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글기자

    정부의 늑장 대처로 예고된 쓰레기 대란

    중국이 자체 폐기물로도 수요가 충족됨에 따라 올 1월부터 외국 폐기물 수입을 중단하면서 우리나라 폐기물의 중국 수출길이 막히게 되었고 쓰레기 수거에 문제가 생기게 되었다. 우리나라 재활용 시장은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에서 발생한 수요로 활성화되었다가 2013년부터는 중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수요가 줄어들면서 재활용 폐기물들의 가격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특히 올 1월 중국의 폐기물 수입 금지조치는 장기적으로 침체돼 있던 시장에 큰 충격으로 ...

  • 생글기자

    유한하고 편재된 자원의 무기화에 대비해야

    자원은 유한성과 편재성 그리고 가변성을 갖고 있다. 이 말을 풀어보면 자원의 양에는 한계가 있고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아서 인간의 욕구에 비해 양이 부족하며 시대, 기술, 대체자원의 발생에 따라 자원의 가치는 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원의 무기화는 자원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나라에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원의 무기화 사례로는 중국의 일본에 대한 희토류 수출 제한 사례가 있다. 2010년 중국의...

  • 생글기자

    일과 삶의 균형 중시하는 워라밸 문화

    “직장은 나의 전부가 아니다.” 잦은 야근과 긴 근무시간으로 하고 싶은 일이 아닌 해야 하는 일에 집중하며 살아왔던 기존의 대한민국 직장문화가 변하고 있다. 닐슨코리아의 왓츠넥스트그룹 설문조사에서 ‘연봉이 적지만 일과 삶의 균형을 지킬 수 있는 회사’를 선택한 응답자의 비율은 75.5%나 되었다.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은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신조...

  • 생글기자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경제에 도움이 될까?

    고려대학교 학생회관 1층 식당은 2000원 정도로 점심 한 끼를 해결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았지만, 이번 학기부터 5000원의 뷔페식으로 바뀌었다. 새 학기가 시작한 지 얼마 안 되었지만 지난 학기에 비해 식비, 교재비, 여가비 등 생활비가 눈에 띄게 더 많이 들어가는 게 느껴진다. 이로 인한 용돈 부족을 대다수 학생들이 토로하고 있다. 고려대 의과대학에 재학 중인 박지희 양은 ‘최근 들어 서울에서 자취하는 데 생활부담이 커...

  • 생글기자

    '의미부여'는 진짜 의미가 있을까?

    사람들은 의미 부여하는 것을 정말 좋아한다. 이 습관은 언제나, 어디서나 나타난다. 수십만 년 전 원시인들은 번개가 치는 것에 신이 분노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천 년 전 사람들은 예루살렘이라는 땅에 신성함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오늘날, 사람들이 이러한 근거 없는 의미 부여에서 벗어났다고 스스로 자부하는 시대에도 아직 사람들은, 모든 사람은 이 의미 부여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무슨 소리냐며 이상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전 세계 인...

  • 생글기자

    노인 분들이 행복한 사회가 되기를 바라며

    중학교 시절 독거노인분들의 댁을 방문하는 봉사를 하곤 했다. 어르신들의 말벗이 되어드리며 많은 분들이 외로움과 생활난으로 힘들어하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최근 고령화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홀로 쓸쓸히 세상을 등지시는 어르신들이 많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노인 빈곤율과 노인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1위이며, 노인 세 분 중 한 분은 혼자 살고 계신다. 생활고와 외로움으로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노인 빈곤율을 줄이기 ...

  • 생글기자

    인공지능, 인류에게 약이 되게 지혜 모아야

    인공지능(AI)이 요즘 대세다. 2016년 구글의 알파고를 시작으로 삼성에서는 빅스비, 네이버에서는 클로버를 내놓는 등 많은 기업이 인공지능 개발에 열중하고 있다. 실생활에서도 인공지능의 활용범위는 점차 넓어지고 있다. 불과 수 년 전만 해도 미래 세계의 이야기로만 느껴졌던 일이 하나둘 현실이 돼가고 있다. 인공지능은 이미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인간을 뛰어넘었고, 곧 인간의 직업 대부분을 인공지능이 대체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기업은 ...

  • 생글기자

    성공 평가 받는 동계올림픽… 선수 모독한 일부 SNS는 반성해야

    2018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이 모두 폐막됐다. 이번 평창올림픽은 한국에서 열린 최초의 동계올림픽으로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았다. 평창올림픽은 문화올림픽, 환경올림픽, 평화올림픽, 경제올림픽, 정보통신기술(ICT)올림픽이라는 5가지의 핵심 목표를 추구했고, 한국 국민들의 열띤 응원과 선수들의 땀방울로 의미있고 가치있는 성적을 거뒀다. 또 당초 우려와 달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후원과 지원 등에 힘입어 평창올림픽은 흑자를 냈다. 평창올림픽은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