 그로 인해 상처받았다. “영국박물관이 트위터에 ‘Korean Lunar New Year(한국 음력설)’이라는 표현을 썼다가 중국 네티즌이 발끈하자 ‘Chinese New Year(중국설)’이라고 바꿨습니다.” 한 방송에서 전한 이 대목은 이번 사태가 얼마나 왜곡돼 있는지 잘 보여준다. 아이돌 그룹 뉴진스의 멤버 한 명도 구설에 올랐고, 이 과정에서 ‘중국설, 한국설, 음력설, 양력설’ 같은 말이 새삼 논란의 중심으로 떠올랐다.중국설·한국설이란 표현 옳지 않아한때 정부는 음력 1월 1일, 즉 설 명절을 양력 1월 1일로 옮겨 지내도록 법으로 뒷받침하면서 사회적으로도 장려했다. 여기서 생긴 말이 ‘구정(舊正)’과 ‘신정(新正)’이다. 설을 양력과 음력으로 두 번에 걸쳐 지낸다고 해서 ‘이중과세(二重過歲)’라고도 했다. 하지만 양력으로 쇠는 명절은 뿌리 깊은 음력 명절을 대체하지 못했다. 결국 1990년부터 전통적으로 지내온 ‘설날’이 부활해 민족 명절로 자리잡았다.우리가 명절로 쇠는 날, 즉 ‘설’이라고 부르는 날은 음력 1월 1일(이날을 ‘정월 초하루’라고도 한다) 하나뿐이다. 양력 1월 1일을 ‘설’이라고 하지 않는다. 설 자체가 음력을 기준으로 한 말이니 당연히 ‘음력설’은 군더더기에 지나지 않는다. ‘양력설’ 또한 적절치 않다. 양력 1월 1일은 한 해를 시작하는 ‘새해 첫날’일 뿐 ‘설’이라고 부르지 않기 때문이다.마찬가지로 ‘새로운 설’ ‘오래된 설’로 구별하던 ‘신정&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