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기타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옳을까요

    찬 "다케시마의 날 행사, 좌시할 수 없는 도발" 반 "화풀이를 넘어서 냉정하게 득실 따져봐야" 일본 시네마현의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반발해 국내 자영업자들이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들어갔다. 행사를 주관하고 있는 골목상권살리기소비자연맹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을 더 이상 방관할 수만은 없다며 지난달부터 불매운동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는 80여개 직능단체와 60여개 소상공인 자영업단체 시민단체가 참여, 이달부터 마일드세븐 ...

  • 경제 기타

    편의점 업계가 파는 '알뜰폰' 이란? 등

    편의점 업계가 파는 '알뜰폰' 이란? 편의점에서 휴대폰을 판다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는 무척이나 낯선 풍경이다. 하지만 일부 외국에서는 소비자들이 편의점에서 휴대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동통신사의 휴대폰 판매 독점구조로 인해 이런 형태의 판매망을 볼 수 없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선 '편의점폰'이 출시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편의점폰은 이통사들이 파는 일반폰과 다르다. 선불식 충전이 가능한 폰일 뿐더러 가격은 3...

  • 경제 기타

    아이스크림 50% 세일의 정체 등

    아이스크림 50% 세일의 정체 몇 년 전부터, 대부분의 슈퍼가 1년 내내 아이스크림 50% 세일을 진행하고 있다. 2010년 7월 시행된 '오픈프라이스'제도의 혼란 때문이다. 오픈프라이스제도는 제조업체가 판매가격을 정하는 기존의 권장소비자 가격제와 달리 최종판매점포가 상품의 판매가격을 스스로 결정하는 판매방식제도이다. 오픈프라이스제로 인해 세일이 1년 내내 시행되자 소비자들은 무엇이 맞는 가격인지 혼란스럽다며 항의했다. 정부는 이를 방지하기...

  • 경제 기타

    증시 거래 명단서 삭제…부실 기업 솎아내기

    주총과 상장폐지 증시의 상장폐지 기업 수가 3년째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12년 한 해 동안 부정적 감사의견이나 자본잠식 등 결산과 관련해 상장 이 폐지 된 기업은 모두 28개로 집계됐다. 2009년에 비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수치다. - 3월4일 연합뉴스 ☞ '상장(listing)'이란 증권거래소가 일정한 요건을 충족한 기업이 발행한 주권(주식과 채권)을 증권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

  • 경제 기타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

    15세때 이민간 벤처신화 '한국의 미래' 연다 박근혜 정부에서 일할 장관 중 최고 화제 인물은 김종훈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전 알카텔-루슨트 최고전략책임자·53)다. 정부조직법이 마련되지 않아 아직 장관 후보자에 머물러 있지만 미국 이민 1.5세대인 그가 한국 과학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리에 발탁됐다는 것은 의미가 크다. 김 후보자는 지난달 17일 장관 후보자 발표 후 “새로운 일자리와 미래산업을 창출하는 것이 미래부의 업무이자, 나 자...

  • 경제 기타

    내 영어 쓰기 실력 얼마나 될까?…한경 '토씨'에게 물어봐!

    200여명 석·박사급 평가단…공정성·신뢰성 국내 최고 제1회 시험 4월 6일…3월 27일까지 접수 오는 4월6일 서울, 대구, 경기 분당에서 처음 치러지는 '한경 토씨(TOEWC·Test Of English Writing for global Communication)'는 국내 최고 영어 쓰기능력 검정시험을 지향하고 있다. 한경토씨는 어학을 점수가 아닌 실질적인 의사소통능력으로서 쓰기 실력을 정확히 판별해주는 시험이다. 언어 의사소통능력의 ...

  • 경제 기타

    <97> 보호무역이 영국의 산업혁명에 미친 영향은…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세계사는 그야말로 영국의 전성기였다. 15세기 말이 동서교역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던 이슬람제국과 이탈리아의 전성기였다면 이후에는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전성기를 거쳐 17세기부터는 영국의 전성기가 시작됐다. 하지만 앞서 전성기를 경험했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영국의 전성기가 3세기에 걸쳐 지속될 만큼 오랫동안 유지됐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영국이 이처럼 장기간 전성기를 누릴 수 있었던 결정적인 원인은 광활한 식민지 영토 때...

  • 경제 기타

    "공기·하천도 주인 있다"…환경오염 갈등에 재산권 해법 제시

    (11) 법경제학의 선구자 로널드 코스 법경제학 발전에 선구자적 공로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로널드 코스(Ronald Coase)는 영국 런던 근교에서 태어났다. 외아들로 외롭게 성장한 탓인지 그의 학문 여정도 '외톨이'였다. 다른 학자와 공동으로 연구한 실적이 거의 없다. 누구나 다 사용하던 수리모형이나 수학공식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경제학계 이단아로 취급당할 정도로 재산권, 법, 기업 등 정통경제학에서 벗어난 분야만을 골라 평생 연구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