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6) 경제적 가치의 상징 소금
中·유럽,염세로 손쉽게 국고 늘려 정부·민중 갈등,혁명으로 번지기도 소금은 생명이다. 소금을 섭취하지 않으면 체액의 평형이 깨지는데,물을 마시지 못할 때보다 더 위험하다. 이런 과학적 설명 이전에 사람이나 짐승이나 소금이 생명에 직결된다는 사실은 본능적으로 잘 알고 있다. 소금이 떨어졌을 때 바로 죽음의 위기에 직면하는 사람들은 유목민이다. 사막을 건너는 유목민들은 물만큼이나 소금 확보 방안을 마련하고 길을 떠나야 한다. 그들은 소금...
-
경제 기타
DTI(총부채 상환비율) 규제 필요한가요.
찬 “부동산 투기잡고 과도한 가계 대출 막을 수 있을 것” 반 “대출은 금융사가 결정할 일···투기억제 효과도 의문” 정부가 논란이 많았던 DTI(총부채 상환비율) 규제를 이달부터 다시 부활시켰다. 정부는 지난달 22일 발표한 소위 '3 · 22 부동산 대책'을 통해 지난해 8월부터 부동산시장 활성화를 위해 서울의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구)를 제외하고 일시적으로 풀었던 DTI 규제를 4월부터 다시 시행하기로 했다. 가장 큰 이유는 가...
-
경제 기타
'신공항백지화' 옳은 결정일까요?
찬 신공항은 적자 공항수만 늘릴 뿐··· 지난달 30일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영남권 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로 최종 결론이 났다. 이에 대해 영남권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며 입지재평가를 요구하고 있으며 지역구 의원들은 성명서까지 발표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번 일을 계기로 국민들의 이 대통령에 대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고 회복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고 있다. 그러나 거센 후폭풍이 몰아칠 것을 예상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런 결정을...
-
경제 기타
버림받는 교과서·· ·이대로 괜찮을까요?
"공부 잘하는 비결이요? 교과서만 여러 번 봤어요. " 우리 주변에서 쉽게 들어보는 말이다. 교과서는 흔히들 모든 과목을 공부하는 것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렇게 중시되는 교과서가 많은 학교에서 손도 대지 않고 버려지고 있는 일이 허다하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단적인 예로 내가 학교를 3년간 다니면서 사용한 교과서는 8권가량이다. 1년에 받는 교과서의 수가 10권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교과서의 4분의 3 이...
-
경제 기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사회가 됐으면···
고등학생들이 탐구과목을 공부하는 방법 중 하나로 구글이나 야후 등 해외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통해 풍부한 배경자료를 찾는 경우가 있다. 이들 자료 중 대부분은 그 출처가 외국 전문 연구단체나 전문가의 논문이다. 어떤 사람들은 구글을 통해 자료도 찾고 영어공부도 할 수 있어서 일석이조라고 하지만 우리나라 자체적으로는 고급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한계에 씁쓸한 것도 사실이다. 실제 우리가 배우는 많은 과목들에는 우리말로 생소한 개념과 용어들이 ...
-
경제 기타
화려한 디지털 세상이 낳은 어둠의 자식들,전자 쓰레기
나날이 발전하는 첨단과학의 시대.우리는 매일 신상품들의 향연에서 살아가고 있다. 하루가 멀다시피 출시되는 신제품들은 TV,인터넷 등의 미디어를 통해 우리들의 오감을 사로잡으며 '구매'라는 달콤한 손길을 내밀고 있다. 사람들은 아무런 의심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속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그들의 주인이 되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들은 첨단과학이라는 화려한 장막 속에 도사려 있는 '전자쓰레기'라는 어둠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전자...
-
경제 기타
준법지원인 제도 등
⊙ 기업가정신과 규제 사이 … '옥상옥(屋上屋)' 준법지원인 제도 정부와 한나라당은 기업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는 <<준법지원인>> 제도를 기업 부담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손질해 도입키로 의견을 모았다. 일부에서는 제도 적용 대상을 5~10대 기업으로 제한하거나 이미 내부 변호사 등을 두고 있는 기업에 한정하자는 의견도 내고 있다. 심재철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5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정 대화를 통해 준법지원인 제...
-
경제 기타
日 중학교과서 결국 '독도 영유권' 주장
지리 · 역사 등 12종 검정 통과 내년부터 대부분 일본 중학교의 사회 교과서에 '독도가 일본 땅'이란 주장이 담긴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30일 교과용 도서 검정조사심의회를 열어 독도 영유권 주장을 기술한 중학교 사회교과서 12종의 검정을 통과시켰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검정결과 발표는 지난해 3월 초등학교 교과서 검정에 이어 독도 영유권 침탈 기도를 한층 노골화한 것이다. 일본 대지진 참사를 계기로 모처럼 조성된 한 · 일 우호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