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열의 고사성어 읽기] 見小曰明 (견소왈명)
▶한자풀이
見: 볼 견
小: 작을 소
曰: 가로 왈
明: 밝을 명


사소한 것을 보는 걸 밝다고 한다
미묘한 것을 감지하는 통찰력을 이름
- <도덕경>

노자의 <도덕경>은 도가 사상이 고스란히 담긴 책이다. 노자가 글을 쓰는 방식인 정언약반(正言若反), 즉 진실은 언뜻 들으면 반대처럼 들린다는 어법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곧아도 찌르지 마라” “빛나도 눈부시지 마라” “진짜 큰소리는 소리가 나지 않는다” 등이 대표적 사례다. 총 79장으로 구성되며 도(道)장이 42장, 덕(德)장이 37장이다. 도덕경은 도장과 덕장을 함께 부르는 말이다.

<도덕경> 52장에는 이런 구절이 있다.

“천하는 시작이 있는데 그것이 세상의 어머니 같은 일을 한다. 천하의 진상에 대한 통찰을 얻으면 그것을 통해 현상 세계를 알 수 있다. (중략) 아주 작은 것을 볼 줄 아는 것을 명이라 하고(見小曰明), 부드러움을 잘 지키는 것을 강이라 한다(守柔曰强).”

이 말은 주변의 미묘한 낌새도 허투루 넘기지 않고 세심하게 관찰하며, 다가올 일을 알고 대비하는 자세를 말한다. 득도한 고승은 작은 방 안에서도 사계의 변화를 모두 꿴다고 했다. 공자가 말한 일이관지(一以貫之)는 하나의 이치로 다양한 현상을 두루 안다는 뜻이다. 주역도 낌새와 기미, 조짐을 중시한다. 작은 변화를 미리 알면 큰 화를 당하지 않는다.

견소왈명(見小曰明)은 사소한 것을 보는 걸 밝다고 한다는 뜻으로, 미묘한 변화를 감지하는 날카로운 통찰력을 이르는 말이다. 작은 행동을 보면 그 사람의 앞날을 안다는 견미지저(見微知著), 서리를 밟으면 곧 얼음의 계절이 온다는 것을 안다는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도 뜻이 같다.

신동열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신동열 작가/시인 '인문 고사성어' 저자
현자는 보지 않고도 알고, 보통 사람은 겪고 나서야 알고, 어리석은 사람은 겪고서도 알지 못한다고 했다. 통찰은 작은 것으로 큰 변화를 읽어내는 능력이다. 지식도 사소한 것을 보는 눈을 밝게 하고, 경험도 사소한 것을 보는 눈을 밝게 한다. 두루 보고 널리 보면 살면서 화(禍)를 당하는 일이 적어진다.