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기타
-
경제 기타
매년 수십조 낭비하는 사교육…지대추구경합이 부른 '수능의 대가'
해마다 11월 초부터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입 관련 뉴스가 언론을 장식한다. 수능 문제에서 오류라도 발견되면 큰 소동이 벌어진다. 지난해 수능에서는 세계지리 문제에서 오류가 발견됐고 올해는 영어·생물Ⅱ에서 복수정답이 인정되는 소동이 빚어졌다. 분별력이 없는 ‘물수능’ 논란으로도 꽤나 시끄러웠다. 수능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까닭이다. 현행 수능과 대입 경쟁은 고든 털럭이 일찍이 분석한 소모적인 &...
-
경제 기타
"쌀값 오른다고 시장 단속하면 혼란만 커져"…220년 전 연암도 외쳤던 '사익의 공익 기여'
“전하, 흉년이 들어 서울의 곡물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습니다. 기회는 이때다 싶어 장사치들이 매점매석을 일삼고 있습니다. 곡물 가격을 엄히 통제하고 매점매석을 하는 장사치들을 엄벌에 처해야 하옵니다.” “아니 되옵니다, 전하. 옛사람이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해 그 흐름을 교란하지 말라고 경계한 까닭은 무엇 때문이겠습니까. 상인이란 싼 곳의 물건을 가져와 비싼 곳에다 파는 존재이며, 백성과 나라...
-
경제 기타
국회법 개정 위헌일까요
여야가 시행령 등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수정권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국회법을 개정한 것을 둘러싸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종전 국회법 98조의 2는 ‘행정입법이 법률의 취지 내용에 합치하지 않을 경우 상임위원회가 그 내용을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할 수 있고 행정기관 장은 처리 계획과 결과를 지체 없이 상임위에 보고해야 한다’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를 개정, ‘행정입법이 법률의 취지 내용에 합치하지 않을 경우...
-
경제 기타
조선의 기틀을 확립한 태종
벌써부터 따가운 햇살이 내리쬐는 여름의 초입, 저는 조선의 왕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왕이자 조선 개국의 일등공신으로 평가받는 한 왕의 무덤을 찾아 왔습니다. 성균관에서 수학하였으며 16세에 이미 과거 급제를 하였고, 33세에 왕이 되어 조선을 호령한 왕, 바로 태종 이방원입니다. 그의 무덤인 헌릉 앞에는 무인석과 문인석이 각각 쌍으로 지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양과 호랑이, 말 모양의 돌로 만든 조각상이 함께 이 헌릉을 지키고 있지요. 왕권과 ...
-
경제 기타
'대구경원고: 논술은 사교육?…우린 생글로' 등
대구경원고: 논술은 사교육?…우린 생글로 흔히 논술은 ‘사교육의 힘을 빌려야 하는 대표적 과목’으로 꼽히곤 한다.대입 면접 역시 학교에서 완전히 대비하기란 역부족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경원고 사회현상탐구 동아리 ‘탐하라’는 생글생글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런 선입견을 불식시키고 있다. 탐하라 동아리는 매주 월요일 배송되는 ‘생글생글’의 ‘시사이슈...
-
경제 기타
'생글생글'을 읽어야 하는 10가지 이유
“나는 신문 없는 정부보다 정부 없는 신문을 택하겠다.” 미국의 정치가이자 교육자이며 철학자였던 토머스 제퍼슨은 이렇게 말했다. 그만큼 신문은 예로부터 지금까지 우리 삶의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 신문이 어느새 청소년들에게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됐다. 생글 창간 10주년을 기념해 ‘생글 신문을 읽어야 하는 이유 10가지’를 생각해 봤다. 첫째, 다양한 생각을 가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든다...
-
경제 기타
박여진 한영고 선생님 "생글생글은 알라딘의 요술 램프"
“경제는 싫은 분야였는데 생글생글을 보면서 흥미가 생겼어요. 다른 나라의 경제 상황도 쉽게 접할 수 있어 더 좋았어요.” (김아연·한영고 2학년) “신문을 읽으면서 시사흐름을 깊이 있게 알게 됐고, 학교에서 배우는 경제 내용도 이해가 쉬워졌어요. 생글이 저의 생각을 풍성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서경·2학년) 매주 월요일 아침. 서울 한영고(강동구 상일동)의 한 주는 생글생...
-
경제 기타
김나영 양정중 선생님 "생글생글은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 주는 신문"
“저는 학생들을 지도할 때 ‘꿈이 무엇인지’를 자주 물어요. 상당수 학생들은 꿈에 대해 생각할 시간이 없어요. 정해진 일정과 계획에 맞춰 명문 대학에 가려고 공부만 하는 학생들이 많아요. 그래서 학생들에게 진정한 꿈을 찾아주기 위한 목적으로 생글생글에 연재되고 있는 ‘직업과 경제의 만남’을 수업과 연계했어요. 이 코너는 학생들에게 진로를 탐색해보는 기회를 제공하죠. 다양한 직업군이 자세히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