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교양 기타
-
역사 기타
우호적이던 미국과 중국, 사이 틀어진 건 조선 탓?
원래 고생하는 사람 따로 있고, 돈 챙기는 사람 따로 있는 법이다. 영국과 프랑스가 아편전쟁에 매달리는 동안 미국은 둘의 뒤를 따라다니며 짭짤하게 이익을 챙긴다. 청나라에 아편을 팔아먹은 것이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자신의 외조부가 중국에서 사업을 했다는 얘기를 한 적이 있는데, 그 사업이란 게 아편이었다. 인구 대국답게 청나라의 아편 소비량은 상상 초월이었다. 1869년 청나라의 아편 수입 총액이 6195만 냥이었다. 많다는 건 느낌상으로도 알...
-
교양 기타
거기서 내가 사랑에 빠질 줄은… [고두현의 아침 시편]
내가 라이오네스로 떠났을 때 토머스 하디 백 마일 밖 라이오네스로 내가 떠났을 때 나뭇가지 위에 서리는 내리고 별빛이 외로운 나를 비췄지. 백 마일 밖 라이오네스로 내가 떠났을 때. 라이오네스에 내가 머물 때 거기서 무슨 일이 생길지 어떤 예언자도 감히 말 못 하고 가장 현명한 마법사도 짐작 못 했지. 라이오네스에 내가 머물 때 거기서 무슨 일이 생길지. 내가 라이오네스에서 돌아왔을 때 눈에 마법을 띠고 돌아왔을 때 ...
-
과학과 놀자
어린 쥐의 혈장 넣은 쥐 평균수명 10개월 길어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노화를 뜻한다. 노화는 신체적·정신적 기능이 줄어들고 그 끝에 죽음을 떠올리게 되므로 부정적 개념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노화를 거스르고 젊음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을 하고, 건강한 음식도 챙겨 먹는다. 그런데 최근엔 피를 이용해 노화를 막는다는 연구가 연이어 나와 많은 사람의 주목을 받고 있다. 피로 젊어질 수 있다니, 어떤 원리일까. 피를 통해 젊음을 유지한다는 아이디어는 그 역사가...
-
커버스토리
제도권 진입 성공…암호화폐의 앞날은?
비트코인 가격을 따라 움직이게 만든 금융상품인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11개가 지난 10일 미국 증시에 처음으로 상장됐습니다. 비트코인의 미래 가격을 반영하는 선물 ETF가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현물을 기초자산으로 한 ETF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첫 승인을 받은 겁니다. 이로써 세계 최대 자본시장인 미국 증시를 통해 비트코인에 투자할 수 있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렸습니다. “암호화...
-
생글기자
선하고 작은 행동이 큰 변화의 출발점
작은 행동이 예상치 못한 파급효과를 일으킬 때가 많다. 적은 금액이라도 자선을 위한 기부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희망의 등불이 될 수 있다.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힌 땅에 심은 묘목이 무성한 나무로 자라 여러 세대에 그늘과 생명을 제공한다. 친절한 말과 미소로 바리스타의 하루를 밝게 해주는 단골손님을 생각해보자. 마음이 따뜻해진 바리스타가 그 따뜻함을 다른 고객에게 전달하는 연쇄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환경보전 영역에서도 개인의 선택은 중요하...
-
교양 기타
여관방 벽지에 쓴 인생시 '죽편' [고두현의 아침 시편]
죽편(竹篇)1 - 여행 서정춘 여기서부터, -멀다 칸칸마다 밤이 깊은 푸른 기차를 타고 대꽃이 피는 마을까지 백 년이 걸린다. * 서정춘 : 1941년 전남 순천 출생. 1968년 신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 <죽편>, <봄, 파르티잔>, <귀>, <물방울은 즐겁다> 등 출간. 박용래문학상, 순천문학상, 최계락문학상, 유심작품상 등 수상. 인생을 대나무와 기차에 비유한 명시입니다. &...
-
경제 기타
재정지출 중 최종재 구매를 위해 쓰는 돈이죠
이번 주에는 총수요의 구성요소 중 정부지출에 대해 알아보자. 소비 및 투자가 가계 또는 기업과 같은 민간 부문에 의해 결정된다면 정부지출은 말 그대로 정부에 의해 결정된다. 현대사회에서 정부는 일반 행정과 치안, 국방 같은 기본 임무 외에도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복지를 확충하고, 경제 안정과 성장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한다. 이런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정부가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는 것을 정부지출(government expendit...
-
키워드 시사경제
'착한 기업' 유행 지났나…美기업들 손절 움직임
기업의 목표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경제학 교과서에 나오는 정답은 ‘이윤 추구’다. 기업마다 상생과 사회공헌을 강조하지만 기본적으로 기업은 돈을 잘 벌어야 한다. 이익을 많이 내서 꾸준히 성장해야 직원들을 먹여살리고 기부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윤 추구에만 몰두하는 기업은 더 이상 후한 평가를 받기 어려운 세상이다. 이에 대한 평가를 구체화한 개념이 ESG(Environment·Social&mi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