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선배가 후배에게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학교 기자 활동했네요.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이 뭐였어요?"라는 질문을 받았다면 "언제 어떤 활동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라고 두괄식으로 말해야 합니다.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학교 기자 활동했네요.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이 뭐였어요?"라는 질문을 받았다면 "언제 어떤 활동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라고 두괄식으로 말해야 합니다.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진정성이 담긴 명확한 답변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가 왜 이 대학에 가야 하는지에 대해 답할 수 있는 간절함이 있어야 하고, 당연히 수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우선 생기부를 잘 숙지해야 합니다. 자기가 고등학교 3년간 무엇을 공부하고, 어떻게 활동했는지 잘 설명하지 못하는 학생에게 높은 점수를 주지는 않을 것입니다. 3년간 심층적으로 탐구했던 활동은 무엇이고, 부족했던 부분은 무엇인지 파악해 어떤 질문이 나오더라도 명확하게 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저는 대입 면접에서 고교 시절 읽은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에 대해 말하며 학교 간 연합 토론에서도 그 책의 내용을 언급한 경험을 이야기했습니다. 이렇게 질문에 답할 때는 단답형으로 끝내지 말고, 어떤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다음으로는 내가 면접을 볼 대학에 꼭 가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단순히 관심 있는 분야라거나 꿈을 이루기 위해서라는 식의 답변으로는 부족합니다. 보다 명확하게 이 대학, 이 학과에 지원한 이유를 제시하며 진정성을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 대학의 특징이나 그 학과에만 있는 전공 수업 등을 예시로 든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여기까지 준비했다면, 이제 말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생기부 내용을 숙지하고 지원한 대학과 학과에 대해 충분히 조사했더라도 막상 면접에서 지나치게 긴장하거나 주눅이 들어 제대로 말을 못 한다면 헛일이 됩니다. 질문을 끝까지 잘 듣고 질문 요지를 파악한 뒤 핵심이 되는 내용을 제일 먼저 말할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학교 기자 활동했네요. 가장 기억에 남는 활동이 뭐였어요?”라는 질문을 받았다면 “언제 어떤 활동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라고 두괄식으로 말해야 합니다. 그런 다음 왜 그 활동이 기억에 남는지 이유를 설명하면 됩니다.
면접 상황을 가정해 말하기를 연습하고, 영상으로 찍어 다시 보면서 부족한 부분을 고쳐나가기를 추천합니다. 이런 방식으로 준비한다면 면접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서현 경희대 미디어학과 24학번
![[대학 생글이 통신] 고교학점제 시대, 현명한 대입 준비 방법은…](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447807.3.jpg)
![[대학 생글이 통신] 수능 D-365…예비 고3이 해야 할 일](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73.3.jpg)
![[대학 생글이 통신] 대입 논술, 문제가 요구하는 사항부터 충실히](https://img.hankyung.com/photo/202511/AA.42376084.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